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55 편   Paper 155
갈릴리 북부를 거쳐서 달아나다   Fleeing Through Northern Galilee
155:0.1 (1725.1) 사건이 많았던 이 일요일에 게레사 근처에 배를 댄 뒤에 곧, 예수와 스물네 사람은 북쪽으로 얼마큼 갔다. 거기서 벳세다 줄리아스 남쪽에 있는 어느 아름다운 공원에서 밤을 지냈다. 지난 날에 거기서 멈춘 적이 있으니까, 그들은 이 야영지가 눈에 익었다. 밤에 잠자리에 들기 전에, 주는 추종자들을 주위에 부르고 바타니아갈릴리 북부를 거쳐서 페니키아 해안까지 가려고 예정한 여행을 위하여 계획을 함께 의논했다.   155:0.1 (1725.1) SOON after landing near Kheresa on this eventful Sunday, Jesus and the twenty-four went a little way to the north, where they spent the night in a beautiful park south of Bethsaida-Julias. They were familiar with this camping place, having stopped there in days gone by. Before retiring for the night, the Master called his followers around him and discussed with them the plans for their projected tour through Batanea and northern Galilee to the Phoenician coast.
1. 어째서 이교도가 격분하느냐? ^top   1. Why Do the Heathen Rage? ^top
155:1.1 (1725.2) 예수가 말했다: “시편의 저자(著者)가 이 시절에 대하여 어떻게 말했는가 너희는 모두 기억을 살려야 하느니라, ‘어째서 이교도가 격분하고 민족들이 헛되이 음모를 꾸미는가? 자비의 사슬을 잘라 버리고 사랑의 끈을 던져 버리자 말하면서, 땅의 임금들이 주에 대항하여, 그리고 그가 기름 부은 자에 대항하여, 관원들이 함께 의논하는도다.’   155:1.1 (1725.2) Said Jesus: “You should all recall how the Psalmist spoke of these times, saying, ‘Why do the heathen rage and the peoples plot in vain? The kings of the earth set themselves, and the rulers of the people take counsel together, against the Lord and against his anointed, saying, Let us break the bonds of mercy asunder and let us cast away the cords of love.’
155:1.2 (1725.3) “오늘날 너희는 이 말씀이 너희 눈앞에서 이루어짐을 보느니라. 그러나 시편 저자의 나머지 예언이 이루어짐을 구경하지 못할지니, 그가 사람의 아들에 대하여, 그리고 땅에서 이룰 그의 사명에 대하여 잘못된 생각을 품었음이라. 내 나라는 사랑에 기초를 두고 자비롭게 선포되며 사심(私心) 없는 봉사로 세워지느니라. 내 아버지는 이교도를 비웃으면서 하늘에 앉아 있지 않으며, 크게 불쾌하여 진노하지 않느니라. 아들이 이른바 이 이교도(실제는 무지하고 가르침 받지 못한 형제)를 유산으로 받으리라는 약속은 참말이요, 나는 자비와 사랑의 팔을 펼쳐 이 이방인들을 받아들이리라. 승리한 아들이 ‘저희를 쇠막대기로 부수고 도공의 그릇처럼 산산조각 내리라’고 암시하는 기록이 유감스러운 선언을 했어도, 이 모든 친절이 이른바 이교도에게 베풀어지리라. 시편의 저자는 ‘두려움으로 주를 섬기라’고 너희에게 훈계하였느니라 ― 나는 너희가 믿음으로 신의 아들이 되는 높은 특권을 받으라 이르노라. 그 저자는 너희가 떨면서 기뻐하라고 명령하나, 나는 너희가 확신을 가지고 기뻐하라 명하노라. 그는 말하되 ‘아들이 성내지 않도록 그에게 입맞추라, 그의 진노가 불이 붙으면 너희가 멸망할까 하니라.’ 그러나 너희는 나와 함께 살아 왔은즉 진노와 격노가 사람의 마음 속에서 하늘나라를 세우는 것과 아무 상관이 없음을 잘 아느니라. 그러나 이 훈계를 마치면서, ‘이 아들을 신뢰하는 자는 복이 있도다’ 말했을 때, 그 시편 저자는 참 빛을 어렴풋이 보았느니라.”   155:1.2 (1725.3) “Today you see this fulfilled before your eyes. But you shall not see the remainder of the Psalmist’s prophecy fulfilled, for he entertained erroneous ideas about the Son of Man and his mission on earth. My kingdom is founded on love, proclaimed in mercy, and established by unselfish service. My Father does not sit in heaven laughing in derision at the heathen. He is not wrathful in his great displeasure. True is the promise that the Son shall have these so-called heathen (in reality his ignorant and untaught brethren) for an inheritance. And I will receive these gentiles with open arms of mercy and affection. All this loving-kindness shall be shown the so-called heathen, notwithstanding the unfortunate declaration of the record which intimates that the triumphant Son ‘shall break them with a rod of iron and dash them to pieces like a potter’s vessel.’ The Psalmist exhorted you to ‘serve the Lord with fear’—I bid you enter into the exalted privileges of divine sonship by faith; he commands you to rejoice with trembling; I bid you rejoice with assurance. He says, ‘Kiss the Son, lest he be angry, and you perish when his wrath is kindled.’ But you who have lived with me well know that anger and wrath are not a part of the establishment of the kingdom of heaven in the hearts of men. But the Psalmist did glimpse the true light when, in finishing this exhortation, he said: ‘Blessed are they who put their trust in this Son.’”
155:1.3 (1725.4) 예수는 스물네 사람에게 계속 가르치며 말했다: “이교도가 우리에게 격분할 때 저희는 구실이 없지 않으니라. 저희는 시야(視野)가 작고 좁으므로 에너지를 열심히 집중할 수 있느니라. 저희의 목표는 가깝고 다소 눈에 보이는 것이니, 그러므로 용감하고 유능하게 처리하려고 애쓰느니라. 하늘나라로 들어간다고 고백한 너희의 가르치는 행동은 너무 오락가락하며 분명치 않구나. 이교도는 저희의 목표를 얻으려고 정면으로 공격하지만, 너희는 너무 오랫동안 동경하는 죄가 있도다. 너희가 하늘나라에 들어가고 싶다면, 이교도가 포위한 도시를 점령하는 것 같이, 어찌하여 영적 공격으로 하늘나라를 차지하지 않느냐? 대체로 지난날을 뉘우치고 오늘을 불평하며 헛되이 앞날을 희망하는 태도로 너희가 봉사할 때, 너희는 도저히 하늘나라에 들어갈 자격이 없느니라. 어째서 이교도가 격분하느냐? 저희가 진실을 모르는 까닭이라. 어찌하여 너희는 쓸데없이 꿈을 꾸며 시드느냐? 너희가 진실에 복종하지 않는 까닭이라. 쓸데없이 꿈꾸지 말고, 앞으로 나아가서 하늘나라를 세우는 데 관계되는 일을 용감히 하라.   155:1.3 (1725.4) Jesus continued to teach the twenty-four, saying: “The heathen are not without excuse when they rage at us. Because their outlook is small and narrow, they are able to concentrate their energies enthusiastically. Their goal is near and more or less visible; wherefore do they strive with valiant and effective execution. You who have professed entrance into the kingdom of heaven are altogether too vacillating and indefinite in your teaching conduct. The heathen strike directly for their objectives; you are guilty of too much chronic yearning. If you desire to enter the kingdom, why do you not take it by spiritual assault even as the heathen take a city they lay siege to? You are hardly worthy of the kingdom when your service consists so largely in an attitude of regretting the past, whining over the present, and vainly hoping for the future. Why do the heathen rage? Because they know not the truth. Why do you languish in futile yearning? Because you obey not the truth. Cease your useless yearning and go forth bravely doing that which concerns the establishment of the kingdom.
155:1.4 (1726.1) “너희가 무슨 일을 하여도 한쪽으로 치우치지 말고 지나치게 전문화하지 말라. 우리의 멸망을 추구하는 바리새인들은 하나님 섬기는 일을 한다고 진실로 생각하며, 저희는 전통 때문에 아주 좁아져서, 편견으로 눈이 멀고 두려움으로 마음이 굳어졌느니라. 그리스인을 생각해 보라, 저희는 종교 없이 과학을 가졌으나 유대인은 과학이 없이 종교를 가졌도다. 이처럼 좁고 혼잡스럽게 부서진 진실 조각을 받아들이도록 잘못 인도될 때, 사람들이 구원받을 유일한 희망은 진실과 조화되는 것 ― 전향하는 것이라.   155:1.4 (1726.1) “In all that you do, become not one-sided and overspecialized. The Pharisees who seek our destruction verily think they are doing God’s service. They have become so narrowed by tradition that they are blinded by prejudice and hardened by fear. Consider the Greeks, who have a science without religion, while the Jews have a religion without science. And when men become thus misled into accepting a narrow and confused disintegration of truth, their only hope of salvation is to become truth-co-ordinated—converted.
155:1.5 (1726.2) “이 영원한 진실을 강조해 보자: 진실과 조화됨으로 너희의 인생에서 올바름의 이 아름다운 순수함을 모범으로 보여주기를 배우면 동료들이 너희를 찾으리니, 너희가 그렇게 얻은 것을 저희가 얻을까 함이라. 진실을 추구하는 자가 너희에게 마음이 끌리는 만큼, 너희는 진실 재산, 올바름을 가진 것을 가리키느니라. 너희가 전하는 말씀을 가지고 사람들에게 얼마나 멀리 가야 하는가, 이것은 어떤 면에서 온전하거나 올바른 생애, 진실과 조화된 생애를 얼마나 너희가 살지 못하였는가를 재는 척도이라.”   155:1.5 (1726.2) “Let me emphatically state this eternal truth: If you, by truth co-ordination, learn to exemplify in your lives this beautiful wholeness of righteousness, your fellow men will then seek after you that they may gain what you have so acquired. The measure wherewith truth seekers are drawn to you represents the measure of your truth endowment, your righteousness. The extent to which you have to go with your message to the people is, in a way, the measure of your failure to live the whole or righteous life, the truth-co-ordinated life.”
155:1.6 (1726.3) 사도와 전도사들이 밤 인사를 드리고 베개 위에 잠을 청하기 전에, 주는 다른 여러 가지를 가르쳤다.   155:1.6 (1726.3) And many other things the Master taught his apostles and the evangelists before they bade him good night and sought rest upon their pillows.
2. 전도사들이 코라진에서 ^top   2. The Evangelists in Chorazin ^top
155:2.1 (1726.4) 5월 23일 월요일 아침에, 예수는 베드로에게 열두 전도사와 함께 코라진으로 가라 지시했고, 그동안에 열한 사도와 함께 케자리아 빌립비를 항하여 떠났다. 요단 강 길을 거쳐서 다마스커스-가버나움 길로 갔다. 거기서부터 북동쪽으로 케자리아 빌립비에 이르는 길과 만나는 점까지 갔고, 다음에 그 도시로 들어가서, 거기서 2주 동안 머무르고 가르쳤다. 5월 24일 화요일 오후에 도착했다.   155:2.1 (1726.4) On Monday morning, May 23, Jesus directed Peter to go over to Chorazin with the twelve evangelists while he, with the eleven, departed for Caesarea-Philippi, going by way of the Jordan to the Damascus-Capernaum road, thence northeast to the junction with the road to Caesarea-Philippi, and then on into that city, where they tarried and taught for two weeks. They arrived during the afternoon of Tuesday, May 24.
155:2.2 (1726.5) 베드로와 전도사들은 코라진에서 2주 동안 머물렀고, 작지만 열심 있는 무리의 신자들에게 하늘나라 복음을 전도했다. 그러나 새로운 전향자를 많이 얻을 수 없었다. 하늘나라를 위하여, 온 갈릴리의 어느 도시에서도 코라진만큼 사람들을 적게 설득한 곳이 없었다. 베드로의 지시에 따라서, 열두 전도사는 치유 ― 육체적인 것 ― 에 대하여 할 말이 적었고, 한편 하늘나라의 영적 진실을 더욱 활기 있게 전도하고 가르쳤다. 코라진에서 보낸 이 2주는, 여태까지 생애에서 가장 어렵고 보람없는 기간이었으므로 열두 전도사에게 진정한 역경(逆境)의 세례였다. 하늘나라로 사람들을 들어가라고 설득하는 만족감을 이렇게 빼앗겼기 때문에, 그들은 각자 자신의 혼을, 그리고 새 생활의 영적 길에서 혼이 얼마나 진보하였는가 더욱 진지하고 정직하게 돌이켜보았다.   155:2.2 (1726.5) Peter and the evangelists sojourned in Chorazin for two weeks, preaching the gospel of the kingdom to a small but earnest company of believers. But they were not able to win many new converts. No city of all Galilee yielded so few souls for the kingdom as Chorazin. In accordance with Peter’s instructions the twelve evangelists had less to say about healing—things physical—while they preached and taught with increased vigor the spiritual truths of the heavenly kingdom. These two weeks at Chorazin constituted a veritable baptism of adversity for the twelve evangelists in that it was the most difficult and unproductive period in their careers up to this time. Being thus deprived of the satisfaction of winning souls for the kingdom, each of them the more earnestly and honestly took stock of his own soul and its progress in the spiritual paths of the new life.
155:2.3 (1726.6) 아무도 더 하늘나라에 들어갈 생각이 없는 듯 보였을 때, 6월 7일 화요일에 베드로는 동료들을 한데 부르고 예수와 사도들과 합세하려고 케자리아 빌립비를 향하여 떠났다. 수요일 한낮 무렵에 도착하였고 코라진의 불신자들 가운데서 겪은 체험을 저녁 내내 되돌아보면서 보냈다. 이날 저녁 토론하는 동안에 예수는 씨 뿌리는 자의 비유를 더 언급했고, 일생의 사업에서 실패로 보이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는가 많이 가르쳤다.   155:2.3 (1726.6) When it appeared that no more people were minded to seek entrance into the kingdom, Peter, on Tuesday, June 7, called his associates together and departed for Caesarea-Philippi to join Jesus and the apostles. They arrived about noontime on Wednesday and spent the entire evening in rehearsing their experiences among the unbelievers of Chorazin. During the discussions of this evening Jesus made further reference to the parable of the sower and taught them much about the meaning of the apparent failure of life undertakings.
3. 케자리아 빌립비에서 ^top   3. At Caesarea-Philippi ^top
155:3.1 (1727.1) 케자리아 빌립비 가까이에서 이렇게 2주 머무르는 동안에 예수는 대중을 위해서 일하지 않았어도 사도들은 그 도시에서 조용한 저녁 모임을 수없이 열었고 많은 신자가 주와 이야기하려고 야영지로 나왔다. 이 방문의 결과로 신자들의 무리는 거의 늘어나지 않았다. 예수는 사도들과 날마다 이야기했고 그들은 하늘나라를 전파하는 일의 새 국면이 이제 시작되고 있음을 더욱 뚜렷하게 깨달았다. “하늘나라는 먹고 마시는 것이 아니라 신의 아들임을 받아들이는 영적 기쁨을 깨닫는 것”임을 알아듣기 시작했다.   155:3.1 (1727.1) Although Jesus did no public work during this two weeks’ sojourn near Caesarea-Philippi, the apostles held numerous quiet evening meetings in the city, and many of the believers came out to the camp to talk with the Master. Very few were added to the group of believers as a result of this visit. Jesus talked with the apostles each day, and they more clearly discerned that a new phase of the work of preaching the kingdom of heaven was now beginning. They were commencing to comprehend that the “kingdom of heaven is not meat and drink but the realization of the spiritual joy of the acceptance of divine sonship.”
155:3.2 (1727.2) 케자리아 빌립비에서 머무른 것은 열한 사도에게 진정한 시험이었고 견디기 어려운 2주였다. 그들은 거의 우울증에 빠졌고 열심인 베드로의 인격이 이따금 주는 자극이 없어서 서운했다. 이 시절에 예수를 믿고, 나가서 그를 따르는 것은 참으로 크고 벅찬 모험이었다. 이 2주 동안 전향자를 거의 얻지 못했어도 주와 날마다 가진 회의로부터 그들은 무척 유익한 것을 많이 배웠다.   155:3.2 (1727.2) The sojourn at Caesarea-Philippi was a real test to the eleven apostles; it was a difficult two weeks for them to live through. They were well-nigh depressed, and they missed the periodic stimulation of Peter’s enthusiastic personality. In these times it was truly a great and testing adventure to believe in Jesus and go forth to follow after him. Though they made few converts during these two weeks, they did learn much that was highly profitable from their daily conferences with the Master.
155:3.3 (1727.3) 진실을 구체적 신조(信條)로 만들었기 때문에, 유대인이 영적으로 침체되고 죽어 가고 있으며, 진실이 영적 안내와 진보의 길 표시로 쓰이는 대신에, 혼자만 옳다는 배타적 경계선으로 모습을 갖출 때 그런 가르침은 창조력과 생명력을 잃고 궁극에는 단지 보존제가 되고 화석(化石)이 되는 성향이 있다는 것을 사도들은 깨달았다.   155:3.3 (1727.3) The apostles learned that the Jews were spiritually stagnant and dying because they had crystallized truth into a creed; that when truth becomes formulated as a boundary line of self-righteous exclusiveness instead of serving as signposts of spiritual guidance and progress, such teachings lose their creative and life-giving power and ultimately become merely preservative and fossilizing.
155:3.4 (1727.4) 그들은 시간과 영원 속에서, 가능성 면에서 사람의 인격을 바라보는 것을 예수에게서 더욱 배웠다. 눈으로 볼 수 있는 형제를 사랑하기를 먼저 배움으로 눈에 보이지 않는 하나님을 사랑하도록 많은 사람을 최선(最善)으로 인도할 수 있다는 것을 배웠다. 바로 이와 관련하여, 동료들에게 사심 없이 봉사하는 것에 대하여, “내 형제 가운데 가장 작은 자 하나에게 행한 만큼 너희는 그렇게 나에게 행한 것이니라” 하는 주의 선언에 새로운 의미가 붙게 되었다.   155:3.4 (1727.4) Increasingly they learned from Jesus to look upon human personalities in terms of their possibilities in time and in eternity. They learned that many souls can best be led to love the unseen God by being first taught to love their brethren whom they can see. And it was in this connection that new meaning became attached to the Master’s pronouncement concerning unselfish service for one’s fellows: “Inasmuch as you did it to one of the least of my brethren, you did it to me.”
155:3.5 (1727.5) 케자리아에서 이번에 머무른 동안에 얻은 가장 큰 교훈의 하나는 종교적 전통의 기원에 관계되었다, 즉 신성하지 않은 것이나 보통 생각이나 일상적인 사건에 신성한 느낌이 붙도록 버려 두는 심각한 위험에 관계되었다. 그들은 한 회의에서 참된 종교는 사람이 가장 높고 참된 확신에 진심으로 충성하는 것이라는 가르침을 얻고 나왔다.   155:3.5 (1727.5) One of the great lessons of this sojourn at Caesarea had to do with the origin of religious traditions, with the grave danger of allowing a sense of sacredness to become attached to nonsacred things, common ideas, or everyday events. From one conference they emerged with the teaching that true religion was man’s heartfelt loyalty to his highest and truest convictions.
155:3.6 (1727.6) 종교적 열망(熱望)이 겨우 물질적이라면, 늘어나는 과학 지식은 사물의 초자연적 기원이라고 생각되는 것을 점진적으로 갈아치움으로 궁극에는 하나님을 믿는 신앙을 빼앗으리라, 하지만 종교가 영적이라면, 자연 과학의 진보는 영원한 실체와 신다운 가치들을 믿는 신앙을 결코 흔들 수 없다고 예수는 신자들에게 훈계하였다.   155:3.6 (1727.6) Jesus warned his believers that, if their religious longings were only material, increasing knowledge of nature would, by progressive displacement of the supposed supernatural origin of things, ultimately deprive them of their faith in God. But that, if their religion were spiritual, never could the progress of physical science disturb their faith in eternal realities and divine values.
155:3.7 (1727.7) 종교가 온전히 영적 동기를 가졌을 때, 종교는 모든 인생을 갈수록 더 가치 있게 만들며, 높은 목적으로 인생을 채우고 초월적 가치로 인생에 위엄을 주며, 훌륭한 동기로 인생을 북돋우고, 그렇게 하면서 숭고하고 북돋아주는 희망으로 인간의 혼을 위로한다는 것을 그들은 배웠다. 참된 종교는 존재의 긴장을 줄이도록 고안되어 있으며, 나날이 살아가고 사심 없이 봉사하도록 믿음과 용기를 방출한다. 믿음은 영적 활력을 갖게 하고 올바른 열매를 맺도록 촉진한다.   155:3.7 (1727.7) They learned that, when religion is wholly spiritual in motive, it makes all life more worth while, filling it with high purposes, dignifying it with transcendent values, inspiring it with superb motives, all the while comforting the human soul with a sublime and sustaining hope. True religion is designed to lessen the strain of existence; it releases faith and courage for daily living and unselfish serving. Faith promotes spiritual vitality and righteous fruitfulness.
155:3.8 (1727.8) 어떤 문명도 종교의 최선을 잃고는 오래 지속할 수 없다고 예수는 거듭해서 사도들에게 가르쳤다. 종교적 체험 대신에 종교적 상징과 예식을 받아들이는 큰 위험을 지칠 줄 모르고 열두 사람에게 지적했다. 얼어붙은 형태의 종교를 녹여서, 깨우친 아들의 자유, 물처럼 흐르는 자유로 만드는 사명에 그는 지상 생애 전부를 한결같이 바쳤다.   155:3.8 (1727.8) Jesus repeatedly taught his apostles that no civilization could long survive the loss of the best in its religion. And he never grew weary of pointing out to the twelve the great danger of accepting religious symbols and ceremonies in the place of religious experience. His whole earth life was consistently devoted to the mission of thawing out the frozen forms of religion into the liquid liberties of enlightened sonship.
4. 페니키아로 가는 길 ^top   4. On the Way to Phoenicia ^top
155:4.1 (1728.1) 6월 9일 목요일 아침에 벳세다에서 다윗의 사자들이 가져온 소식, 하늘나라가 어떻게 진전되는가 소식을 받은 뒤에, 진실을 가르치는 이 스물다섯 선생의 무리는 케자리아 빌립비를 떠나서 페니키아 해안을 향하여 여행을 시작했다. 늪 지대를 돌아서 츠의 길로 지나갔고, 막달라에서 레바논 산에 이르는 오솔길과 만나는 교차점까지, 그리고 거기서부터 시돈으로 이어지는 길과 만나는 점까지 갔으며, 금요일 오후에 시돈에 다다랐다.   155:4.1 (1728.1) On Thursday morning, June 9, after receiving word regarding the progress of the kingdom brought by the messengers of David from Bethsaida, this group of twenty-five teachers of truth left Caesarea-Philippi to begin their journey to the Phoenician coast. They passed around the marsh country, by way of Luz, to the point of junction with the Magdala-Mount Lebanon trail road, thence to the crossing with the road leading to Sidon, arriving there Friday afternoon.
155:4.2 (1728.2) 츠 가까이서, 튀어나온 바위 선반 그림자 밑에서 점심을 먹으려고 멈추는 동안, 예수는 그와 함께 했던 여러 해를 통하여 사도들이 들은 중에 가장 놀라운 말씀을 하였다. 빵을 먹으려고 자리를 잡자마자, 시몬 베드로가 예수에게 물었다: “주여, 하늘에 계신 아버지가 모든 것을 아시고, 그의 영이 땅에서 하늘나라를 세우는 일에 우리를 지원하시는데, 어찌하여 우리가 적들의 위협을 받고 도망치나이까? 어찌하여 진실의 적들과 대결하려 하지 않나이까?” 그러나 베드로의 물음에 예수가 미처 대답하기도 전에 토마스가 끼어들어 물었다: “주여, 예루살렘에 있는 우리 적들의 종교에 도대체 무슨 잘못이 있는가 나는 정말로 알고 싶나이다. 저희의 종교와 우리의 종교는 무엇이 정말 다르니이까? 우리 모두가 같은 하나님을 믿는다고 고백하면서 어찌하여 우리의 믿음이 그렇게 차이가 있나이까?” 토마스가 말을 마치고 나서 예수는 말했다: “베드로의 물음을 내가 무시하고 싶지 않으나, 바로 이때에 유대인 권력자들과 드러내고 충돌하기를 내가 피하는 까닭을 오해하기 얼마나 쉬울 것인가 잘 아는 까닭에, 차라리 토마스의 물음에 대답하기를 택한다면, 그래도 너희 모두에게 더욱 도움이 되리라. 너희가 점심을 마치고 나서 대답을 시작하겠노라.”   155:4.2 (1728.2) While pausing for lunch under the shadow of an overhanging ledge of rock, near Luz, Jesus delivered one of the most remarkable addresses which his apostles ever listened to throughout all their years of association with him. No sooner had they seated themselves to break bread than Simon Peter asked Jesus: “Master, since the Father in heaven knows all things, and since his spirit is our support in the establishment of the kingdom of heaven on earth, why is it that we flee from the threats of our enemies? Why do we refuse to confront the foes of truth?” But before Jesus had begun to answer Peter’s question, Thomas broke in, asking: “Master, I should really like to know just what is wrong with the religion of our enemies at Jerusalem. What is the real difference between their religion and ours? Why is it we are at such diversity of belief when we all profess to serve the same God?” And when Thomas had finished, Jesus said: “While I would not ignore Peter’s question, knowing full well how easy it would be to misunderstand my reasons for avoiding an open clash with the rulers of the Jews at just this time, still it will prove more helpful to all of you if I choose rather to answer Thomas’s question. And that I will proceed to do when you have finished your lunch.”
5. 참 종교에 대한 말씀 ^top   5. The Discourse on True Religion ^top
155:5.1 (1728.3) 종교에 대한 잊지 못할 이 강론은 현대의 말투로 간추리고 다시 진술하면, 다음의 진리를 표현하였다:   155:5.1 (1728.3) This memorable discourse on religion, summarized and restated in modern phraseology, gave expression to the following truths:
155:5.2 (1728.4) 세계의 종교들은 두 가지 기원 ― 자연의 기원과 계시적 기원 ― 이 있지만, 어느 시대, 어떤 한 민족 사이에서도, 세 가지 분명히 다른 형태의 종교적 헌신이 발견되도록 정해졌다. 종교적 욕구는 다음 세 가지로 형태로 나타난다:   155:5.2 (1728.4) While the religions of the world have a double origin—natural and revelatory—at any one time and among any one people there are to be found three distinct forms of religious devotion. And these three manifestations of the religious urge are:
155:5.3 (1728.5) 1. 원시 종교. 신비스러운 에너지를 두려워하고 자기보다 큰 물리적 힘을 섬기려는 반 자연스러운 본능적 욕구, 주로 물리적 자연을 믿는 종교, 두려움의 종교.   155:5.3 (1728.5) 1. Primitive religion. The seminatural and instinctive urge to fear mysterious energies and worship superior forces, chiefly a religion of the physical nature, the religion of fear.
155:5.4 (1728.6) 2. 문명의 종교. 진보하는 종교적 개념과 문명화하는 민족들의 관습 ― 머리를 쓰는 종교 ― 확립된 종교적 전통의 권위를 가진 지적(知的) 신학.   155:5.4 (1728.6) 2. The religion of civilization. The advancing religious concepts and practices of the civilizing races—the religion of the mind—the intellectual theology of the authority of established religious tradition.
155:5.5 (1728.7) 3. 참된 종교 ― 계시 종교. 초자연적 가치가 있는 계시, 영원한 실체들을 꿰뚫어보는 부분적 통찰력, 하늘에 계신 아버지의 무한한 성품이 선하고 아름다움을 한 번 보는 것 ― 인간의 체험에서 나타나는 것과 같은, 영의 종교.   155:5.5 (1728.7) 3. True religion—the religion of revelation. The revelation of supernatural values, a partial insight into eternal realities, a glimpse of the goodness and beauty of the infinite character of the Father in heaven—the religion of the spirit as demonstrated in human experience.
155:5.6 (1729.1) 자연인의 육체적 느낌과 미신을 믿는 두려움에서 생겨난 종교를 주는 비난하려 하지 않았다. 하지만 이 원시 형태의 예배가 인류에서 총명한 축에 속하는 종족들의 종교 형태에서 너무 많이 지속한다는 사실을 한탄하였다. 지적 종교와 영적 종교의 큰 차이점은, 전자(前者)가 교회의 권위로 지탱하는 데 반하여, 후자는 온전히 인간의 체험에 바탕을 두는 것이다.   155:5.6 (1729.1) The religion of the physical senses and the superstitious fears of natural man, the Master refused to belittle, though he deplored the fact that so much of this primitive form of worship should persist in the religious forms of the more intelligent races of mankind. Jesus made it clear that the great difference between the religion of the mind and the religion of the spirit is that, while the former is upheld by ecclesiastical authority, the latter is wholly based on human experience.
155:5.7 (1729.2) 다음에, 가르치는 시간에 주는 계속하여 이러한 진리를 뚜렷하게 설명했다:   155:5.7 (1729.2) And then the Master, in his hour of teaching, went on to make clear these truths:
155:5.8 (1729.3) 민족들이 상당히 지적이고 충분히 문명화될 때까지 유치하고 미신을 믿는 많은 예식이 지속할 터이고, 이것은 원시적이고 뒤떨어진 민족들의 진화적 종교 관습의 특징을 잘 나타낸다. 인류가 영적 체험의 현실을 더 높이 더 널리 인정하는 수준으로 진보할 때까지, 큰 집단의 남녀가 지적 동의(同意)만 요구하는 권위적 종교를 개인적으로 더 좋아하는 성향을 계속 보일 것이다. 이와 반대로 영의 종교에는 진취적 인간 체험을 겪는 벅찬 현실과 씨름하는 신앙의 모험에 지성과 혼의 적극적 참여가 따른다.   155:5.8 (1729.3) Until the races become highly intelligent and more fully civilized, there will persist many of those childlike and superstitious ceremonies which are so characteristic of the evolutionary religious practices of primitive and backward peoples. Until the human race progresses to the level of a higher and more general recognition of the realities of spiritual experience, large numbers of men and women will continue to show a personal preference for those religions of authority which require only intellectual assent, in contrast to the religion of the spirit, which entails active participation of mind and soul in the faith adventure of grappling with the rigorous realities of progressive human experience.
155:5.9 (1729.4) 권위를 내세우는 전통적 종교를 받아들이는 것은 영적 성품의 간절한 소망을 채우려는 사람의 충동에 대하여 쉬운 해결책을 제시한다. 정착되고 굳어지고 확립된, 권위의 종교는 어지럽고 산란해진 사람의 혼이 두려움에 떨고 불안에 시달릴 때, 도피해도 되는 즉석의 안식처를 마련해 준다. 그런 종교는 만족과 확신을 얻는 값으로 신자들에게 오직 시키는 대로, 순전히 지적(知的) 동의를 요구한다.   155:5.9 (1729.4) The acceptance of the traditional religions of authority presents the easy way out for man’s urge to seek satisfaction for the longings of his spiritual nature. The settled, crystallized, and established religions of authority afford a ready refuge to which the distracted and distraught soul of man may flee when harassed by fear and tormented by uncertainty. Such a religion requires of its devotees, as the price to be paid for its satisfactions and assurances, only a passive and purely intellectual assent.
155:5.10 (1729.5) 이런 방법으로 종교적 위로를 얻는 것을 더 좋아할 사람, 겁먹고 두려워하고 망설이는 사람들이 땅에서 오랫동안 살 것이다. 권위를 내세우는 종교와 그렇게 운명을 같이 함으로, 그들은 인격의 주권을 더럽히고 자아의 존엄성을 떨어뜨리며, 가능한 모든 인간 체험 가운데 가장 가슴 떨리고 영감을 주는 다음과 같은 체험에 참여하는 권리를 모조리 넘겨준다 하더라도 그렇게 할 것이다: 즉 진실의 개인적 추구, 지적 발견의 위험에 부딪치는 흥분, 개인의 종교적 체험의 실체를 탐구하려는 결심, 그리고 인간의 존재에서 최대의 모험 ― 사람이 혼자 힘으로, 또 스스로 하나님을 찾다가 찾아내는 모험 ― 에서 정직하게 얻는 승리, 영적 믿음이 지적 의심을 이기는 것을 실제로 깨닫는 만족, 개인적으로 승리하는 최고의 만족을 얻는 체험이다.   155:5.10 (1729.5) And for a long time there will live on earth those timid, fearful, and hesitant individuals who will prefer thus to secure their religious consolations, even though, in so casting their lot with the religions of authority, they compromise the sovereignty of personality, debase the dignity of self-respect, and utterly surrender the right to participate in that most thrilling and inspiring of all possible human experiences: the personal quest for truth, the exhilaration of facing the perils of intellectual discovery, the determination to explore the realities of personal religious experience, the supreme satisfaction of experiencing the personal triumph of the actual realization of the victory of spiritual faith over intellectual doubt as it is honestly won in the supreme adventure of all human existence—man seeking God, for himself and as himself, and finding him.
155:5.11 (1729.6) 영의 종교는 노력ㆍ투쟁ㆍ싸움ㆍ신앙ㆍ결심ㆍ사랑ㆍ충성ㆍ진보를 의미한다. 지성의 종교 ― 권위를 내세우는 신학(神學) ― 은 형식을 따르는 신자들에게 이렇게 있는 힘을 다하라고 거의 또는 조금도 요구하지 않는다. 두려워하고 건성으로 믿는 혼에게 전통은 안전한 피난처요 쉬운 길이다. 그러한 사람들은 진취적 인간 지성이 발견하고 진화하는 인간 혼이 체험할 수도 있는, 먼 바닷가의 영적 현실을 찾아서, 탐구되지 않은 진실의 거센 파도를 무릅쓰고 모험하는 믿음의 항해에서 겪는, 그러한 영적 투쟁과 정신적 불안을 본능적으로 피한다.   155:5.11 (1729.6) The religion of the spirit means effort, struggle, conflict, faith, determination, love, loyalty, and progress. The religion of the mind—the theology of authority—requires little or none of these exertions from its formal believers. Tradition is a safe refuge and an easy path for those fearful and halfhearted souls who instinctively shun the spirit struggles and mental uncertainties associated with those faith voyages of daring adventure out upon the high seas of unexplored truth in search for the farther shores of spiritual realities as they may be discovered by the progressive human mind and experienced by the evolving human soul.
155:5.12 (1729.7) 예수는 말씀을 이었다: “예루살렘에서 종교 지도자들은 전통적 선생과 지난 시대 선지자들의 여러 신조를 확립된 체계의 지적 관념으로, 즉 권위의 종교로 만들었느니라. 모든 그러한 종교는 대체로 지성에 호소하느니라. 우리가 얼마 안 있어 비로소 새 종교를 용감하게 선언할 것이므로, 이제 우리는 바야흐로 그러한 종교와 목숨을 건 싸움에 들어가려 하느니라 ― 이 새 종교는 그 말이 오늘날 뜻하는 종교가 아니라, 사람의 정신에 거하는 내 아버지의 신성한 영에게 주로 호소하는 종교이라. 그 종교는 이를 받아들여 생기는 열매로부터 권위를 얻어내리니, 그 열매는 이렇게 더 높은 영적 교통이 있다는 진실을 정말로, 참으로 믿는 모든 사람이 몸소 겪는 체험에서 아주 확실히 나타날 것이라.”   155:5.12 (1729.7) And Jesus went on to say: “At Jerusalem the religious leaders have formulated the various doctrines of their traditional teachers and the prophets of other days into an established system of intellectual beliefs, a religion of authority. The appeal of all such religions is largely to the mind. And now are we about to enter upon a deadly conflict with such a religion since we will so shortly begin the bold proclamation of a new religion—a religion which is not a religion in the present-day meaning of that word, a religion that makes its chief appeal to the divine spirit of my Father which resides in the mind of man; a religion which shall derive its authority from the fruits of its acceptance that will so certainly appear in the personal experience of all who really and truly become believers in the truths of this higher spiritual communion.”
155:5.13 (1730.1) 스물네 사람을 하나하나 지적하고 이름을 부르면서 예수는 말했다: “그리고 자, 하늘나라의 영원한 진실과 최고의 장려함을 생생하게 몸소 체험하는 아름다운 현실을 스스로 발견하는 만족을 느끼면서, 너희 중에 누가 사람들을 구원하는 더 좋은 길을 선포하는 사명에 따르는 어려움과 박해를 견디겠느냐? 아니면 예루살렘에 있는 바리새인들이 방어하는 길, 확립되고 굳어진 종교에 순응하는 이 쉬운 길을 택하는 것이 더 좋으냐? 너희는 무섭고 연약하고 안일을 찾느냐? 너희는 앞날을 진리의 하나님 손에 맡기기가 두려우냐, 너희는 누구의 아들이냐? 너희는 아들이어든 아버지를 믿지 못하느냐? 너희는 전통적 권위의 종교가 주는 확신과 지적 안정으로 이끄는 쉬운 길로 돌아가겠느냐, 아니면 몸을 가다듬고서, 영의 종교의 새로운 진실, 사람들의 마음 속에 하늘나라를 선포하는 미래, 확실치 않고 어지러운 미래를 향하여 나와 함께 가겠느냐?”   155:5.13 (1730.1) Pointing out each of the twenty-four and calling them by name, Jesus said: “And now, which one of you would prefer to take this easy path of conformity to an established and fossilized religion, as defended by the Pharisees at Jerusalem, rather than to suffer the difficulties and persecutions attendant upon the mission of proclaiming a better way of salvation to men while you realize the satisfaction of discovering for yourselves the beauties of the realities of a living and personal experience in the eternal truths and supreme grandeurs of the kingdom of heaven? Are you fearful, soft, and ease-seeking? Are you afraid to trust your future in the hands of the God of truth, whose sons you are? Are you distrustful of the Father, whose children you are? Will you go back to the easy path of the certainty and intellectual settledness of the religion of traditional authority, or will you gird yourselves to go forward with me into that uncertain and troublous future of proclaiming the new truths of the religion of the spirit, the kingdom of heaven in the hearts of men?”
155:5.14 (1730.2) 이것은 예수가 일찍이 하신 몇 번 안 되는 이러한 감정적 호소 중 하나였고, 말씀을 듣던 스물네 사람이 모두 일어나서, 이에 뭉쳐서 충성한다는 반응을 표시하려고 했다. 그러나 예수는 손을 올려서 그들을 멈추고 말했다: “이제 너희는 따로 가라, 각 사람이 혼자서 하나님과 함께, 거기서 내 질문에 대하여 냉철한 대답을 찾아내고 그러한 참되고 진지한 혼의 태도를 찾고 나서, 그 대답을 내 아버지요 너희 아버지께 거리낌 없이 용감히 대답하라. 사랑을 주는 그의 무한한 생명은 우리가 선포하는 종교의 바로 그 정신이라.”   155:5.14 (1730.2) All twenty-four of his hearers rose to their feet, intending to signify their united and loyal response to this, one of the few emotional appeals which Jesus ever made to them, but he raised his hand and stopped them, saying: “Go now apart by yourselves, each man alone with the Father, and there find the unemotional answer to my question, and having found such a true and sincere attitude of soul, speak that answer freely and boldly to my Father and your Father, whose infinite life of love is the very spirit of the religion we proclaim.”
155:5.15 (1730.3) 전도사와 사도들은 잠시 동안 자기들끼리 따로 갔다. 그들의 정신은 격려를 받고 지성은 영감을 받았으며, 감정은 예수의 말씀에 힘차게 움직였다. 그러나 안드레가 그들을 함께 불러 모았을 때, 주는 이렇게 말했을 뿐이다: “여행을 다시 떠나자. 우리는 페니키아로 가서 한동안 머무르고 너희는 모두, 너희의 육체와 지성의 감동을 더 높은 지적 충성으로, 그리고 더욱 만족스러운 영의 체험으로 변화시키기 위하여 아버지께 기도해야 하느니라.”   155:5.15 (1730.3) The evangelists and apostles went apart by themselves for a short time. Their spirits were uplifted, their minds were inspired, and their emotions mightily stirred by what Jesus had said. But when Andrew called them together, the Master said only: “Let us resume our journey. We go into Phoenicia to tarry for a season, and all of you should pray the Father to transform your emotions of mind and body into the higher loyalties of mind and the more satisfying experiences of the spirit.”
155:5.16 (1730.4) 길을 따라 여행하면서 스물네 사람은 말이 없었지만, 금방 서로 이야기하기 시작했고 그날 오후 세 시가 되자 더 나아갈 수 없었다. 그들은 멈추었고 베드로는 예수에게 가서 말했다: “주여, 당신은 우리에게 생명과 진실의 말씀을 주셨나이다. 우리는 더 듣고자 하나이다. 이 문제에 관하여 더 말씀해 주시기를 간청하나이다.”   155:5.16 (1730.4) As they journeyed on down the road, the twenty-four were silent, but presently they began to talk one with another, and by three o’clock that afternoon they could not go farther; they came to a halt, and Peter, going up to Jesus, said: “Master, you have spoken to us the words of life and truth. We would hear more; we beseech you to speak to us further concerning these matters.”
6. 종교에 대한 둘째 강론 ^top   6. The Second Discourse on Religion ^top
155:6.1 (1730.5) 그래서, 산허리의 그늘에서 멈춘 동안, 예수는 영의 종교에 관하여 계속 가르쳤는데, 이런 내용으로 말씀하였다:   155:6.1 (1730.5) And so, while they paused in the shade of the hillside, Jesus continued to teach them regarding the religion of the spirit, in substance saying:
155:6.2 (1730.6) 너희는 지성의 종교에 만족한 채로 있기로 작정한 너희 동료들 사이에서 뛰쳐나왔고, 저희는 안전(安全)을 몹시 바라고 전통에 순응하기를 더 좋아하느니라. 너희는 권위적 확신의 느낌을 버리고, 모험적이고 진취적 믿음을 주는 영의 보장을 선택하였도다. 너희는 제도적 종교의 모진 속박에 감히 저항하고, 지금 하나님의 말씀이라고 여기는, 기록된 전통의 권위를 물리쳤느니라. 우리의 아버지는 정말로 모세엘리야아모스호세아를 통하여 말씀하였으나, 이 옛 선지자들은 말씀을 그쳤어도 그는 세상에 진실의 말씀을 그치지 않고 주셨도다. 내 아버지는 진실의 말씀을 한 시대에 허용하고 다른 시대에 허락하지 않으면서 민족이나 세대를 차별하는 분이 아니라. 온전히 인간다운 것을 신답다고 부르는 어리석은 일을 저지르지 말며, 영감을 받았다고 생각되는 전통적 신탁(神託)을 통하지 않고서 오는 진실의 말씀을 놓치지 말고 헤아리라.   155:6.2 (1730.6) You have come out from among those of your fellows who choose to remain satisfied with a religion of mind, who crave security and prefer conformity. You have elected to exchange your feelings of authoritative certainty for the assurances of the spirit of adventurous and progressive faith. You have dared to protest against the grueling bondage of institutional religion and to reject the authority of the traditions of record which are now regarded as the word of God. Our Father did indeed speak through Moses, Elijah, Isaiah, Amos, and Hosea, but he did not cease to minister words of truth to the world when these prophets of old made an end of their utterances. My Father is no respecter of races or generations in that the word of truth is vouchsafed one age and withheld from another. Commit not the folly of calling that divine which is wholly human, and fail not to discern the words of truth which come not through the traditional oracles of supposed inspiration.
155:6.3 (1731.1) 나는 너희에게 다시 태어나라, 영에게서 태어나라 요구하였노라. 나는 권위의 어두움과 무기력한 전통으로부터 너희를 끌어내어, 인간의 혼이 할 수 있는 가장 큰 발견을 할 수 있게 하는 가능성을 깨닫는 초월적 빛 속으로 인도하였노라 ― 이것은 혼자 힘으로, 자신 속에서, 자기 스스로 하나님을 찾아내며, 자기 개인 체험에서 하나의 사실로서 이 모두를 행하는 천상의 체험이라. 그렇게 너희가 죽음에서 생명으로, 전통의 권위에서 하나님을 아는 체험으로 건너가기 위한 것이라. 이처럼 너희는 어둠에서 빛으로, 물려 받은 민족의 신앙으로부터 실제 체험을 거친 개인적 신앙으로 옮겨갈 것이요, 그렇게 함으로 너희는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지성의 신학에서 영원한 재산으로서 너희 혼 안에서 세워질, 참된 영의 종교에 이르기까지 진보하리라.   155:6.3 (1731.1) I have called upon you to be born again, to be born of the spirit. I have called you out of the darkness of authority and the lethargy of tradition into the transcendent light of the realization of the possibility of making for yourselves the greatest discovery possible for the human soul to make—the supernal experience of finding God for yourself, in yourself, and of yourself, and of doing all this as a fact in your own personal experience. And so may you pass from death to life, from the authority of tradition to the experience of knowing God; thus will you pass from darkness to light, from a racial faith inherited to a personal faith achieved by actual experience; and thereby will you progress from a theology of mind handed down by your ancestors to a true religion of spirit which shall be built up in your souls as an eternal endowment.
155:6.4 (1731.2) 너희의 종교는 전통적 권위를 믿는 단순한 지적 관념으로부터, 하나님의 실체 그리고 아버지의 신다운 영에 관계되는 모든 것을 붙잡을 수 있는, 생생한 믿음을 얻는 실제 체험으로 바뀌리라. 지성의 종교는 너희를 희망 없이 지난날에 묶어 놓지만, 영의 종교는 점진적 계시에 있고, 영적 이상과 영원한 실체 면에서 더욱 높고 거룩한 것을 성취하는 방향으로 계속 가도록 늘 너희에게 손짓하느니라.   155:6.4 (1731.2) Your religion shall change from the mere intellectual belief in traditional authority to the actual experience of that living faith which is able to grasp the reality of God and all that relates to the divine spirit of the Father. The religion of the mind ties you hopelessly to the past; the religion of the spirit consists in progressive revelation and ever beckons you on toward higher and holier achievements in spiritual ideals and eternal realities.
155:6.5 (1731.3) 권위의 종교는 즉시 자리 잡힌 안전한 느낌을 줄지 모르지만, 그러한 일시적 만족을 위하여 너희는 영적 자유와 종교적 해방을 잃음으로 대가(代價)를 치르느니라. 하늘나라로 들어가는 대가로, 내 아버지는 너희에게 영적으로 불쾌하고 거룩하지 않고 진실하지 않은 것을 믿는 신앙을 강제로 지지해야 한다고 요구하지 않느니라. 낡아빠진 체계의 종교적 형태와 예식에 굴복함으로 바로 너의 자비ㆍ정의ㆍ진실의 감각을 짓밟으라고 요구하지 않느니라. 영의 종교는 영의 인도하심이 어디로 데려가든지, 언제까지나 진실을 따르도록 너희를 자유롭게 두느니라. 누가 판단할 수 있느냐? ― 아마도 이 영은 다른 세대가 듣기 싫어한 무엇인가를 이 세대에게 나눠줄 수도 있느니라.   155:6.5 (1731.3) While the religion of authority may impart a present feeling of settled security, you pay for such a transient satisfaction the price of the loss of your spiritual freedom and religious liberty. My Father does not require of you as the price of entering the kingdom of heaven that you should force yourself to subscribe to a belief in things which are spiritually repugnant, unholy, and untruthful. It is not required of you that your own sense of mercy, justice, and truth should be outraged by submission to an outworn system of religious forms and ceremonies. The religion of the spirit leaves you forever free to follow the truth wherever the leadings of the spirit may take you. And who can judge—perhaps this spirit may have something to impart to this generation which other generations have refused to hear?
155:6.6 (1731.4) 거짓 종교 선생들에게 치욕이 있을진저! 저희는 갈급한 사람들을 어둠침침하고 먼 과거로 도로 끌어다가 거기에 버려두려하는도다. 그래서 이 불행한 사람들은 새로운 발견이 있을 때마다 그렇게 깜짝 놀랄 운명을 가졌고, 한편 진실이 새롭게 계시될 때마다 저희는 당황하느니라. “생각이 하나님께 머물러 있는 자는 완전한 평화 속에 있으리라”고 말한 선지자는(*) 단지 권위의 신학을 지적으로 믿기만 한 자가 아니었도다. 진실을 아는 이 사람은 하나님을 찾아냈고 하나님에 대하여 입으로 말만 하지 않았느니라.   155:6.6 (1731.4) Shame on those false religious teachers who would drag hungry souls back into the dim and distant past and there leave them! And so are these unfortunate persons doomed to become frightened by every new discovery, while they are discomfited by every new revelation of truth. The prophet who said, “He will be kept in perfect peace whose mind is stayed on God,” was not a mere intellectual believer in authoritative theology. This truth-knowing human had discovered God; he was not merely talking about God.
155:6.7 (1731.5) 너희에게 훈계하노니, 항상 옛 선지자들을 인용하고 이스라엘의 영웅들을 찬양하는 관습을 버리라, 그 대신에 최고자의 살아 있는 선지자가 되고 다가오는 하늘나라에서 영적 영웅이 될 포부를 가지라. 지난날에 하나님을 아는 지도자들에게 명예를 돌리는 것이 정말로 가치 있을지 모르지만, 그렇게 하면서 어찌하여 인간의 존재에서 최대의 체험, 하나님을 너희 혼자서 찾아내고 자신의 혼 속에서 하나님을 이해하는 체험을 너희가 버려야 하느냐?   155:6.7 (1731.5) I admonish you to give up the practice of always quoting the prophets of old and praising the heroes of Israel, and instead aspire to become living prophets of the Most High and spiritual heroes of the coming kingdom. To honor the God-knowing leaders of the past may indeed be worth while, but why, in so doing, should you sacrifice the supreme experience of human existence: finding God for yourselves and knowing him in your own souls?
155:6.8 (1732.1) 인류의 어떤 종족이든지 인간의 존재에 대하여 자체의 지적 견해를 가지며, 따라서 지성의 종교는 종족의 이 여러 가지 관점에 늘 충실해야 하느니라. 권위의 종교는 결코 통일에 이를 수 없고, 인류의 통일과 필사자의 형제 정신은 오로지, 영의 종교를 위에서 부여함으로, 그리고 이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느니라. 종족의 지성은 서로 다를지 모르나 온 인류에게 똑같이 신답고 영원한 영이 깃드느니라. 권위를 내세우는 갈라지는 지성의 종교들 속에, 사람을 하나가 되게 하고 고귀하게 만드는 영의 종교 ― 개인이 영적 체험을 얻는 종교 ― 가 침투하고 압도할 때에야, 그리고 그렇게 됨에 따라서, 인간이 형제가 되는 희망이 이루어질 수 있느니라.   155:6.8 (1732.1) Every race of mankind has its own mental outlook upon human existence; therefore must the religion of the mind ever run true to these various racial viewpoints. Never can the religions of authority come to unification. Human unity and mortal brotherhood can be achieved only by and through the superendowment of the religion of the spirit. Racial minds may differ, but all mankind is indwelt by the same divine and eternal spirit. The hope of human brotherhood can only be realized when, and as, the divergent mind religions of authority become impregnated with, and overshadowed by, the unifying and ennobling religion of the spirit—the religion of personal spiritual experience.
155:6.9 (1732.2) 권위의 종교는 오직 사람들을 갈라놓고 양심적으로 서로 맞서는 대열에 서게 하며, 영의 종교는 점진적으로 사람들을 함께 모으고, 서로 이해하는 태도로 공감하게 하느니라. 권위의 종교는 사람들에게 신조(信條)가 한결같기를 요구하지만, 이것은 현재의 세계 상태에서 실현이 불가능하니라. 영의 종교는 오직 체험이 하나되기 ― 운명이 한결같기 ― 를 요구하고, 신조의 다양성을 충분히 허락하느니라. 영의 종교는 관점과 전망이 한결같은 것이 아니라 오직 통찰력이 한결같기를 요구하느니라. 영의 종교는 지적 관점이 한결같기를 요구하지 않고, 오직 영의 느낌이 하나되기를 요구하느니라. 권위의 종교는 굳어져서 생명이 없는 신조들로 변하며, 한편 영의 종교는 성장해서, 사랑으로 봉사하고 자비를 베푸는 행위, 사람을 고귀하게 만드는 일을 하는, 늘어나는 기쁨과 자유로 이끄느니라.   155:6.9 (1732.2) The religions of authority can only divide men and set them in conscientious array against each other; the religion of the spirit will progressively draw men together and cause them to become understandingly sympathetic with one another. The religions of authority require of men uniformity in belief, but this is impossible of realization in the present state of the world. The religion of the spirit requires only unity of experience—uniformity of destiny—making full allowance for diversity of belief. The religion of the spirit requires only uniformity of insight, not uniformity of viewpoint and outlook. The religion of the spirit does not demand uniformity of intellectual views, only unity of spirit feeling. The religions of authority crystallize into lifeless creeds; the religion of the spirit grows into the increasing joy and liberty of ennobling deeds of loving service and merciful ministration.
155:6.10 (1732.3) 그러나 아브라함의 자손이 전통적으로 무력한 이러한 불운을 만났다고 해서 너희 중 누구도 저희를 가벼이 여기지 않도록 경계하라. 우리의 조상은 하나님을 집요하게 열심히 찾느라고 헌신했고, 아담 시절 이후로 어떤 다른 민족도 저희가 찾아낸 만큼 하나님을 알지 못하였으나, 아담은 자신이 하나님의 아들이었으므로 이를 많이 알았느니라. 내 아버지는 모세의 시절 이후로, 하나님을 발견하고 하나님을 알고자 하는 투쟁, 길고도 지칠 줄 모르는 이스라엘의 투쟁을 놓치지 않고 주목해 왔느니라. 지친 여러 세대 동안에, 유대인은 그침없이 수고하고 땀 흘리고 신음하고 진통을 겪었고, 오해 받고 경시(輕視)당한 민족의 고통을 견디고 서러움을 겪었으며, 이 모두가 하나님에 관한 진실을 발견하는 데 조금 더 가까이 가기 위한 것이었느니라. 이스라엘이 온갖 실패와 실수를 겪었어도, 점진적으로 모세로부터 아모스와 호세아 시절까지, 우리의 조상은 온 세계에 영원한 하나님의 그림, 갈수록 더 맑고 참된 그림을 늘 드러냈느니라. 그리하여 아버지의 더 큰 계시를 받기 위하여 길이 준비되었으며, 너희는 그 계시를 함께 가지라고 부름받았느니라.   155:6.10 (1732.3) But watch, lest any of you look with disdain upon the children of Abraham because they have fallen on these evil days of traditional barrenness. Our forefathers gave themselves up to the persistent and passionate search for God, and they found him as no other whole race of men have ever known him since the times of Adam, who knew much of this as he was himself a Son of God. My Father has not failed to mark the long and untiring struggle of Israel, ever since the days of Moses, to find God and to know God. For weary generations the Jews have not ceased to toil, sweat, groan, travail, and endure the sufferings and experience the sorrows of a misunderstood and despised people, all in order that they might come a little nearer the discovery of the truth about God. And, notwithstanding all the failures and falterings of Israel, our fathers progressively, from Moses to the times of Amos and Hosea, did reveal increasingly to the whole world an ever clearer and more truthful picture of the eternal God. And so was the way prepared for the still greater revelation of the Father which you have been called to share.
155:6.11 (1732.4) 살아 계신 하나님의 뜻을 발견하려고 애쓰는 것보다 더 만족스럽고 떨리는 모험이 오직 하나 있음을 잊지 말지니, 곧 신의 뜻을 행하려고 정직하게 애쓰는 최상의 체험이라. 땅에서 어떤 직업을 가져도 하나님의 뜻을 행할 수 있음을 반드시 기억하라. 어떤 직업은 거룩하지 않고 어떤 것은 세속적이라. 영에게 인도받는 자, 다시 말해서, 진실에 복종하고 사랑으로 고귀하게 되며, 자비에 지배되고 공정으로 ― 정의로 ― 몸을 삼가는 자의 생활에는 모든 것이 거룩하니라. 내 아버지와 내가 세상으로 보낼 영은 진실의 영일 뿐 아니라 또한 이상과 같이 아름다운 영이라.   155:6.11 (1732.4) Never forget there is only one adventure which is more satisfying and thrilling than the attempt to discover the will of the living God, and that is the supreme experience of honestly trying to do that divine will. And fail not to remember that the will of God can be done in any earthly occupation. Some callings are not holy and others secular. All things are sacred in the lives of those who are spirit led; that is, subordinated to truth, ennobled by love, dominated by mercy, and restrained by fairness—justice. The spirit which my Father and I shall send into the world is not only the Spirit of Truth but also the spirit of idealistic beauty.
155:6.12 (1732.5) 너희는 신학적 권위가 있는, 오래 된 기록의 페이지에서만 하나님의 말씀 찾기를 그쳐야 하느니라. 하나님의 영에게서 태어난 자는, 어디에 기원이 있는 듯 보이는가에 상관없이, 이제부터 하나님의 말씀을 헤아릴지니라. 말씀을 주신 경로가 인간을 통한 듯 보인다고 해서 그 신성한 진리를 깎아내려서는 안 되느니라. 너희 형제 중에 다수가 하나님에 관한 이론(理論)을 받아들이는 머리를 가졌어도, 영적으로 하나님의 계심을 깨닫지 못하느니라. 이것이 바로, 진지한 어린아이의 영적 태도를 얻어야 하늘나라를 최선으로 실현할 수 있다고 너희에게 그리 자주 가르친 까닭이라. 너희에게 권하는 것은 어린아이의 정신적 미숙함이 아니라, 오히려 쉽게 믿고 완전히 의지하는 어린아이의 그러한 영적 단순성이라. 하나님의 사실에 관하여 너희가 알아야 한다는 것은 하나님의 계심을 느끼는 능력이 더욱 자라야 하는 것만큼 중요하지 않으니라.   155:6.12 (1732.5) You must cease to seek for the word of God only on the pages of the olden records of theologic authority. Those who are born of the spirit of God shall henceforth discern the word of God regardless of whence it appears to take origin. Divine truth must not be discounted because the channel of its bestowal is apparently human. Many of your brethren have minds which accept the theory of God while they spiritually fail to realize the presence of God. And that is just the reason why I have so often taught you that the kingdom of heaven can best be realized by acquiring the spiritual attitude of a sincere child. It is not the mental immaturity of the child that I commend to you but rather the spiritual simplicity of such an easy-believing and fully-trusting little one. It is not so important that you should know about the fact of God as that you should increasingly grow in the ability to feel the presence of God.
155:6.13 (1733.1) 일단 너희의 혼 속에서 하나님을 발견하기 시작하면, 너희는 당장에 하나님을 다른 사람들의 혼에서 비로소 발견하고 궁극에는 막대한 우주의 모든 인간과 창조에서 발견하리라. 그러나 그런 영원한 실체를 깊이 생각하는 데 거의 또는 도무지 시간을 쓰지 않는 사람들의 혼 속에서 아버지가 최상으로 충실하고 신다운 이상적 하나님으로서 나타날 무슨 가망이 있느냐? 지성은 영적 성품이 거할 자리는 아니어도, 지성은 정말로 거기에 이르는 출입구이라.   155:6.13 (1733.1) When you once begin to find God in your soul, presently you will begin to discover him in other men’s souls and eventually in all the creatures and creations of a mighty universe. But what chance does the Father have to appear as a God of supreme loyalties and divine ideals in the souls of men who give little or no time to the thoughtful contemplation of such eternal realities? While the mind is not the seat of the spiritual nature, it is indeed the gateway thereto.
155:6.14 (1733.2) 그러나 너희가 하나님을 찾아냈다고 다른 사람들에게 증명하려고 애쓰는 잘못을 저지르지 말라. 너희는 의식하여 그런 정당한 증명을 내놓을 수 없느니라. 하지만 너희가 하나님을 알고 있다는 사실을 분명하고 힘차게 보여주는 두 가지 증거가 있으니 다음과 같으니라:   155:6.14 (1733.2) But do not make the mistake of trying to prove to other men that you have found God; you cannot consciously produce such valid proof, albeit there are two positive and powerful demonstrations of the fact that you are God-knowing, and they are:
155:6.15 (1733.3) 1. 날마다 너의 일상 생활에서 나타나는, 하나님 영(靈)의 열매.   155:6.15 (1733.3) 1. The fruits of the spirit of God showing forth in your daily routine life.
155:6.16 (1733.4) 2. 너의 전 생애의 계획이 영원의 하나님을 발견하는 희망을 추구하면서, 죽은 뒤에 살아남는 모험에 너 자신 모두, 그리고 네가 가진 모든 것을 아낌없이 걸었다는 분명한 증명을 마련해준다는 사실. 그 하나님의 계심을, 때에 맞게 너는 미리 맛보았느니라.   155:6.16 (1733.4) 2. The fact that your entire life plan furnishes positive proof that you have unreservedly risked everything you are and have on the adventure of survival after death in the pursuit of the hope of finding the God of eternity, whose presence you have foretasted in time.
155:6.17 (1733.5) 자, 잘못 알아듣지 말지니, 내 아버지는 꺼질 듯 가물거리는 아주 가냘픈 믿음에도 늘 반응하시리라. 그는 원시인의 육체적인 미신(迷信) 감정도 주목하시니라. 믿음이 아주 약하여 권위의 종교에 수동적으로 찬성하는 태도, 지적 순응에 지나지 않는 그러한 믿음을 가진 자, 정직해도 두려워하는 자의 경우에, 아버지를 향하여 손을 뻗으려는 어떤 그러한 미약한 시도까지도 허락하고 길러주려고 아버지는 늘 깨어 계시니라. 그러나 어둠에서 빛으로 부름 받은 너희에게는 마음을 다하여 믿는 것이 기대되느니라. 너희의 믿음이 육체ㆍ지성ㆍ영, 이 셋의 통합된 태도를 지배할지니라.   155:6.17 (1733.5) Now, mistake not, my Father will ever respond to the faintest flicker of faith. He takes note of the physical and superstitious emotions of the primitive man. And with those honest but fearful souls whose faith is so weak that it amounts to little more than an intellectual conformity to a passive attitude of assent to religions of authority, the Father is ever alert to honor and foster even all such feeble attempts to reach out for him. But you who have been called out of darkness into the light are expected to believe with a whole heart; your faith shall dominate the combined attitudes of body, mind, and spirit.
155:6.18 (1733.6) 너희는 내 사도요, 너희에게 종교는 영적 진보와 이상적 모험이 있는 험난한 현실에 부딪치는 것이 두려워, 너희가 달아나서 지내도 좋은 그러한 신학적 피난처가 되지 말지니라. 그러나 차라리 너희의 종교는 진정한 체험하는 사실이 될지니, 그런 사실이 하나님이 너희를 발견하고, 이상으로 만들고, 고귀하게 하고, 영답게 변화시켰음을 증거하며, 이렇게 너희를 발견하고 아들 삼은 하나님을 발견하는 영원한 모험을 하려고 너희가 지원하였음을 증거하느니라.   155:6.18 (1733.6) You are my apostles, and to you religion shall not become a theologic shelter to which you may flee in fear of facing the rugged realities of spiritual progress and idealistic adventure; but rather shall your religion become the fact of real experience which testifies that God has found you, idealized, ennobled, and spiritualized you, and that you have enlisted in the eternal adventure of finding the God who has thus found and sonshipped you.
155:6.19 (1733.7) 말씀을 마치고 나서, 예수는 안드레에게 손짓하고 페니키아를 향하여 서쪽을 가리키면서 말했다: “갈 길을 재촉하자.”   155:6.19 (1733.7) And when Jesus had finished speaking, he beckoned to Andrew and, pointing to the west toward Phoenicia, said: “Let us be on our w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