제 141 편 |
|
Paper 141 |
대중 전도의 시작 |
|
Beginning the Public Work |
141:0.1 (1587.1) 서기 27년 1월 19일, 그 주 첫째 날에 예수와 열두 사도는 벳세다의 본부를 떠나려고 준비했다. 4월에 유월절 축제에 참석하려고 예루살렘으로 간다는 것, 그리고 요단 강 유역의 길로 여행할 생각이라는 것을 제외하고 열두 사도는 주의 계획에 대하여 전혀 몰랐다. 사도의 가족들과 다른 제자들이 작별 인사를 하고 바야흐로 시작하려는 새 일의 성공을 빌려고 왔기 때문에, 그들은 한낮 가까이 되기까지 세베대의 집을 벗어나지 못했다. |
|
141:0.1 (1587.1) ON THE first day of the week, January 19, a.d. 27, Jesus and the twelve apostles made ready to depart from their headquarters in Bethsaida. The twelve knew nothing of their Master’s plans except that they were going up to Jerusalem to attend the Passover feast in April, and that it was the intention to journey by way of the Jordan valley. They did not get away from Zebedee’s house until near noon because the families of the apostles and others of the disciples had come to say good-bye and wish them well in the new work they were about to begin. |
141:0.2 (1587.2) 떠나기 바로 전에, 사도들은 주를 만나지 못했으며 안드레가 그를 찾으러 나갔다. 잠깐 찾다가 안드레는 물가에서 예수가 배에 앉아 있는 것을 발견했는데, 그는 눈물을 흘리고 있었다. 열둘은 주가 슬퍼하는 듯한 때를 자주 보았고 잠시 동안 심각하게 생각에 몰두한 것을 보았지만, 아무도 주가 눈물 흘리는 것을 본 적이 없었다. 예루살렘을 향하여 떠나기 바로 전에 주가 이렇게 감동한 것을 보고 안드레는 얼마큼 놀랐다. 그는 예수에게 감히 다가가서 물었다: “이렇게 좋은 날에, 주여, 아버지의 나라를 선포하려고 예루살렘을 향하여 떠나야 하는데, 눈물을 흘리시니 어인 일이니이까? 우리 가운데 누가 당신께 무례하였나이까?” 안드레와 함께, 열두 사도와 합세하려고 가면서 예수는 대답했다. “너희 가운데 아무도 나를 슬프게 하지 않았느니라. 내가 슬퍼하는 것은 내 아버지 요셉의 집안에서 아무도 기억하여 성공을 빌러 오지 않았기 때문이라.” 이때 룻은 나사렛에 있는 오빠 요셉을 방문하고 있었다. 가족 중에 다른 사람들은 감정이 상한 결과로 자만심ㆍ실망ㆍ오해, 사소한 분개심에 빠져 그를 멀리하였다. |
|
141:0.2 (1587.2) Just before leaving, the apostles missed the Master, and Andrew went out to find him. After a brief search he found Jesus sitting in a boat down the beach, and he was weeping. The twelve had often seen their Master when he seemed to grieve, and they had beheld his brief seasons of serious preoccupation of mind, but none of them had ever seen him weep. Andrew was somewhat startled to see the Master thus affected on the eve of their departure for Jerusalem, and he ventured to approach Jesus and ask: “On this great day, Master, when we are to depart for Jerusalem to proclaim the Father’s kingdom, why is it that you weep? Which of us has offended you?” And Jesus, going back with Andrew to join the twelve, answered him: “No one of you has grieved me. I am saddened only because none of my father Joseph’s family have remembered to come over to bid us Godspeed.” At this time Ruth was on a visit to her brother Joseph at Nazareth. Other members of his family were kept away by pride, disappointment, misunderstanding, and petty resentment indulged as a result of hurt feelings. |
1. 갈릴리를 떠나다 ^top |
|
1. Leaving Galilee ^top |
141:1.1 (1587.3) 가버나움은 티베리아스에서 멀지 않았고, 예수의 명성(名聲)은 온 갈릴리에, 그리고 거기를 지나서 여러 곳에도 널리 퍼지기 시작했다. 헤롯이 그가 하는 일을 곧 주목하기 시작할 것을 예수는 알았다. 그래서 남쪽으로, 유대 땅으로 사도들과 함께 여행하는 것이 최선이라 생각했다. 1백 명이 넘는 신자들 일행이 함께 가고 싶어 했으나 예수는 그들에게 말씀하며, 요단 강으로 내려가는 길에 사도 집단을 따라오지 말라고 부탁했다. 뒤에 남아 있기로 찬성했어도 그들 가운데 여럿이 며칠 안에 주의 뒤를 따라 갔다. |
|
141:1.1 (1587.3) Capernaum was not far from Tiberias, and the fame of Jesus had begun to spread well over all of Galilee and even to parts beyond. Jesus knew that Herod would soon begin to take notice of his work; so he thought best to journey south and into Judea with his apostles. A company of over one hundred believers desired to go with them, but Jesus spoke to them and besought them not to accompany the apostolic group on their way down the Jordan. Though they consented to remain behind, many of them followed after the Master within a few days. |
141:1.2 (1587.4) 첫날에 예수와 사도들은 겨우 타리케아까지 여행했고, 거기서 그날 밤에 쉬었다. 이튿날 펠라 가까이 요단 강의 한 지점, 요한이 1년 전쯤에 전도하고 예수가 세례받은 곳까지 여행했다. 여기서 2주가 넘도록 머무르며 가르치고 전도하였다. 첫째 주말이 되어서 몇백 명이 예수와 열두 사도가 거하는 곳 가까이 야영지에 모여들었다. 그들은 갈릴리ㆍ페니키아ㆍ시리아ㆍ데카폴리스ㆍ페레아, 그리고 유대에서 왔다. |
|
141:1.2 (1587.4) The first day Jesus and the apostles only journeyed as far as Tarichea, where they rested for the night. The next day they traveled to a point on the Jordan near Pella where John had preached about one year before, and where Jesus had received baptism. Here they tarried for more than two weeks, teaching and preaching. By the end of the first week several hundred people had assembled in a camp near where Jesus and the twelve dwelt, and they had come from Galilee, Phoenicia, Syria, the Decapolis, Perea, and Judea. |
141:1.3 (1588.1) 예수는 아무런 대중 설교를 하지 않았다. 안드레는 군중을 나누고 오전과 오후 집회에 설교할 사람들을 배치했다. 저녁 식사 뒤에 예수는 열두 사도와 함께 이야기하였다. 아무런 새 가르침을 주지 않았지만, 앞서 가르친 것을 다시 검토하고 여러 질문에 답하였다. 이렇게 하던 어느 날 저녁, 이 장소 가까이, 산에서 40일 보낸 것에 대하여 열둘에게 무언가 일러주었다. |
|
141:1.3 (1588.1) Jesus did no public preaching. Andrew divided the multitude and assigned the preachers for the forenoon and afternoon assemblies; after the evening meal Jesus talked with the twelve. He taught them nothing new but reviewed his former teaching and answered their many questions. On one of these evenings he told the twelve something about the forty days which he spent in the hills near this place. |
141:1.4 (1588.2) 페레아와 유대 지방에서 온 많은 사람이 요한에게 세례를 받은 적이 있었고 예수의 가르침에 관하여 더 알아보는 데 관심이 있었다. 사도들은 어떤 면에서도 요한의 설교를 깎아내리지 않았고 이때 새 제자들에게 세례를 주지도 않았기 때문에, 요한의 제자들을 가르치는 데 많이 진전을 보았다. 요한이 예수에 대하여 선포한 모든 것이 사실이라면, 예수가 그를 감옥에서 구해내려고 아무 일도 하지 않았다는 것이 요한의 추종자들에게 언제나 걸림돌이었다. 요한의 제자들은 어째서 그들이 아끼는 지도자가 모진 죽음을 당하는 것을 예수가 막지 않았는가 결코 이해할 수 없었다. |
|
141:1.4 (1588.2) Many of those who came from Perea and Judea had been baptized by John and were interested in finding out more about Jesus’ teachings. The apostles made much progress in teaching the disciples of John inasmuch as they did not in any way detract from John’s preaching, and since they did not at this time even baptize their new disciples. But it was always a stumbling stone to John’s followers that Jesus, if he were all that John had announced, did nothing to get him out of prison. John’s disciples never could understand why Jesus did not prevent the cruel death of their beloved leader. |
141:1.5 (1588.3) 밤마다 안드레는 세례자 요한의 추종자들과 원만하게 어울리는 일, 까다롭고 어려운 일을 동료 사도들에게 조심스럽게 가르쳤다. 예수가 대중에게 봉사하던 첫해 동안, 추종자의 4분의 3이 넘는 수가 이전에 요한을 따랐고 그에게 세례를 받은 적이 있었다. 이해, 서기 27년 전부가 페레아와 유대에서 요한이 하던 일을 조용히 이어받는 데 쓰였다. |
|
141:1.5 (1588.3) From night to night Andrew carefully instructed his fellow apostles in the delicate and difficult task of getting along smoothly with the followers of John the Baptist. During this first year of Jesus’ public ministry more than three fourths of his followers had previously followed John and had received his baptism. This entire year of a.d. 27 was spent in quietly taking over John’s work in Perea and Judea. |
2. 하나님의 율법과 아버지의 뜻 ^top |
|
2. God’s Law and the Father’s Will ^top |
141:2.1 (1588.4) 펠라를 떠나기 전날 밤에 예수는 새 나라에 관하여 얼마큼 더 가르쳤다. 주는 말했다: “너희는 하나님의 나라가 다가오는 것을 기대하라고 가르침 받았으며, 내가 와서, 이제 오래 기대하던 이 나라가 가까이 왔고 이미 여기에 우리 가운데 있음을 선포하노라. 어느 나라에도 보좌에 앉아서 나라의 율법을 선포하는 임금이 있어야 하느니라. 그래서 유대 민족이 땅의 모든 민족을 영화롭게 다스린다는 개념, 메시아가 다윗의 보좌에 앉아서, 이 기적의 권능을 가진 자리에서 온 세상의 율법을 선포한다는 하늘나라 개념을 너희가 개발하였느니라. 그러나 아이들아, 너희는 보아도 믿음의 눈이 없고, 들어도 영이 이해하지 못하느니라. 내가 선포하노니, 하늘나라는 사람들의 마음 속에서 하나님이 다스림을 깨닫고 인정하는 것이라. 참으로 이 나라에는 임금이 있고, 그 임금은 내 아버지요 너희 아버지이라. 정말로 우리는 그에게 충성하는 백성이나 그 사실을 훨씬 초월하는 것은 우리가 그의 아들이라는 진실, 사람을 변화시키는 진실이라. 나의 일생이 이 진실을 모든 사람에게 나타내리라. 우리 아버지는 또한 보좌에 앉으시나 손으로 만든 보좌가 아니라. 무한자의 보좌는 가장 높은 하늘에 아버지가 거하시는 영원한 자리이라. 그는 만물을 채우고 온 우주에 율법을 선포하시니라. 아버지는 필사 인간의 혼 속에서 살라고 보내신 영으로, 땅에 있는 자녀들의 마음 속에서 또한 다스리시니라. |
|
141:2.1 (1588.4) The night before they left Pella, Jesus gave the apostles some further instruction with regard to the new kingdom. Said the Master: “You have been taught to look for the coming of the kingdom of God, and now I come announcing that this long-looked-for kingdom is near at hand, even that it is already here and in our midst. In every kingdom there must be a king seated upon his throne and decreeing the laws of the realm. And so have you developed a concept of the kingdom of heaven as a glorified rule of the Jewish people over all the peoples of the earth with Messiah sitting on David’s throne and from this place of miraculous power promulgating the laws of all the world. But, my children, you see not with the eye of faith, and you hear not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spirit. I declare that the kingdom of heaven is the realization and acknowledgment of God’s rule within the hearts of men. True, there is a King in this kingdom, and that King is my Father and your Father. We are indeed his loyal subjects, but far transcending that fact is the transforming truth that we are his sons. In my life this truth is to become manifest to all. Our Father also sits upon a throne, but not one made with hands. The throne of the Infinite is the eternal dwelling place of the Father in the heaven of heavens; he fills all things and proclaims his laws to universes upon universes. And the Father also rules within the hearts of his children on earth by the spirit which he has sent to live within the souls of mortal men. |
141:2.2 (1588.5) “너희가 이 나라의 백성일 때, 정말로 우주 통치자의 율법을 듣게 되느니라. 그러나 내가 하늘나라 복음을 선포하러 왔는데 그 복음으로 인하여 너희가 아들임을 믿음으로 발견할 때, 너희는 이제부터 전능한 임금의 율법에 지배되는 백성이 아니라, 사랑이 많은 신성한 아버지의 아들, 특권을 가진 아들로서 자신을 바라보느니라.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아버지의 뜻이 너희의 율법이 될 때 너희는 도저히 하늘나라에 있다 할 수 없느니라. 그러나 아버지의 뜻이 참으로 너희의 뜻이 될 때, 너희는 참으로 하늘나라 안에 있으니, 그리함으로 하늘나라가 너희 안에서 확고한 체험이 되었음이라. 하나님의 뜻이 너희의 율법일 때, 너희는 고귀한 노예 백성이라. 그러나 신의 아들이라는 이 새 복음을 믿을 때, 내 아버지의 뜻은 너희의 뜻이 되고 너희는 하나님의 자유로운 자녀, 하늘나라의 해방된 아들의 높은 자리로 올라가느니라.” |
|
141:2.2 (1588.5) “When you are the subjects of this kingdom, you indeed are made to hear the law of the Universe Ruler; but when, because of the gospel of the kingdom which I have come to declare, you faith-discover yourselves as sons, you henceforth look not upon yourselves as law-subject creatures of an all-powerful king but as privileged sons of a loving and divine Father. Verily, verily, I say to you, when the Father’s will is your law, you are hardly in the kingdom. But when the Father’s will becomes truly your will, then are you in very truth in the kingdom because the kingdom has thereby become an established experience in you. When God’s will is your law, you are noble slave subjects; but when you believe in this new gospel of divine sonship, my Father’s will becomes your will, and you are elevated to the high position of the free children of God, liberated sons of the kingdom.” |
141:2.3 (1589.1) 어떤 사도들은 이 가르침에서 무언가 깨달았지만, 혹시 야고보 세베대를 제외하고, 아무도 이 엄청난 선언의 중요성을 완전히 알아듣지 못했다. 그러나 이 말씀은 그들의 마음 속에 자리잡았고 봉사하는 후일에 떠올라서 그들의 직분을 기쁘게 해주었다. |
|
141:2.3 (1589.1) Some of the apostles grasped something of this teaching, but none of them comprehended the full significance of this tremendous announcement, unless it was James Zebedee. But these words sank into their hearts and came forth to gladden their ministry during later years of service. |
3. 아마투스에서 머무르다 ^top |
|
3. The Sojourn at Amathus ^top |
141:3.1 (1589.2) 주와 사도들은 거의 3주 동안 아마투스에 가까이 남아 있었다. 사도들은 날마다 두 차례 군중에게 계속하여 설교했고, 예수는 안식일 오후마다 설교했다. 수요일의 노는 시간을 계속하기가 불가능하게 되었다. 그래서 안드레는 한 주에 6일 동안 매일 두 사도가 쉬어야 한다고 정했고 한편 모두가 안식일 예배에 근무했다. |
|
141:3.1 (1589.2) The Master and his apostles remained near Amathus for almost three weeks. The apostles continued to preach twice daily to the multitude, and Jesus preached each Sabbath afternoon. It became impossible to continue the Wednesday playtime; so Andrew arranged that two apostles should rest each day of the six days in the week, while all were on duty during the Sabbath services. |
141:3.2 (1589.3) 베드로ㆍ야고보ㆍ요한이 대중 설교의 대부분을 맡았다. 빌립과 나다니엘, 토마스와 시몬은 개인을 상대로 상당히 일했고, 특별히 질문자들을 위하여 학급을 운영했다. 쌍둥이는 일반 치안 감독을 계속하였고, 한편 안드레ㆍ마태ㆍ유다는 세 사람으로 구성된 일반 관리 위원회로 발전했다. 하지만 이 세 사람은 또한 각자 종교적인 일을 상당히 하였다. |
|
141:3.2 (1589.3) Peter, James, and John did most of the public preaching. Philip, Nathaniel, Thomas, and Simon did much of the personal work and conducted classes for special groups of inquirers; the twins continued their general police supervision, while Andrew, Matthew, and Judas developed into a general managerial committee of three, although each of these three also did considerable religious work. |
141:3.3 (1589.4) 안드레는 요한의 제자들과 예수의 새 제자들 사이에, 항상 되풀이해서 생기는 오해와 의견 차이를 조정하는 일을 맡아서 많이 분주했다. 며칠마다 심각한 상황이 벌어지곤 했지만, 안드레는 동료 사도들의 도움을 받아서 다투는 편들을 그럭저럭, 적어도 일시라도, 어느 정도 합의를 보도록 유도했다. 예수는 이 회담 중 어디에도 참여하려 하지 않았고, 이 난관을 적절히 조정하는 데 아무 조언도 주려 하지 않았다. 사도들이 이 난처한 문제들을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가 제안한 적도 없었다. 안드레가 이 문제들을 가지고 왔을 때, 예수는 언제나 이렇게 말하곤 했다. “주인이 손님들의 집안 문제에 끼어드는 것이 지혜롭지 않느니라. 슬기로운 부모는 아이들의 사소한 싸움에 결코 편을 들지 않느니라.” |
|
141:3.3 (1589.4) Andrew was much occupied with the task of adjusting the constantly recurring misunderstandings and disagreements between the disciples of John and the newer disciples of Jesus. Serious situations would arise every few days, but Andrew, with the assistance of his apostolic associates, managed to induce the contending parties to come to some sort of agreement, at least temporarily. Jesus refused to participate in any of these conferences; neither would he give any advice about the proper adjustment of these difficulties. He never once offered a suggestion as to how the apostles should solve these perplexing problems. When Andrew came to Jesus with these questions, he would always say: “It is not wise for the host to participate in the family troubles of his guests; a wise parent never takes sides in the petty quarrels of his own children.” |
141:3.4 (1589.5) 주는 사도들, 그리고 모든 제자를 다루는 온갖 일에 큰 지혜를 보이고 완전히 공평함을 보였다. 예수는 참으로 사람들을 통달한 분이었다. 그의 인격의 매력과 힘 때문에 그는 동료 인간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거칠고 방랑하며 집 없이 사는 그의 일생에는 존경심을 일으키는 미묘한 힘이 있었다. 권위 있게 가르치는 자세, 맑은 논리, 추리하는 힘, 지혜로운 통찰력, 날카로운 지성, 비할 데 없이 차분한 태도, 더할 나위 없는 너그러운 태도에는 지적 매력, 그리고 영적으로 사람을 끄는 힘이 있었다. 그는 단순하고 남자답고 정직하며 두려움이 없었다. 주의 인품에 나타난 이 모든 신체적ㆍ지적 영향과 함께, 그의 인격과 관련되었던, 존재의 모든 영적 매력이 있었다 ― 참을성 있고 싹싹하고 온유하고 부드럽고 겸허했다. |
|
141:3.4 (1589.5) The Master displayed great wisdom and manifested perfect fairness in all of his dealings with his apostles and with all of his disciples. Jesus was truly a master of men; he exercised great influence over his fellow men because of the combined charm and force of his personality. There was a subtle commanding influence in his rugged, nomadic, and homeless life. There was intellectual attractiveness and spiritual drawing power in his authoritative manner of teaching, in his lucid logic, his strength of reasoning, his sagacious insight, his alertness of mind, his matchless poise, and his sublime tolerance. He was simple, manly, honest, and fearless. With all of this physical and intellectual influence manifest in the Master’s presence, there were also all those spiritual charms of being which have become associated with his personality—patience, tenderness, meekness, gentleness, and humility. |
141:3.5 (1589.6) 나사렛 예수는 정말로 강인하고 힘찬 인격자였다. 지적 세력이요 영적 요새였다. 그의 인격은 추종자들 가운데 영적 생각을 가진 여인들만 아니라 교육받고 지적인 니고데모, 그리고 강인한 로마 군인의 마음도 움직였으니, 십자가를 지키며 머물렀던 지휘관은 주가 돌아가시는 것을 끝까지 보고 나서 말했다, “참으로 이 사람은 하나님의 아들이었도다.” 그리고 기운차고 거친 갈릴리 어부들은 그를 주라고 불렀다. |
|
141:3.5 (1589.6) Jesus of Nazareth was indeed a strong and forceful personality; he was an intellectual power and a spiritual stronghold. His personality not only appealed to the spiritually minded women among his followers, but also to the educated and intellectual Nicodemus and to the hardy Roman soldier, the captain stationed on guard at the cross, who, when he had finished watching the Master die, said, “Truly, this was a Son of God.” And red-blooded, rugged Galilean fishermen called him Master. |
141:3.6 (1590.1) 이제까지 예수의 초상화들은 아주 보기 민망하였다. 이러한 그리스도의 그림들은 청년들에게 해로운 영향을 미쳐 왔다. 그가 너희 미술가들이 보통 묘사해 왔던 그런 사람이었다면, 성전의 상인들은 예수 앞에서 도저히 달아나지 않았을 것이다. 그는 품위 있는 남성이었다. 선하지만 자연스러웠다. 예수는 연약하고 다정하고 부드럽고 상냥한 신비주의자의 자세를 가지지 않았다. 그의 가르침은 가슴이 떨리도록 힘에 넘쳤다. 그는 좋은 의도를 가졌을 뿐 아니라 실제로 좋은 일을 하며 다녔다. |
|
141:3.6 (1590.1) The pictures of Jesus have been most unfortunate. These paintings of the Christ have exerted a deleterious influence on youth; the temple merchants would hardly have fled before Jesus if he had been such a man as your artists usually have depicted. His was a dignified manhood; he was good, but natural. Jesus did not pose as a mild, sweet, gentle, and kindly mystic. His teaching was thrillingly dynamic. He not only meant well, but he went about actually doing good. |
141:3.7 (1590.2) 주는 결코 “게으르고 꿈꾸는 너희는 다 나에게 오라” 말씀하지 않았다. 그러나 여러 번 일렀다: “수고하는 너희는 다 나에게 오라, 그리하면 너희에게 휴식 ― 영적 힘 ― 을 주리라.” 주의 멍에는 정말로 가볍지만, 그렇다 해도 결코 그 멍에를 강제하지 않는다. 사람마다 자기의 자유 의지대로 이 멍에를 메어야 한다. |
|
141:3.7 (1590.2) The Master never said, “Come to me all you who are indolent and all who are dreamers.” But he did many times say, “Come to me all you who labor, and I will give you rest—spiritual strength.” The Master’s yoke is, indeed, easy, but even so, he never imposes it; every individual must take this yoke of his own free will. |
141:3.8 (1590.3) 예수는 희생함으로, 자만과 이기심을 희생함으로 승리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자비를 보임으로 온갖 불만ㆍ불평ㆍ노여움에서, 그리고 이기적 권력과 복수를 갈망함에서 영적으로 벗어남을 보여주려고 뜻하였다. “악에 저항하지 말라” 했을 때 죄를 묵인하거나 불의를 가까이 하라고 조언함을 의미하지 않는다고 나중에 설명하였다. 용서를 더욱 가르치고 “사람의 인격을 악하게 대하는 것, 인격의 위엄을 가진 사람의 감정에 사악하게 상처를 주는 것에 저항하지 말라”는 뜻이었다. |
|
141:3.8 (1590.3) Jesus portrayed conquest by sacrifice, the sacrifice of pride and selfishness. By showing mercy, he meant to portray spiritual deliverance from all grudges, grievances, anger, and the lust for selfish power and revenge. And when he said, “Resist not evil,” he later explained that he did not mean to condone sin or to counsel fraternity with iniquity. He intended the more to teach forgiveness, to “resist not evil treatment of one’s personality, evil injury to one’s feelings of personal dignity.” |
4. 아버지에 대한 가르침 ^top |
|
4. Teaching About the Father ^top |
141:4.1 (1590.4) 아마투스에 머무르는 동안, 예수는 사도들에게 새로운 하나님 개념을 가르치면서 함께 많은 시간을 보냈다. 하나님은 아버지요 땅에서 잘못하는 아이들에게 손해되는 기록, 나중에 온 창조의 공정한 재판관으로서 판결을 내릴 때 불리하게 쓰일 죄와 잘못을 장부에 적느라고 주로 바쁜, 크고 높은 기록관이 아니라고 사도들에게 거듭 강조했다. 유대인은 오랫동안 하나님을 모든 사람 위에 있는 임금으로, 아니 민족의 아버지라고까지 상상했지만, 이전에는 필사 인간의 큰 집단이 하나님이 개인을 사랑하는 아버지라는 생각을 품은 적이 없었다. |
|
141:4.1 (1590.4) While sojourning at Amathus, Jesus spent much time with the apostles instructing them in the new concept of God; again and again did he impress upon them that God is a Father, not a great and supreme bookkeeper who is chiefly engaged in making damaging entries against his erring children on earth, recordings of sin and evil to be used against them when he subsequently sits in judgment upon them as the just Judge of all creation. The Jews had long conceived of God as a king over all, even as a Father of the nation, but never before had large numbers of mortal men held the idea of God as a loving Father of the individual. |
141:4.2 (1590.5) “하늘나라를 다스리는 이 하나님은 누구시나이까?” 하는 토마스의 물음에 예수는 대답했다. “하나님은 너의 아버지요, 종교 ― 내 가르침 ― 은 네가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진실을 믿고 인정(認定)하는 것, 이보다 더도 아니요 덜도 아니라. 내 일생과 가르침에서 이 두 개념을 분명히 해주려고 나는 육체를 입고 너희 가운데 있느니라.” |
|
141:4.2 (1590.5) In answer to Thomas’s question, “Who is this God of the kingdom?” Jesus replied: “God is your Father, and religion—my gospel—is nothing more nor less than the believing recognition of the truth that you are his son. And I am here among you in the flesh to make clear both of these ideas in my life and teachings.” |
141:4.3 (1590.6) 예수는 또한 동물을 잡아 바치는 것이 종교적 의무라는 관념에서 벗어나도록 사도들의 생각을 해방시키려고 애썼다. 그러나 날마다 희생물을 바치는 종교에서 훈련 받은 이 사람들은 그의 말씀을 이해하는 것이 더디었다. 그렇기는 해도, 주는 가르치는 데 지치지 않았다. 한 가지 예를 들어 모든 사도의 생각에 미치지 못할 때, 그는 교훈을 고쳐 말씀하고, 해명할 목적으로 또 다른 종류의 비유를 이용하곤 했다. |
|
141:4.3 (1590.6) Jesus also sought to free the minds of his apostles from the idea of offering animal sacrifices as a religious duty. But these men, trained in the religion of the daily sacrifice, were slow to comprehend what he meant. Nevertheless, the Master did not grow weary in his teaching. When he failed to reach the minds of all of the apostles by means of one illustration, he would restate his message and employ another type of parable for purposes of illumination. |
141:4.4 (1590.7) 이때 예수는 “고통 받는 자를 위로하고 병자를 돌보는” 임무에 관하여 더 자세히 열둘에게 가르치기 시작했다. 주는 온전한 인간 ― 남자나 여자 개인을 구성하는 육체ㆍ지성ㆍ영의 연합 ― 에 대하여 많이 가르쳤다. 예수는 동료들에게 그들이 마주칠 세 가지 형태의 고통에 대하여 이야기했고, 더 나아가서 인간의 질병의 슬픔을 겪는 모든 사람을 어떻게 보살펴야 하는가 설명했다. 다음을 헤아리라고 가르쳤다: |
|
141:4.4 (1590.7) At this same time Jesus began to teach the twelve more fully concerning their mission “to comfort the afflicted and minister to the sick.” The Master taught them much about the whole man—the union of body, mind, and spirit to form the individual man or woman. Jesus told his associates about the three forms of affliction they would meet and went on to explain how they should minister to all who suffer the sorrows of human sickness. He taught them to recognize: |
141:4.5 (1591.1) 1. 육체의 병 ― 몸의 병으로 보통 간주되는 질병. |
|
141:4.5 (1591.1) 1. Diseases of the flesh—those afflictions commonly regarded as physical sickness. |
141:4.6 (1591.2) 2. 불안한 정신 ― 후일에 감정 및 정신의 고생과 장애로 여긴 비육체적 질병. |
|
141:4.6 (1591.2) 2. Troubled minds—those nonphysical afflictions which were subsequently looked upon as emotional and mental difficulties and disturbances. |
141:4.7 (1591.3) 3. 악한 귀신에 들리는 것. |
|
141:4.7 (1591.3) 3. The possession of evil spirits. |
141:4.8 (1591.4) 예수는 그 시절에 흔히 더러운 귀신이라고 부르기도 했던 이 악한 영들의 성질, 그리고 그 기원에 관하여 몇 번 사도들에게 얼마큼 설명했다. 주는 악한 귀신에 들린 것과 미친 것의 차이를 잘 알았지만 사도들은 그렇지 않았다. 유란시아의 초기 역사에 관한 그들의 제한된 지식에 비추어 볼 때 예수가 이 문제를 그들이 충분히 알아듣도록 시도하는 것도 불가능했다. 그러나 이 악한 영들을 언급하면서, 여러 번 이렇게 말했다: “내가 하늘에 계신 아버지께 올라가고 나서, 하늘나라가 큰 권능과 영적 영화로움을 입고 오는 그 시절에, 모든 육체에게 내 영을 퍼붓고 난 뒤에, 저희는 사람들을 더 괴롭히지 아니하리라.” |
|
141:4.8 (1591.4) Jesus explained to his apostles on several occasions the nature, and something concerning the origin, of these evil spirits, in that day often also called unclean spirits. The Master well knew the difference between the possession of evil spirits and insanity, but the apostles did not. Neither was it possible, in view of their limited knowledge of the early history of Urantia, for Jesus to undertake to make this matter fully understandable. But he many times said to them, alluding to these evil spirits: “They shall no more molest men when I shall have ascended to my Father in heaven, and after I shall have poured out my spirit upon all flesh in those times when the kingdom will come in great power and spiritual glory.” |
141:4.9 (1591.5) 주마다, 달마다, 이 해 내내, 사도들은 아픈 사람들을 치료하는 일에 갈수록 더 주의를 기울였다. |
|
141:4.9 (1591.5) From week to week and from month to month, throughout this entire year, the apostles paid more and more attention to the healing ministry of the sick. |
5. 영적으로 하나됨 ^top |
|
5. Spiritual Unity ^top |
141:5.1 (1591.6) 아마투스에서 있었던 모든 저녁 회의 중에서 아주 중대한 한 회의는 영적으로 하나되는 것에 관한 토론과 관련된 회의였다. 야고보 세베대가 물었다, “주여, 어떻게 우리가 같은 눈으로 보기를 배우고, 그렇게 함으로 우리끼리 더 조화를 이루겠나이까?” 예수는 이 질문을 듣고 정신이 흥분하였다. 너무나 흥분하여 대답했다. “야고보야 야고보야, 너희가 모두 같은 눈으로 보아야 한다고 언제 너희에게 가르치더냐? 필사자들이 하나님 앞에서 고유하고 각자의 자유로운 인생을 살 수 있게 할 목적으로 영적 해방을 선포하려고 내가 세상으로 왔노라. 사회에서 조화(調和)되고 형제 사이의 평화를 얻는 대가로 자유로운 인격과 영적 독창성을 희생하기를 바라지 않노라. 너희 내 사도들에게 요구하는 것은 영이 하나되는 것이요 ―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의 뜻을 진심으로 행하려고 너희가 뭉쳐 헌신하는 기쁨 속에서 너희가 이를 체험할 수 있느니라. 영적으로 같아지기 위하여 같은 눈으로 보거나 같은 느낌을 가질 필요가 없고, 또한 같은 생각을 가질 필요조차 없느니라. 영적으로 하나되는 것은 너희 각자에게 하늘 아버지의 영 선물이 깃들고, 그에 점점 더 지배된다는 의식으로부터 얻느니라. 너희 사도들의 조화는 각자가 가진 영적 희망의 기원ㆍ성품ㆍ운명이 동일하다는 사실로부터 생겨나야 하느니라. |
|
141:5.1 (1591.6) One of the most eventful of all the evening conferences at Amathus was the session having to do with the discussion of spiritual unity. James Zebedee had asked, “Master, how shall we learn to see alike and thereby enjoy more harmony among ourselves?” When Jesus heard this question, he was stirred within his spirit, so much so that he replied: “James, James, when did I teach you that you should all see alike? I have come into the world to proclaim spiritual liberty to the end that mortals may be empowered to live individual lives of originality and freedom before God. I do not desire that social harmony and fraternal peace shall be purchased by the sacrifice of free personality and spiritual originality. What I require of you, my apostles, is spirit unity—and that you can experience in the joy of your united dedication to the wholehearted doing of the will of my Father in heaven. You do not have to see alike or feel alike or even think alike in order spiritually to be alike. Spiritual unity is derived from the consciousness that each of you is indwelt, and increasingly dominated, by the spirit gift of the heavenly Father. Your apostolic harmony must grow out of the fact that the spirit hope of each of you is identical in origin, nature, and destiny. |
141:5.2 (1591.7) “이 방법으로 영의 목적과 영적 이해가 완전히 통일되는 것을 체험할까 하나니, 이것은 너희 각자에게 깃드는 파라다이스 영의 신분을 서로 의식함에서 생겨나느니라. 지적 사고(思考), 기질의 감정, 사회적 행동 면에서 개인의 태도가 최대한으로 다양해도, 너희는 이 모든 심오한 영적 조화를 누릴 수 있느니라. 너희의 인격은 신선하게 다채롭고 뚜렷이 다를지 모르지만, 한편 신을 예배하고 형제를 사랑하는 영적 성품과 영의 열매가 아주 통일되어, 누가 너희의 생애를 보아도 이렇게 너희가 영적으로 통일되고 혼(魂)이 하나가 된 것을 분명히 인식하리라. 너희가 나와 함께 있었고 이로써 하늘에 계신 아버지의 뜻을 어떻게 적절히 행하는가 배웠음을 저희가 인식하리라. 바로 너희가 고유하게 받은 정신ㆍ육체ㆍ혼의 재산을 쓰는 솜씨에 따라서 그런 봉사를 베푸는 동안에도, 너희는 하나가 되어 하나님께 봉사하는 일을 해낼 수 있느니라. |
|
141:5.2 (1591.7) “In this way you may experience a perfected unity of spirit purpose and spirit understanding growing out of the mutual consciousness of the identity of each of your indwelling Paradise spirits; and you may enjoy all of this profound spiritual unity in the very face of the utmost diversity of your individual attitudes of intellectual thinking, temperamental feeling, and social conduct. Your personalities may be refreshingly diverse and markedly different, while your spiritual natures and spirit fruits of divine worship and brotherly love may be so unified that all who behold your lives will of a surety take cognizance of this spirit identity and soul unity; they will recognize that you have been with me and have thereby learned, and acceptably, how to do the will of the Father in heaven. You can achieve the unity of the service of God even while you render such service in accordance with the technique of your own original endowments of mind, body, and soul. |
141:5.3 (1592.1) “너희의 영이 하나가 되는 것은 두 가지를 암시하며, 개별 신자의 생활에서 두 가지가 조화됨을 언제나 발견하리라. 첫째로, 너희는 일생 동안 봉사하려는 공통된 동기에 지배되느니라. 무엇보다도 하늘에 계신 아버지의 뜻을 행하기를 너희 모두가 바라느니라. 둘째로, 너희 모두가 공통된 존재 목표를 가지고 있느니라. 너희는 모두 하늘에 계신 아버지를 찾으려 하고, 이렇게 함으로 너희가 그와 같이 되었음을 우주에게 증명하느니라.” |
|
141:5.3 (1592.1) “Your spirit unity implies two things, which always will be found to harmonize in the lives of individual believers: First, you are possessed with a common motive for life service; you all desire above everything to do the will of the Father in heaven. Second, you all have a common goal of existence; you all purpose to find the Father in heaven, thereby proving to the universe that you have become like him.” |
141:5.4 (1592.2) 예수는 열두 사도가 훈련 받는 동안 여러 번 이 주제를 되풀이하였다. 선한 사람들의 종교적 해석이라도, 주를 믿는 자들이 그런 해석에 따라서 독단이 되고 표준화되기를 원하지 않는다고 거듭하여 말했다. 하늘나라 복음을 믿는 사람들을 안내하고 통제하는 수단으로서 신조(信條)를 작성하고 전통 세우는 것을 막으려고 주는 사도들에게 여러 번 경고하였다. |
|
141:5.4 (1592.2) Many times during the training of the twelve Jesus reverted to this theme. Repeatedly he told them it was not his desire that those who believed in him should become dogmatized and standardized in accordance with the religious interpretations of even good men. Again and again he warned his apostles against the formulation of creeds and the establishment of traditions as a means of guiding and controlling believers in the gospel of the kingdom. |
6. 아마투스에서 보낸 마지막 주 ^top |
|
6. Last Week at Amathus ^top |
141:6.1 (1592.3) 아마투스에서 마지막 주말이 가까워 오자 열심당원 시몬은 예수에게 어느 테헤르마라는 사람을 데려왔다. 그는 다마스커스에서 사업하는 페르시아인이었다. 테헤르마는 예수의 소문을 들은 적이 있고 그를 만나려고 가버나움으로 왔다. 거기서 예수가 사도들과 예루살렘으로 가는 길에 요단 강으로 가셨다는 말을 듣고 주를 찾으러 나섰다. 안드레는 테헤르마를 시몬에게 교육받으라고 소개하였다. 불은 다만 눈에 보이는 깨끗하고 거룩한 이의 상징일 뿐이라고 테헤르마가 힘들여 설명했지만 시몬은 그 페르시아인을 “불을 숭배하는 자”로 여겼다. 예수와 이야기한 뒤에, 그 페르시아인은 가르침을 듣고 설교를 들으려고 며칠 남아 있겠다는 뜻을 표시했다. |
|
141:6.1 (1592.3) Near the end of the last week at Amathus, Simon Zelotes brought to Jesus one Teherma, a Persian doing business at Damascus. Teherma had heard of Jesus and had come to Capernaum to see him, and there learning that Jesus had gone with his apostles down the Jordan on the way to Jerusalem, he set out to find him. Andrew had presented Teherma to Simon for instruction. Simon looked upon the Persian as a “fire worshiper,” although Teherma took great pains to explain that fire was only the visible symbol of the Pure and Holy One. After talking with Jesus, the Persian signified his intention of remaining for several days to hear the teaching and listen to the preaching. |
141:6.2 (1592.4) 열심당원 시몬과 예수만 따로 있을 때, 시몬은 주에게 물었다: “어찌하여 나는 그를 설득할 수 없었나이까? 어찌하여 그는 나에게 그렇게 저항하고 당신의 말씀은 그토록 쉽사리 들으려 하나이까?” 예수는 대답했다: “시몬아 시몬아, 구원을 찾는 자들의 마음 속에서 무엇을 없애려는 노력을 전혀 삼가라고 몇 번이나 가르쳤느냐? 다만 갈급한 이 혼들 속으로 무언가 집어넣으려고 수고하라, 얼마나 자주 일렀느냐? 사람들을 하늘나라로 인도하라. 그러면 크고도 생생한 진실, 하늘나라의 진실이 금방 모든 심각한 잘못을 몰아내리라. 너희가 필사 인간에게 하나님이 아버지라는 좋은 소식을 제시했을 때, 그가 실제로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것을 더욱 쉽게 납득시킬 수 있느니라. 그렇게 했은즉, 너희는 어둠 속에 앉아 있는 자에게 구원의 빛을 가져온 것이라. 시몬아, 사람의 아들이 처음에 너희에게 왔을 때, 모세와 선지자들을 비난하고 새롭고 더 좋은 생명의 길을 선포하더냐? 아니라. 너희가 선조로부터 물려받은 것을 빼앗으려는 것이 아니요, 너희 조상이 겨우 일부만 본 어떤 것의 완전하게 된 모습을 보여주려고 내가 왔노라. 그러니 시몬아, 가서 하늘나라를 가르치고 전하라. 네가 하늘나라 안에 한 사람을 안전히, 확실히 들여보냈을 때, 그런 사람이 질문을 가지고 오면 그때가 신의 나라 안에서 그 혼이 차츰 앞으로 나아가는 데 상관되는 가르침을 나눠줄 때이니라.” |
|
141:6.2 (1592.4) When Simon Zelotes and Jesus were alone, Simon asked the Master: “Why is it that I could not persuade him? Why did he so resist me and so readily lend an ear to you?” Jesus answered: “Simon, Simon, how many times have I instructed you to refrain from all efforts to take something out of the hearts of those who seek salvation? How often have I told you to labor only to put something into these hungry souls? Lead men into the kingdom, and the great and living truths of the kingdom will presently drive out all serious error. When you have presented to mortal man the good news that God is his Father, you can the easier persuade him that he is in reality a son of God. And having done that, you have brought the light of salvation to the one who sits in darkness. Simon, when the Son of Man came first to you, did he come denouncing Moses and the prophets and proclaiming a new and better way of life? No. I came not to take away that which you had from your forefathers but to show you the perfected vision of that which your fathers saw only in part. Go then, Simon, teaching and preaching the kingdom, and when you have a man safely and securely within the kingdom, then is the time, when such a one shall come to you with inquiries, to impart instruction having to do with the progressive advancement of the soul within the divine kingdom.” |
141:6.3 (1592.5) 이 말씀에 깜짝 놀랐지만 시몬은 예수가 가르친 대로 하였고 페르시아인 테헤르마는 하늘나라에 들어간 사람들의 무리 가운데 끼었다. |
|
141:6.3 (1592.5) Simon was astonished at these words, but he did as Jesus had instructed him, and Teherma, the Persian, was numbered among those who entered the kingdom. |
141:6.4 (1592.6) 그날 밤, 예수는 하늘나라의 새 생활에 관하여 사도들에게 강론하였다. 하신 말씀의 일부는 이렇다: “하늘나라에 들어갈 때 너희는 다시 태어나느니라. 오직 육체로부터 난 자에게 영의 깊은 일을 가르칠 수 없느니라. 영의 높은 길을 사람들에게 가르치려고 애쓰기 전에, 먼저 저희가 영에게서 태어났는가 보라. 너희가 먼저 성전으로 사람들을 데려가기까지, 성전의 아름다움을 보이는 일에 손대지 말라. 하나님이 아버지이고 사람이 아들이라는 교리를 너희가 강론하기에 앞서, 사람들을 하나님께, 그리고 하나님의 아들로서 소개하라. 사람들과 다투지 말라 ― 언제나 참으라. 그것은 너희의 나라가 아니요 너희는 대사일 뿐이라. 다만 가서 외치라: 이것이 하늘나라이니 ― 하나님은 너희 아버지요 너희는 그의 아들이라, 너희가 진심으로 믿으면 이 좋은 소식이 너희의 영원한 구원이라.” |
|
141:6.4 (1592.6) That night Jesus discoursed to the apostles on the new life in the kingdom. He said in part: “When you enter the kingdom, you are reborn. You cannot teach the deep things of the spirit to those who have been born only of the flesh; first see that men are born of the spirit before you seek to instruct them in the advanced ways of the spirit. Do not undertake to show men the beauties of the temple until you have first taken them into the temple. Introduce men to God and as the sons of God before you discourse on the doctrines of the fatherhood of God and the sonship of men. Do not strive with men—always be patient. It is not your kingdom; you are only ambassadors. Simply go forth proclaiming: This is the kingdom of heaven—God is your Father and you are his sons, and this good news, if you wholeheartedly believe it, is your eternal salvation.” |
141:6.5 (1593.1) 사도들은 아마투스에서 머무르는 동안 크게 발전했다. 그러나 요한의 제자들을 다루는 문제에 대하여 예수가 아무 제안도 하려 하지 않아서 무척 실망했다. 중요한 세례 문제에서도 예수는 겨우 이렇게 말했을 뿐이다: “요한은 정말로 물로 세례를 주었거니와 하늘나라로 들어갈 때 너희는 영으로 세례를 받으리라.” |
|
141:6.5 (1593.1) The apostles made great progress during the sojourn at Amathus. But they were very much disappointed that Jesus would give them no suggestions about dealing with John’s disciples. Even in the important matter of baptism, all that Jesus said was: “John did indeed baptize with water, but when you enter the kingdom of heaven, you shall be baptized with the Spirit.” |
7. 요단 강 건너 베다니에서 ^top |
|
7. At Bethany Beyond Jordan ^top |
141:7.1 (1593.2) 2월 26일에 예수와 사도들, 그리고 따르는 큰 무리가 페레아 지방의 베다니에 가까운 여울까지 요단 강으로 내려왔다. 여기는 요한이 처음으로 다가오는 하늘나라를 선포한 곳이다. 예루살렘으로 올라가기 전에 4주 동안, 예수는 사도들과 함께 여기에 남아서 가르치고 전도하였다. |
|
141:7.1 (1593.2) On February 26, Jesus, his apostles, and a large group of followers journeyed down the Jordan to the ford near Bethany in Perea, the place where John first made proclamation of the coming kingdom. Jesus with his apostles remained here, teaching and preaching, for four weeks before they went on up to Jerusalem. |
141:7.2 (1593.3) 요단 강 건너 베다니에서 머무르던 둘째 주에, 예수는 사흘 동안 쉬려고 베드로와 야고보와 요한을 강 건너 산에, 예리고 남쪽으로 데리고 갔다. 주는 하늘나라에 대하여 많은 새로운 상급 진실을 이 세 사람에게 가르쳤다. 여기에 기록할 목적으로 우리는 다음과 같이 이 가르침을 다시 정리하고 분류하고자 한다: |
|
141:7.2 (1593.3) The second week of the sojourn at Bethany beyond Jordan, Jesus took Peter, James, and John into the hills across the river and south of Jericho for a three days’ rest. The Master taught these three many new and advanced truths about the kingdom of heaven. For the purpose of this record we will reorganize and classify these teachings as follows: |
141:7.3 (1593.4) 제자들이 하늘나라의 좋은 영 실체를 맛보았은즉, 사람들이 그들의 생애를 봄으로 하늘나라를 의식하게 되고 따라서 신자들에게 하늘나라의 길에 관하여 묻고 싶은 생각이 나도록 제자들이 세상에서 살기를 바란다는 것을 예수는 분명히 밝히려고 애썼다. 진실을 진지하게 찾는 모든 그러한 사람은 영원하고 신성한 영 실체가 있는 하늘나라로 들어가기를 보장하는 믿음의 선물, 그 기쁜 소식을, 언제나 반갑게 듣는다. |
|
141:7.3 (1593.4) Jesus endeavored to make clear that he desired his disciples, having tasted of the good spirit realities of the kingdom, so to live in the world that men, by seeing their lives, would become kingdom conscious and hence be led to inquire of believers concerning the ways of the kingdom. All such sincere seekers for the truth are always glad to hear the glad tidings of the faith gift which insures admission to the kingdom with its eternal and divine spirit realities. |
141:7.4 (1593.5) 하늘나라 복음을 가르치는 모든 선생의 유일한 일거리는 각 사람에게 하나님이 아버지임을 드러내는 것 ― 이 각 사람이 아들임을 의식하도록 인도하는 것, 다음에 바로 그 사람을 하나님께 믿음의 아들로 소개하는 것임을 인식시키려고 애썼다. 이 두 가지 필수 계시(啓示)는 예수 안에서 이루어진다. 그는 정말로 “길이요, 진실이요, 생명”이 되었다. 예수의 종교는 땅에서 자신을 수여하는 일생을 사는 데 전적으로 기초를 두었다. 예수는 이 세상을 떠났을 때, 개인의 종교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아무런 책이나 율법이나 다른 형태의 인간 조직을 남겨 놓지 않았다. |
|
141:7.4 (1593.5) The Master sought to impress upon all teachers of the gospel of the kingdom that their only business was to reveal God to the individual man as his Father—to lead this individual man to become son-conscious; then to present this same man to God as his faith son. Both of these essential revelations are accomplished in Jesus. He became, indeed, “the way, the truth, and the life.” The religion of Jesus was wholly based on the living of his bestowal life on earth. When Jesus departed from this world, he left behind no books, laws, or other forms of human organization affecting the religious life of the individual. |
141:7.5 (1593.6) 예수는 그가 사람들과 개인적이고 영원한 관계를 세우려고 왔고, 이것이 언제까지나 모든 다른 인간 관계보다 우선해야 한다고 분명히 설명했다. 가까운 이 영적 친교는 어느 시대, 어떤 사람에게도, 어느 민족 사이에 어떤 사회 조건 하에서도, 확대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이들에게 내민 유일한 보상은, 이 세상에서 ― 영적 기쁨, 그리고 신(神)과 교통하는 것이요, 다음 세상에서 ― 파라다이스 아버지의 신성한 영 실체들이 있는 곳까지 진보하는 영원한 생명이었다. |
|
141:7.5 (1593.6) Jesus made it plain that he had come to establish personal and eternal relations with men which should forever take precedence over all other human relationships. And he emphasized that this intimate spiritual fellowship was to be extended to all men of all ages and of all social conditions among all peoples. The only reward which he held out for his children was: in this world—spiritual joy and divine communion; in the next world—eternal life in the progress of the divine spirit realities of the Paradise Father. |
141:7.6 (1593.7) 예수는 하늘나라를 가르치는 데 제일 중요한 두 가지 진실이라 부른 것을 크게 강조하였다. 곧 믿음으로, 그리고 믿음만으로 구원을 얻는 것이요, 이와 아울러 진실을 진지하게 인식함으로 인간의 해방을 얻는다, “너희가 진실을 알지니, 진실이 너희를 자유롭게 하리라” 하는 혁신적 가르침이었다. 예수는 육체를 입고 나타난 바로 그 진실이었다. 그는 하늘에 계신 아버지께로 돌아간 뒤에 모든 자녀의 마음 속에 진실의 영을 보내리라 약속했다. |
|
141:7.6 (1593.7) Jesus laid great emphasis upon what he called the two truths of first import in the teachings of the kingdom, and they are: the attainment of salvation by faith, and faith alone, associated with the revolutionary teaching of the attainment of human liberty through the sincere recognition of truth, “You shall know the truth, and the truth shall make you free.” Jesus was the truth made manifest in the flesh, and he promised to send his Spirit of Truth into the hearts of all his children after his return to the Father in heaven. |
141:7.7 (1594.1) 주는 땅에서 한 시대 전체를 위하여 진실의 본질을 이 사도들에게 가르치고 있었다. 그들은 흔히 가르침을 귀담아들었지만, 그 말씀은 실제로 다른 세계들에게 영감을 주고 교화하려고 의도(意圖)한 것이었다. 그는 인생을 사는 새롭고 독창적인 계획을 본보기로 보였다. 인간의 관점에서 볼 때 그는 정말로 유대인이었지만, 이 땅의 한 필사자로서 온 세상을 위하여 일생을 살았다. |
|
141:7.7 (1594.1) The Master was teaching these apostles the essentials of truth for an entire age on earth. They often listened to his teachings when in reality what he said was intended for the inspiration and edification of other worlds. He exemplified a new and original plan of life. From the human standpoint he was indeed a Jew, but he lived his life for all the world as a mortal of the realm. |
141:7.8 (1594.2) 하늘나라의 계획을 펼치면서 아버지를 반드시 인식하게 하려고 예수는 “지상의 위대한 사람들”을 일부러 언급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그는 가난한 사람들과 함께 일을 시작했고, 이들은 이전 시대에 대부분의 진화 종교가 아주 소홀히 해왔던 바로 그 계급이었다. 그는 아무도 업신여기지 않았다. 그의 계획은 세계적인 것, 아니 우주를 위한 것이었다. 이런 말씀을 아주 용감하고 힘차게 했기 때문에, 베드로와 야고보와 요한조차 예수가 아마도 제 정신이 아니라 생각할 유혹을 받았다. |
|
141:7.8 (1594.2) To insure the recognition of his Father in the unfolding of the plan of the kingdom, Jesus explained that he had purposely ignored the “great men of earth.” He began his work with the poor, the very class which had been so neglected by most of the evolutionary religions of preceding times. He despised no man; his plan was world-wide, even universal. He was so bold and emphatic in these announcements that even Peter, James, and John were tempted to think he might possibly be beside himself. |
141:7.9 (1594.3) 땅에 있는 몇 사람을 위하여 모범을 보이는 것이 아니라 그의 우주 전체에 두루, 어떤 세계의 어떤 민족을 위해서도 인생의 표준을 세우고 또 보이려고 이 수여 사명을 띠고 왔다는 진실을 주는 이 사도들에게 가볍게 전하려 하였다. 이 표준은 가장 높은 완전, 아니 우주의 아버지의 최종 선(善)의 경지에까지 접근하였다. 그러나 사도들은 그가 무슨 말씀을 하시는가 뜻을 알아차릴 수 없었다. |
|
141:7.9 (1594.3) He sought mildly to impart to these apostles the truth that he had come on this bestowal mission, not to set an example for a few earth creatures, but to establish and demonstrate a standard of human life for all peoples upon all worlds throughout his entire universe. And this standard approached the highest perfection, even the final goodness of the Universal Father. But the apostles could not grasp the meaning of his words. |
141:7.10 (1594.4) 그는 선생으로서, 물질적 지성에게 영적 진실을 제시하려고, 하늘에서 파송된 선생으로서 활동하려고 왔다고 선언했다. 그리고 엄밀히 말해서 그렇게 했다. 그는 선생이요 설교자가 아니었다. 인간의 눈으로 볼 때, 베드로는 예수보다 훨씬 더 유능한 설교자였다. 예수의 설교는 마음을 끄는 웅변이나 감정에 호소하기 때문이 아니라, 독특한 인품 때문에 무척 힘이 있었다. 예수는 사람의 혼에게 직접 말씀하였다. 사람의 영을 가르치는 선생이었지만, 지성을 통해서 가르쳤다. 그는 사람들과 더불어 살았다. |
|
141:7.10 (1594.4) He announced that he had come to function as a teacher, a teacher sent from heaven to present spiritual truth to the material mind. And this is exactly what he did; he was a teacher, not a preacher. From the human viewpoint Peter was a much more effective preacher than Jesus. Jesus’ preaching was so effective because of his unique personality, not so much because of compelling oratory or emotional appeal. Jesus spoke directly to men’s souls. He was a teacher of man’s spirit, but through the mind. He lived with men. |
141:7.11 (1594.5) 이 기회에 예수는 베드로ㆍ야고보ㆍ요한에게 땅에서 그가 하는 일은 어떤 면에서 “하늘에 있는 동료”가 당부한 것에 제한을 받는다고 털어놓았다. 이것은 자신 수여에 앞서 파라다이스 형 이마누엘이 준 지침을 언급한다. 그는 아버지의 뜻, 오직 아버지의 뜻을 행하려고 왔다고 일러주었다. 진심으로 한 가지 목적에 이렇게 자극받았기 때문에, 그는 세상에 있는 악을 언짢아하지 않았다. |
|
141:7.11 (1594.5) It was on this occasion that Jesus intimated to Peter, James, and John that his work on earth was in some respects to be limited by the commission of his “associate on high,” referring to the prebestowal instructions of his Paradise brother, Immanuel. He told them that he had come to do his Father’s will and only his Father’s will. Being thus motivated by a wholehearted singleness of purpose, he was not anxiously bothered by the evil in the world. |
141:7.12 (1594.6) 사도들은 예수의 꾸밈없는 친절을 비로소 깨닫고 있었다. 비록 그를 가까이하기 쉬웠어도, 주는 언제나 어떤 인간에게도 의존하지 않고, 어떤 인간보다 높이 살았다. 한 순간이라도 어떤 순전히 인간적 영향에 지배를 받거나 허약한 인간적 판단에 지배된 적이 없었다. 그는 대중의 의견(意見)을 거들떠보지 않았고 칭찬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멈추어서 오해를 밝히거나 왜곡을 분개하는 일이 드물었다. 그는 결코 아무에게도 조언을 구하지 않았고 기도해 달라고 부탁하지도 않았다. |
|
141:7.12 (1594.6) The apostles were beginning to recognize the unaffected friendliness of Jesus. Though the Master was easy of approach, he always lived independent of, and above, all human beings. Not for one moment was he ever dominated by any purely mortal influence or subject to frail human judgment. He paid no attention to public opinion, and he was uninfluenced by praise. He seldom paused to correct misunderstandings or to resent misrepresentation. He never asked any man for advice; he never made requests for prayers. |
141:7.13 (1594.7) 예수가 처음부터 끝까지 사물을 꿰뚫어보는 듯한 것에 야고보는 놀랐다. 주는 놀란 듯이 보이는 적이 드물었다. 결코 흥분하거나 답답해하거나 당황하지 않았다. 그는 아무에게도 사과한 적이 없었다. 때때로 슬퍼했지만, 결코 낙심하지 않았다. |
|
141:7.13 (1594.7) James was astonished at how Jesus seemed to see the end from the beginning. The Master rarely appeared to be surprised. He was never excited, vexed, or disconcerted. He never apologized to any man. He was at times saddened, but never discouraged. |
141:7.14 (1594.8) 모든 신다운 자질이 있었는데도 결국은 그가 사람이라는 것을 요한은 더욱 뚜렷이 인식했다. 예수는 사람들 사이에서 한 사람으로서 살았고, 사람을 이해하고 사랑하였으며 사람들을 상대할 줄 알았다. 그의 사생활은 아주 인간다웠고 그래도 아무 잘못이 없었다. 언제나 이기심이 없었다. |
|
141:7.14 (1594.8) More clearly John recognized that, notwithstanding all of his divine endowments, after all, he was human. Jesus lived as a man among men and understood, loved, and knew how to manage men. In his personal life he was so human, and yet so faultless. And he was always unselfish. |
141:7.15 (1595.1) 베드로와 야고보와 요한은 비록 예수가 이 기회에 하신 말씀을 그다지 많이 이해할 수 없었지만 그 품위 있는 말씀은 그들의 가슴 속에 남아 있었고 십자가 처형과 부활이 있은 뒤에 솟아나와서 후일에 베푼 봉사를 보람 있고 기쁘게 하였다. 이 사도들이 주의 말씀을 완전히 알아듣지 못한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니, 그가 새 시대의 계획을 그들에게 미리 보여주고 있었기 때문이다. |
|
141:7.15 (1595.1) Although Peter, James, and John could not understand very much of what Jesus said on this occasion, his gracious words lingered in their hearts, and after the crucifixion and resurrection they came forth greatly to enrich and gladden their subsequent ministry. No wonder these apostles did not fully comprehend the Master’s words, for he was projecting to them the plan of a new age. |
8. 예리고에서 일하다 ^top |
|
8. Working in Jericho ^top |
141:8.1 (1595.2) 요단 강 건너 베다니에서 4주 머무르는 동안 내내, 주마다 몇 번 안드레는 쌍으로 사도들에게 하루나 이틀 동안 예리고로 올라가라고 배치하곤 하였다. 요한은 전에 예리고에 많은 신자를 거느리고 있었고 그 대다수가 예수와 사도들의 더 진보된 가르침을 환영하였다. 이번 예리고 방문에서, 사도들은 아픈 사람들을 보살피라는 예수의 지시를 비로소 더 구체적으로 수행하였다. 그 도시에서 그들은 집집마다 방문하고 고통받는 사람들을 모두 위로하려고 애썼다. |
|
141:8.1 (1595.2) Throughout the four weeks’ sojourn at Bethany beyond Jordan, several times each week Andrew would assign apostolic couples to go up to Jericho for a day or two. John had many believers in Jericho, and the majority of them welcomed the more advanced teachings of Jesus and his apostles. On these Jericho visits the apostles began more specifically to carry out Jesus’ instructions to minister to the sick; they visited every house in the city and sought to comfort every afflicted person. |
141:8.2 (1595.3) 사도들은 예리고에서 대중을 상대로 얼마큼 일했지만 그들의 노력은 대체로 전보다 조용하고 개인적인 성질의 것이었다. 하늘나라의 좋은 소식은 아픈 사람들에게 매우 위로가 된다, 전하는 말씀이 고통 받는 사람을 치유(治癒)하는 힘을 지녔다는 것을 발견했다. 예리고에서 열두 사도에게 하늘나라의 기쁜 소식을 전파하고 병자들을 보살피라는 예수의 지시가 처음으로 충분히 수행되었다. |
|
141:8.2 (1595.3) The apostles did some public work in Jericho, but their efforts were chiefly of a more quiet and personal nature. They now made the discovery that the good news of the kingdom was very comforting to the sick; that their message carried healing for the afflicted. And it was in Jericho that Jesus’ commission to the twelve to preach the glad tidings of the kingdom and minister to the afflicted was first fully carried into effect. |
141:8.3 (1595.4) 예루살렘으로 가는 길에 그들은 예리고에서 멈추었다. 예수와 회담하려고 메소포타미아에서 온 어느 대표단이 그들을 따라잡았다. 사도들은 여기서 하루만 보내려고 계획했지만, 동부에서 진실을 찾는 이 사람들이 도착했을 때 예수는 그들과 함께 사흘을 보냈다. 그들은 하늘나라의 새 진실을 알고서, 흐뭇한 마음으로 유프라테스 강을 따라서 자기들의 집으로 돌아갔다. |
|
141:8.3 (1595.4) They stopped in Jericho on the way up to Jerusalem and were overtaken by a delegation from Mesopotamia that had come to confer with Jesus. The apostles had planned to spend but a day here, but when these truth seekers from the East arrived, Jesus spent three days with them, and they returned to their various homes along the Euphrates happy in the knowledge of the new truths of the kingdom of heaven. |
9. 예루살렘을 향하여 떠나다 ^top |
|
9. Departing for Jerusalem ^top |
141:9.1 (1595.5) 3월의 마지막 날 월요일에, 예수와 사도들은 예루살렘을 향하여 가파른 여행 길에 올랐다. 베다니의 나사로는 예수를 만나려고 요단 강에 두 번 내려온 적이 있었고, 그들이 예루살렘에서 머무르기를 바라는 한, 베다니에 있는 나사로와 그 누이들의 집에서, 주와 사도들이 본부를 차리도록 만사가 준비되어 있었다. |
|
141:9.1 (1595.5) On Monday, the last day of March, Jesus and the apostles began their journey up the hills toward Jerusalem. Lazarus of Bethany had been down to the Jordan twice to see Jesus, and every arrangement had been made for the Master and his apostles to make their headquarters with Lazarus and his sisters at Bethany as long as they might desire to stay in Jerusalem. |
141:9.2 (1595.6) 요한의 제자들은 요단 강 건너의 베다니에 남아서 군중을 가르치고 세례를 주었기 때문에, 예수가 나사로의 집에 다다랐을 때 오직 열두 사도가 그를 동반하였다. 유월절을 지내려고 예루살렘으로 올라가기 전에, 여기서 예수와 사도들은 닷새 동안 머물러서 쉬고 원기를 회복했다. 주와 사도들을 나사로의 집에 모시는 것은 마르다와 마리아의 생애에 큰 사건이었고 두 여인은 이들의 시중을 들 수 있었다. |
|
141:9.2 (1595.6) The disciples of John remained at Bethany beyond the Jordan, teaching and baptizing the multitudes, so that Jesus was accompanied only by the twelve when he arrived at Lazarus’s home. Here Jesus and the apostles tarried for five days, resting and refreshing themselves before going on to Jerusalem for the Passover. It was a great event in the lives of Martha and Mary to have the Master and his apostles in the home of their brother, where they could minister to their needs. |
141:9.3 (1595.7) 4월 6일 일요일 아침에, 예수와 사도들은 예루살렘으로 내려갔다. 이번에 처음으로 주와 열두 사도 모두가 함께 거기에 있었다. |
|
141:9.3 (1595.7) On Sunday morning, April 6, Jesus and the apostles went down to Jerusalem; and this was the first time the Master and all of the twelve had been there togeth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