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79 편 |
|
Paper 179 |
마지막 만찬 |
|
The Last Supper |
179:0.1 (1936.1) 이 목요일 오후에, 빌립이 주께 다가오는 유월절을 상기시키고 이를 축하할 계획에 관하여 물었을 때, 주는 이튿날, 금요일 저녁에 먹기로 되어 있는 유월절 저녁을 생각하고 있었다. 유월절 축하를 위한 준비를 전날 정오 이전에 시작하는 것이 관습이었다. 유대인이 해가 질 때 하루가 시작된다고 계산했으니까, 이것은 토요일의 유월절 저녁을 금요일 밤에, 자정이 되기 전 언젠가 먹을 것을 의미했다. |
|
179:0.1 (1936.1) DURING the afternoon of this Thursday, when Philip reminded the Master about the approaching Passover and inquired concerning his plans for its celebration, he had in mind the Passover supper which was due to be eaten on the evening of the next day, Friday. It was the custom to begin the preparations for the celebration of the Passover not later than noon of the preceding day. And since the Jews reckoned the day as beginning at sunset, this meant that Saturday’s Passover supper would be eaten on Friday night, sometime before the midnight hour. |
179:0.2 (1936.2) 그래서 사도들은 그들이 하루 일찍 유월절(逾越節)을 축하할 것이라는 주의 발표를 이해하지 못하고 온통 어리둥절했다. 그들은, 적어도 그들 가운데 더러는, 그가 금요일 밤에 유월절 저녁을 먹을 때가 되기 전에 자신이 체포될 것을 아시고, 따라서 이 목요일 저녁에 특별한 만찬을 하려고 그들을 한데 부른다고 생각했다. 더러는 이것이 단지 정식 유월절 축하에 앞서 있을 특별한 경우라고 생각했다. |
|
179:0.2 (1936.2) The apostles were, therefore, entirely at a loss to understand the Master’s announcement that they would celebrate the Passover one day early. They thought, at least some of them did, that he knew he would be placed under arrest before the time of the Passover supper on Friday night and was therefore calling them together for a special supper on this Thursday evening. Others thought that this was merely a special occasion which was to precede the regular Passover celebration. |
179:0.3 (1936.3) 사도들은 예수가 양고기 없이 다른 해에 유월절을 지낸 적이 있음을 알았고, 그가 유대인 체제의 희생물을 바치는 어떤 예배에도 몸소 참석하지 않은 것을 알았다. 그는 여러 번 유월절 양고기를 손님으로서 먹은 적이 있었지만, 그가 주인일 때는 언제나 아무 양고기도 대접하지 않았다. 유월절 밤에 양고기가 빠진 것을 보았다 하더라도 사도들에게 큰 일이 아니었을 터이고, 이 만찬을 하루 일찍 베풀었으니까 그들은 양고기가 없는 것을 아무렇지 않게 생각했다. |
|
179:0.3 (1936.3) The apostles knew that Jesus had celebrated other Passovers without the lamb; they knew that he did not personally participate in any sacrificial service of the Jewish system. He had many times partaken of the paschal lamb as a guest, but always, when he was the host, no lamb was served. It would not have been a great surprise to the apostles to have seen the lamb omitted even on Passover night, and since this supper was given one day earlier, they thought nothing of its absence. |
179:0.4 (1936.4) 요한 마가의 아버지와 어머니의 환영 인사를 받은 뒤에, 사도들은 즉시 2층 방으로 올라갔고, 그동안에 예수는 뒤에 남아서 마가의 가족과 이야기했다. |
|
179:0.4 (1936.4) After receiving the greetings of welcome extended by the father and mother of John Mark, the apostles went immediately to the upper chamber while Jesus lingered behind to talk with the Mark family. |
179:0.5 (1936.5) 주가 이 계제를 열두 사도하고만 축하하기로 미리 양해를 구했고, 따라서 그들에게 시중들라고 아무 종도 마련되지 않았다. |
|
179:0.5 (1936.5) It had been understood beforehand that the Master was to celebrate this occasion alone with his twelve apostles; therefore no servants were provided to wait upon them. |
1. 우대를 받으려는 욕망 ^top |
|
1. The Desire for Preference ^top |
179:1.1 (1936.6) 요한 마가가 위층으로 안내했을 때, 사도들은 크고 널찍한 방을 보았는데, 이 방은 만찬을 위해 완벽하게 꾸며져 있었다. 그들은 식탁 한쪽 끝에 빵ㆍ포도주ㆍ물ㆍ약초가 모두 준비된 것을 지켜보았다. 빵과 포도주가 놓인 끝 부분을 빼고, 이 긴 식탁은 열세 개의 눕는 소파에 둘러싸여 있었고, 바로 그러한 것이 살림이 넉넉한 유대인 집에서 유월절을 축하하는 데 마련되었을 것이다. |
|
179:1.1 (1936.6) When the apostles had been shown upstairs by John Mark, they beheld a large and commodious chamber, which was completely furnished for the supper, and observed that the bread, wine, water, and herbs were all in readiness on one end of the table. Except for the end on which rested the bread and wine, this long table was surrounded by thirteen reclining couches, just such as would be provided for the celebration of the Passover in a well-to-do Jewish household. |
179:1.2 (1936.7) 열두 사도가 이 2층 방으로 들어가자, 그들은 바로 문 안에, 먼지 묻은 발을 씻기 위한 물주전자ㆍ대야ㆍ수건들을 주목하였다. 그리고 아무 종도 이 시중을 들려고 준비되지 않았기 때문에, 요한 마가가 떠나자마자 사도들은 서로를 쳐다보기 시작했고, 저마다 마음 속에서 생각하기 시작했다: 누가 우리의 발을 씻을 것인가? 그리고 각자 마찬가지로, 자기는 다른 사람들의 종으로 이렇게 행동할 사람으로 보이지 않는다고 생각했다. |
|
179:1.2 (1936.7) As the twelve entered this upper chamber, they noticed, just inside the door, the pitchers of water, the basins, and towels for laving their dusty feet; and since no servant had been provided to render this service, the apostles began to look at one another as soon as John Mark had left them, and each began to think within himself, Who shall wash our feet? And each likewise thought that it would not be he who would thus seem to act as the servant of the others. |
179:1.3 (1937.1) 마음 속에 따지면서 거기 서 있는 동안, 그들은 식탁의 자리 배열을 둘러보았고, 주인이 앉는 높은 소파, 그 바른 쪽에 소파 하나, 그리고 주인의 바른 쪽에 둘째로 명예로운 이 자리의 맞은편까지, 식탁 둘레에 정돈된 소파 열한 개를 주목하였다. |
|
179:1.3 (1937.1) As they stood there, debating in their hearts, they surveyed the seating arrangement of the table, taking note of the higher divan of the host with one couch on the right and eleven arranged around the table on up to opposite this second seat of honor on the host’s right. |
179:1.4 (1937.2) 언제라도 주가 도착하기를 기대했지만, 그들은 자리에 앉아야 할지, 아니면 주가 와서 자리를 정해 줄 때까지 기다려야 할지 어찌할 줄 몰랐다. 그들이 망설이는 동안, 유다는 명예의 자리, 즉 주인의 왼편으로 걸어갔고, 거기서 우대받은 손님으로서 소파에 기댈 뜻을 표시하였다. 유다의 이런 행동은 즉시 다른 사도들 사이에 열띤 논쟁을 일으켰다. 유다가 명예의 자리를 덮치자마자, 요한 세베대가 다음으로 좋은 자리, 주인의 바른쪽 자리를 차지했다. 시몬 베드로는 유다와 요한이 좋은 자리들을 이렇게 차지한 것에 너무 화가 치밀어서, 다른 성난 사도들이 구경하는 동안, 식탁을 피해 돌아서 행진하듯 걸어, 가장 낮은 소파에, 자리 순서의 끝, 곧 요한 세베대가 선택한 자리의 바로 맞은편에, 자리를 차지했다. 다른 사람들이 높은 자리들을 차지했으므로, 베드로는 가장 낮은 자리를 택하려고 생각했다. 형제들의 보기 딱한 자만심에 항의할 뿐 아니라, 예수가 와서 가장 낮은 자리에 그가 있음을 보았을 때, 그를 더 높은 자리로 부르리라, 이렇게 주제넘게 자신에게 명예를 돌리려는 자를 몰아낼 것이라는 희망으로 그렇게 했다. |
|
179:1.4 (1937.2) They expected the Master to arrive any moment, but they were in a quandary as to whether they should seat themselves or await his coming and depend on him to assign them their places. While they hesitated, Judas stepped over to the seat of honor, at the left of the host, and signified that he intended there to recline as the preferred guest. This act of Judas immediately stirred up a heated dispute among the other apostles. Judas had no sooner seized the seat of honor than John Zebedee laid claim to the next preferred seat, the one on the right of the host. Simon Peter was so enraged at this assumption of choice positions by Judas and John that, as the other angry apostles looked on, he marched clear around the table and took his place on the lowest couch, the end of the seating order and just opposite to that chosen by John Zebedee. Since others had seized the high seats, Peter thought to choose the lowest, and he did this, not merely in protest against the unseemly pride of his brethren, but with the hope that Jesus, when he should come and see him in the place of least honor, would call him up to a higher one, thus displacing one who had presumed to honor himself. |
179:1.5 (1937.3) 이렇게 가장 높은 자리와 낮은 자리가 차자, 나머지 사도들은 자리를 골랐고, 모두 자리를 잡을 때까지, 더러는 유다 가까이, 더러는 베드로 가까이 앉았다. 이들은 U자 모양의 식탁 둘레에 다음 순서로 이 기대는 소파에 자리를 잡았다: 주의 바른 편에 요한, 왼쪽에는 유다, 열심당원 시몬, 마태, 야고보 세베대, 안드레, 알패오 쌍둥이, 빌립, 나다니엘, 토마스, 시몬 베드로. |
|
179:1.5 (1937.3) With the highest and the lowest positions thus occupied, the rest of the apostles chose places, some near Judas and some near Peter, until all were located. They were seated about the U-shaped table on these reclining divans in the following order: on the right of the Master, John; on the left, Judas, Simon Zelotes, Matthew, James Zebedee, Andrew, the Alpheus twins, Philip, Nathaniel, Thomas, and Simon Peter. |
179:1.6 (1937.4) 이들은 한 관례를 축하하려고, 적어도 정신적으로 그렇게 하려고 함께 모였는데, 그 관례는 모세 이전에 시작되었고 조상이 에집트에서 노예였던 시절과 관계되었다. 이 만찬은 예수와 그들의 마지막 모임이요, 그러한 엄숙한 상황에서도 유다의 지휘 하에, 그들은 명예와 우대, 개인적 칭찬을 얻으려는 예전의 성향에 다시 한번 무릎을 꿇게 되었다. |
|
179:1.6 (1937.4) They are gathered together to celebrate, at least in spirit, an institution which antedated even Moses and referred to the times when their fathers were slaves in Egypt. This supper is their last rendezvous with Jesus, and even in such a solemn setting, under the leadership of Judas the apostles are led once more to give way to their old predilection for honor, preference, and personal exaltation. |
179:1.7 (1937.5) 주가 복도에 나타났을 때, 그들은 아직도 성이 나서 서로 비난하느라고 바빴고, 실망의 빛이 얼굴에 서서히 떠오르는 동안, 주는 복도에서 잠깐 멈추었다. 아무 말 없이 주는 자기 자리로 갔고, 그들의 자리 순서를 고치지 않았다. |
|
179:1.7 (1937.5) They were still engaged in voicing angry recriminations when the Master appeared in the doorway, where he hesitated a moment as a look of disappointment slowly crept over his face. Without comment he went to his place, and he did not disturb their seating arrangement. |
179:1.8 (1937.6) 발을 아직 씻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그들은 이제 만찬을 시작할 준비가 되었는데, 도저히 즐거운 기분이 들지 않았다. 주가 도착했을 때, 충분히 감정을 자제하여 자기 느낌을 사람들 앞에서 삼가 표현하지 않았던 몇 사람이 품었던 생각은 말할 것도 없고, 그들은 아직도 서로 가시 돋힌 말을 주고받기에 바빴다. |
|
179:1.8 (1937.6) They were now ready to begin the supper, except that their feet were still unwashed, and they were in anything but a pleasant frame of mind. When the Master arrived, they were still engaged in making uncomplimentary remarks about one another, to say nothing of the thoughts of some who had sufficient emotional control to refrain from publicly expressing their feelings. |
2. 만찬을 시작하다 ^top |
|
2. Beginning the Supper ^top |
179:2.1 (1937.7) 주가 그의 자리로 간 뒤에 몇 순간 동안, 아무도 말이 없었다. 예수는 그들을 모두 돌아보고, 빙긋 웃어 긴장을 풀며 말했다: “나는 너희와 이 유월절 저녁 먹기를 몹시 바랐노라. 내가 고통을 받기 전에 한 번 더 너희와 함께 먹기를 바랐고, 내 때가 온 줄을 깨닫고 너희와 오늘 밤에 이 저녁을 먹으려고 주선하였으니, 내일에 관해서 말하면 우리가 모두 아버지의 손에 있는 까닭이요, 나는 아버지의 뜻을 집행하려고 왔노라. 이 세상으로 나를 보내며 하라 하신 일을 내가 마치고 나서, 아버지가 내게 주실 나라에서 너희가 나와 함께 앉을 때까지, 나는 너희와 함께 다시 먹지 아니하리라.” |
|
179:2.1 (1937.7) For a few moments after the Master had gone to his place, not a word was spoken. Jesus looked them all over and, relieving the tension with a smile, said: “I have greatly desired to eat this Passover with you. I wanted to eat with you once more before I suffered, and realizing that my hour has come, I arranged to have this supper with you tonight, for, as concerns the morrow, we are all in the hands of the Father, whose will I have come to execute. I shall not again eat with you until you sit down with me in the kingdom which my Father will give me when I have finished that for which he sent me into this world.” |
179:2.2 (1938.1) 포도주와 물을 섞은 뒤에, 그들은 잔을 예수에게 가져왔고, 그는 잔을 타대오의 손에서 받고서, 감사를 드리는 동안 붙들고 있었다. 그리고 감사 기도를 마치고 나서 말했다: “이 잔을 가져다가 너희끼리 나누라. 너희가 잔을 들 때, 이것이 우리의 마지막 저녁이매, 내가 포도나무의 열매를 너희와 함께 다시 마시지 아니할 것을 깨달으라. 우리가 이런 식으로 다시 앉을 때, 이것은 다가오는 하늘나라에서 있을 일이리라.” |
|
179:2.2 (1938.1) After the wine and the water had been mixed, they brought the cup to Jesus, who, when he had received it from the hand of Thaddeus, held it while he offered thanks. And when he had finished offering thanks, he said: “Take this cup and divide it among yourselves and, when you partake of it, realize that I shall not again drink with you the fruit of the vine since this is our last supper. When we sit down again in this manner, it will be in the kingdom to come.” |
179:2.3 (1938.2) 예수는 이렇게 사도들에게 이야기하기 시작했고, 그의 때가 왔음을 알았기 때문이다. 그는 아버지께로 돌아가야 할 때가 왔고, 땅에서 할 일이 거의 끝났음을 이해했다. 그가 아버지의 사랑을 땅에서 드러냈고 자비를 인류에게 보였다는 것, 그리고 그가 세상으로 온 그 목적을, 아니 하늘과 땅에 있는 모든 권능과 권한을 받는 일까지도 이루었다는 것을 주는 알았다. 마찬가지로, 그날 밤에 적들의 손에 그를 넘겨주려고 가룟 유다가 완전히 마음먹은 것을 알았다. 이 배반 행위는 유다가 한 일이었지만, 이는 또한 루시퍼와 사탄, 그리고 어둠의 왕 칼리가스티아를 기쁘게 했다는 것을 충분히 깨달았다. 자기를 육체적으로 죽게 만들려고 애쓴 자들이 두렵지 않았고, 마찬가지로 영적으로 그를 전복시키려던 자들도 두렵지 않았다. 주에게 오직 한 가지 걱정이 있었으니, 그것은 그가 택한 추종자들의 안전과 구원이었다. 그래서 아버지가 모든 일을 그의 권한 밑에 두었다는 것을 충분히 알고서, 주는 이제 형제 사랑의 비유를 연출하려고 준비했다. |
|
179:2.3 (1938.2) Jesus began thus to talk to his apostles because he knew that his hour had come. He understood that the time had come when he was to return to the Father, and that his work on earth was almost finished. The Master knew he had revealed the Father’s love on earth and had shown forth his mercy to mankind, and that he had completed that for which he came into the world, even to the receiving of all power and authority in heaven and on earth. Likewise, he knew Judas Iscariot had fully made up his mind to deliver him that night into the hands of his enemies. He fully realized that this traitorous betrayal was the work of Judas, but that it also pleased Lucifer, Satan, and Caligastia the prince of darkness. But he feared none of those who sought his spiritual overthrow any more than he feared those who sought to accomplish his physical death. The Master had but one anxiety, and that was for the safety and salvation of his chosen followers. And so, with the full knowledge that the Father had put all things under his authority, the Master now prepared to enact the parable of brotherly love. |
3. 사도들의 발을 씻다 ^top |
|
3. Washing the Apostles’ Feet ^top |
179:3.1 (1938.3) 유월절의 첫 잔을 마신 뒤에, 주인이 식탁에서 일어나서 손 씻는 것이 유대인의 관습이었다. 식사하다가 나중에, 둘째 잔을 마신 뒤에, 마찬가지로 모든 손님이 일어나서 손을 씻었다. 주가 손 씻는 예식의 절차를 한 번도 지킨 적이 없음을 사도들이 알았기 때문에, 그들이 이 첫잔을 마신 뒤에, 그가 식탁에서 일어나서 말없이 물주전자와 대야와 수건이 놓여 있는 문 가까이 걸어갔을 때, 주가 무엇을 하실 생각인지 그들은 알고 싶어 궁금해졌다. 주가 겉옷을 벗고 수건을 가지고 허리를 졸라매고, 발 씻는 대야 하나에 비로소 물을 붓는 것을 보자, 호기심은 경악으로 바뀌었다. 바로 얼마 전에 서로 발 씻어 주지 않으려 하고, 식탁에서 명예의 자리를 놓고 그렇게 보기 딱한 다툼에 말려들었던 이 열두 사람이 놀란 것을 상상해 보아라. 그때 주가 사람이 앉지 않은 식탁 끝을 돌아서 그 잔치의 가장 낮은 자리, 시몬 베드로가 기대고 있던 자리까지 가서, 종의 태도로서 무릎을 꿇고, 시몬의 발을 씻으려고 준비한 것을 보았다. 주가 무릎을 꿇자, 열두 사람이 모두 하나 같이 벌떡 일어났다. 배반한 유다조차 한 순간 자신의 비행(非行)을 까맣게 잊어버리고, 경악과 존경과 순전한 놀라움을 이렇게 표현하는 동료 사도들과 함께 일어났다. |
|
179:3.1 (1938.3) After drinking the first cup of the Passover, it was the Jewish custom for the host to arise from the table and wash his hands. Later on in the meal and after the second cup, all of the guests likewise rose up and washed their hands. Since the apostles knew that their Master never observed these rites of ceremonial hand washing, they were very curious to know what he intended to do when, after they had partaken of this first cup, he arose from the table and silently made his way over to near the door, where the water pitchers, basins, and towels had been placed. And their curiosity grew into astonishment as they saw the Master remove his outer garment, gird himself with a towel, and begin to pour water into one of the foot basins. Imagine the amazement of these twelve men, who had so recently refused to wash one another’s feet, and who had engaged in such unseemly disputes about positions of honor at the table, when they saw him make his way around the unoccupied end of the table to the lowest seat of the feast, where Simon Peter reclined, and, kneeling down in the attitude of a servant, make ready to wash Simon’s feet. As the Master knelt, all twelve arose as one man to their feet; even the traitorous Judas so far forgot his infamy for a moment as to arise with his fellow apostles in this expression of surprise, respect, and utter amazement. |
179:3.2 (1938.4) 시몬 베드로는 서서, 위로 올려다보는 주의 얼굴을 내려다보았다. 예수는 아무 말도 하지 않았고, 말할 필요가 없었다. 그의 태도는 시몬 베드로의 발을 씻을 생각이라는 것을 뚜렷이 나타냈다. 육체는 약했어도 베드로는 주를 사랑했다. 이 갈릴리 어부는 예수의 신성(神性)을 진심으로 믿고, 게다가 그런 믿음을 온전히, 사람들이 보는 앞에서 처음으로 고백한 인간이었다. 그 뒤로 베드로는 주의 신다운 성품을 정말로 의심한 적이 없었다. 베드로가 마음 속에서 예수를 너무나 숭배하고 존중했으므로, 주가 거기에 무릎을 꿇고 자기 앞에서 비천한 종의 태도를 취하고, 노예가 하듯 그의 발을 씻겠다고 제안한다는 생각에 그의 혼이 의분을 느낀 것은 이상한 일이 아니었다. 이내 주에게 말을 건넬 만큼 충분히 정신을 가다듬었을 때, 베드로는 동료 사도 모두가 가슴 속에 느끼고 있는 생각을 말했다. |
|
179:3.2 (1938.4) There stood Simon Peter, looking down into the upturned face of his Master. Jesus said nothing; it was not necessary that he should speak. His attitude plainly revealed that he was minded to wash Simon Peter’s feet. Notwithstanding his frailties of the flesh, Peter loved the Master. This Galilean fisherman was the first human being wholeheartedly to believe in the divinity of Jesus and to make full and public confession of that belief. And Peter had never since really doubted the divine nature of the Master. Since Peter so revered and honored Jesus in his heart, it was not strange that his soul resented the thought of Jesus’ kneeling there before him in the attitude of a menial servant and proposing to wash his feet as would a slave. When Peter presently collected his wits sufficiently to address the Master, he spoke the heart feelings of all his fellow apostles. |
179:3.3 (1939.1) 이렇게 크게 당황한 몇 순간이 지난 뒤에 베드로는 말했다: “주여, 당신은 정말로 내 발을 씻으실 생각이나이까?” 다음에 베드로의 얼굴을 올려다보며, 예수는 말했다: “내가 하고자 하는 것을 네가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는가 하지만, 이제부터 이 모든 것이 무슨 의미(意味)인가 네가 알게 되리라.” 그때 길게 숨을 들이쉬며 시몬 베드로는 말했다: “주여, 당신은 결단코 내 발을 씻지 못하나이다!” 그리고 예수가 이렇게 그들 앞에서 자신 낮추기를 허락하지 않겠다고 베드로가 굳게 선언하는 데 동의한다는 뜻으로 사도들은 저마다 고개를 끄덕였다. |
|
179:3.3 (1939.1) After a few moments of this great embarrassment, Peter said, “Master, do you really mean to wash my feet?” And then, looking up into Peter’s face, Jesus said: “You may not fully understand what I am about to do, but hereafter you will know the meaning of all these things.” Then Simon Peter, drawing a long breath, said, “Master, you shall never wash my feet!” And each of the apostles nodded their approval of Peter’s firm declaration of refusal to allow Jesus thus to humble himself before them. |
179:3.4 (1939.2) 이 진기한 장면의 눈부신 호소력에 처음에는 가룟 유다조차도 마음이 움직였다. 그러나 허영심 가득한 그의 지능이 그 광경을 판단했을 때, 그는 이 겸손의 몸짓이 단지 예수가 결코 이스라엘의 구원자로서 자격을 갖추지 못하리라, 그리고 주의 운동을 그가 저버리려고 결정한 데 아무 잘못이 없음을 최종으로 증명하는 또 하나의 사건일 뿐이라고 결론을 내렸다. |
|
179:3.4 (1939.2) The dramatic appeal of this unusual scene at first touched the heart of even Judas Iscariot; but when his vainglorious intellect passed judgment upon the spectacle, he concluded that this gesture of humility was just one more episode which conclusively proved that Jesus would never qualify as Israel’s deliverer, and that he had made no mistake in the decision to desert the Master’s cause. |
179:3.5 (1939.3) 그들이 모두 숨을 죽이고 놀라서 거기 서 있자, 예수는 말했다: “베드로야, 내가 선언하노니, 내가 네 발을 씻지 아니하면, 내가 행하고자 하는 일에 네가 나와 아무 상관이 없으리라.” 예수가 계속해서 그의 발 앞에 무릎을 꿇고 거기 있다는 사실과 함께, 이런 선언을 들었을 때, 베드로는 그가 존경하고 사랑했던 분이 바라는 대로 눈감고 말없이 순응하려고 결심했다. 주가 이렇게 시중들겠다는 제안을 연출한 데는 사람이 주의 일과 미래에 연결되는 것을 좌우하는 어떤 의미가 따라붙는다는 생각이 비로소 떠오르자, 시몬 베드로는 예수에게 그의 발을 씻게 한다는 생각을 받아들였을 뿐 아니라, 그의 성미대로 성급히 말했다: “그렇다면, 주여, 내 발만 아니라 내 손과 머리도 씻어주소서.” |
|
179:3.5 (1939.3) As they all stood there in breathless amazement, Jesus said: “Peter, I declare that, if I do not wash your feet, you will have no part with me in that which I am about to perform.” When Peter heard this declaration, coupled with the fact that Jesus continued kneeling there at his feet, he made one of those decisions of blind acquiescence in compliance with the wish of one whom he respected and loved. As it began to dawn on Simon Peter that there was attached to this proposed enactment of service some signification that determined one’s future connection with the Master’s work, he not only became reconciled to the thought of allowing Jesus to wash his feet but, in his characteristic and impetuous manner, said: “Then, Master, wash not my feet only but also my hands and my head.” |
179:3.6 (1939.4) 베드로의 발을 비로소 씻으려고 준비하면서, 주는 말했다: “이미 깨끗한 자는 발만 씻으면 되느니라. 오늘 밤에 나와 함께 앉는 너희는 깨끗하지만 ― 다는 아니라. 그러나 나와 함께 먹으려고 앉기 전에 너희는 발의 먼지를 씻었어야 하느니라. 게다가, 당장에 내가 너희에게 줄 새 계명이 무슨 의미가 있는가 보여주려고, 비유로서 너희를 위하여 이 시중을 들고자 하노라.” |
|
179:3.6 (1939.4) As the Master made ready to begin washing Peter’s feet, he said: “He who is already clean needs only to have his feet washed. You who sit with me tonight are clean—but not all. But the dust of your feet should have been washed away before you sat down at meat with me. And besides, I would perform this service for you as a parable to illustrate the meaning of a new commandment which I will presently give you.” |
179:3.7 (1939.5) 같은 방법으로 주는 식탁을 돌아서 가며, 말없이, 유다도 빼지 않고, 열두 사도의 발을 씻었다. 열두 사도의 발 씻기를 마치고 나서, 예수는 외투를 걸치고, 주인의 자리로 돌아갔고, 어리둥절한 사도들을 돌아본 뒤에 말했다: |
|
179:3.7 (1939.5) In like manner the Master went around the table, in silence, washing the feet of his twelve apostles, not even passing by Judas. When Jesus had finished washing the feet of the twelve, he donned his cloak, returned to his place as host, and after looking over his bewildered apostles, said: |
179:3.8 (1939.6) “내가 너희에게 행한 것을 정말로 이해하느냐? 너희는 나를 주라 부르고, 내가 그런 자이니, 너희가 그리 말하는 것이 잘하는 일이라. 그렇다면, 주가 너희의 발을 씻었다면, 어찌하여 너희는 서로 발 씻어 주기를 꺼려하느냐? 형제가 서로에게 해주기 꺼려하는 그 시중을 주가 아주 기꺼이 베푸는 이 비유에서 너희는 무슨 교훈을 받아야 하느냐? 진실로, 진실로 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종은 주인보다 크지 않으며, 파송된 자는 그를 보낸 자보다 크지도 않으니라. 너희 가운데서 지낸 나의 생활 속에서 너희는 시중드는 길을 보았고, 인자하게 그렇게 시중드는 용기를 가질 너희는 복이 있도다. 그러나 영적인 나라에서 크게 되는 비밀은 물질 세계에서 권력을 얻는 방법과 같지 않음을 너희는 어찌하여 그리 더디게 깨닫느냐? |
|
179:3.8 (1939.6) “Do you really understand what I have done to you? You call me Master, and you say well, for so I am. If, then, the Master has washed your feet, why was it that you were unwilling to wash one another’s feet? What lesson should you learn from this parable in which the Master so willingly does that service which his brethren were unwilling to do for one another? Verily, verily, I say to you: A servant is not greater than his master; neither is one who is sent greater than he who sends him. You have seen the way of service in my life among you, and blessed are you who will have the gracious courage so to serve. But why are you so slow to learn that the secret of greatness in the spiritual kingdom is not like the methods of power in the material world? |
179:3.9 (1940.1) “내가 오늘 밤 이 방으로 왔을 때, 너희는 거만하여 서로 발 씻기를 거부하는 것으로 만족하지 않았을 뿐 아니라 또한 누가 내 식탁에서 영예의 자리를 차지할까 너희끼리 말다툼에 빠져야 하는구나. 그러한 영예는 바리새인과 이 세상의 자녀들이 찾는 것이어늘, 하늘나라 대사들 사이에 그리해서는 안 되느니라. 내 식탁에는 우대받는 자리가 있을 수 없음을 너희가 모르느냐? 내가 남들을 사랑하는 것 같이 내가 너희 하나하나를 사랑함을 이해하지 못하느냐? 나와 가장 가까운 자리는, 사람들이 그런 영예를 간주하는 것처럼 하늘나라에서 너희의 지위와 전혀 상관이 있을 수 없음을 모르느냐? 이방인의 임금은 그 백성 위에 군림하며, 한편 이 권한을 행사하는 자들을 때때로 후원자라고 부르는 것을 너희가 아느니라. 그러나 하늘나라에서는 그렇지 않을지니라. 너희 가운데 크고자 하는 자는 아래 사람이 될지니라. 우두머리가 되고자 하는 자는, 시중드는 자처럼 될지니라. 누가 더 크냐, 식탁에 앉는 자이냐, 아니면 시중드는 자이냐? 식탁에 앉는 자를 보통 더 크게 여기지 아니하느냐? 그러나 내가 시중드는 자로서 너희 사이에 있음을 너희가 지켜보리라. 아버지의 뜻을 행하는 데 너희가 나와 함께 기꺼이 동료 종이 되면, 미래의 영광 속에서 아버지의 뜻을 여전히 행하면서, 너희는 다가오는 하늘나라에서 권력을 가지고 나와 함께 앉을지니라.” |
|
179:3.9 (1940.1) “When I came into this chamber tonight, you were not content proudly to refuse to wash one another’s feet, but you must also fall to disputing among yourselves as to who should have the places of honor at my table. Such honors the Pharisees and the children of this world seek, but it should not be so among the ambassadors of the heavenly kingdom. Do you not know that there can be no place of preferment at my table? Do you not understand that I love each of you as I do the others? Do you not know that the place nearest me, as men regard such honors, can mean nothing concerning your standing in the kingdom of heaven? You know that the kings of the gentiles have lordship over their subjects, while those who exercise this authority are sometimes called benefactors. But it shall not be so in the kingdom of heaven. He who would be great among you, let him become as the younger; while he who would be chief, let him become as one who serves. Who is the greater, he who sits at meat, or he who serves? Is it not commonly regarded that he who sits at meat is the greater? But you will observe that I am among you as one who serves. If you are willing to become fellow servants with me in doing the Father’s will, in the kingdom to come you shall sit with me in power, still doing the Father’s will in future glory.” |
179:3.10 (1940.2) 예수가 말씀을 마쳤을 때, 알패오 쌍둥이는 마지막 만찬의 다음 과정을 위하여, 쓴 나물과 마른 과일 반죽과 함께, 빵과 포도주를 가져왔다. |
|
179:3.10 (1940.2) When Jesus had finished speaking, the Alpheus twins brought on the bread and wine, with the bitter herbs and the paste of dried fruits, for the next course of the Last Supper. |
4. 배반자에게 하신 마지막 말씀 ^top |
|
4. Last Words to the Betrayer ^top |
179:4.1 (1940.3) 몇분 동안 사도들은 말없이 먹었지만, 주의 명랑한 태도에 영향을 받아서 곧 대화에 끌려들었고, 오래지 않아서 이 특별한 계제에 즐거운 기분과 친목하는 분위기를 망칠 아무런 별난 일이 일어나지 않은 것처럼 식사가 진행되었다. 얼마큼 시간이 지난 뒤, 식사의 이 둘째 과정의 중간쯤에, 예수는 그들을 둘러보며 말했다: “내가 너희와 함께 이 저녁 먹기를 얼마나 바랐는가 너희에게 일렀고, 어둠의 악한 세력이 사람의 아들을 죽이려고 모의(謀議)한 것을 아는 까닭에, 이 은밀한 방에서 유월절 하루 전에, 너희와 함께 이 저녁을 먹으려고 결심하였으니, 내일 밤 이때쯤이 되어 내가 너희와 함께 있지 아니할 것임이라. 내가 아버지께로 돌아가야 한다고 너희에게 거듭 일렀노라. 이제 내 때가 다가왔으나 너희 중에 하나가 나를 저버리고 적들의 손에 넘길 필요가 없었느니라.” |
|
179:4.1 (1940.3) For some minutes the apostles ate in silence, but under the influence of the Master’s cheerful demeanor they were soon drawn into conversation, and ere long the meal was proceeding as if nothing out of the ordinary had occurred to interfere with the good cheer and social accord of this extraordinary occasion. After some time had elapsed, in about the middle of this second course of the meal, Jesus, looking them over, said: “I have told you how much I desired to have this supper with you, and knowing how the evil forces of darkness have conspired to bring about the death of the Son of Man, I determined to eat this supper with you in this secret chamber and a day in advance of the Passover since I will not be with you by this time tomorrow night. I have repeatedly told you that I must return to the Father. Now has my hour come, but it was not required that one of you should betray me into the hands of my enemies.” |
179:4.2 (1940.4) 열두 사도가 이 말씀을 들었을 때, 발 씻는 비유와 뒤이은 주의 강연 때문에, 자기 주장과 자신감을 이미 많이 잃어버렸으므로 당황한 목소리로 망설이며 “내니이까?” 물으면서 서로를 바라보기 시작했다. 모두가 이렇게 묻고 나자, 예수는 말했다: “내가 아버지께 가는 것이 필요해도 아버지의 뜻을 이루기 위하여 너희 가운데 하나가 배반자가 될 필요는 없었느니라. 이는 혼을 다하여 진실을 사랑하지 못한 자의 가슴 속에 감추어진 악이 열매를 얻게 되는 것이라. 영적 패망을 앞서 가는 지적 자만(自慢)은 얼마나 거짓이 가득한고! 여러 해 동안 같이 하던 내 친구가, 지금 내 빵을 먹는 자가, 지금도 나와 함께 접시에 손을 담그는 것 같이, 기꺼이 나를 저버릴 것이라.” |
|
179:4.2 (1940.4) When the twelve heard this, having already been robbed of much of their self-assertiveness and self-confidence by the parable of the feet washing and the Master’s subsequent discourse, they began to look at one another while in disconcerted tones they hesitatingly inquired, “Is it I?” And when they had all so inquired, Jesus said: “While it is necessary that I go to the Father, it was not required that one of you should become a traitor to fulfill the Father’s will. This is the coming to fruit of the concealed evil in the heart of one who failed to love the truth with his whole soul. How deceitful is the intellectual pride that precedes the spiritual downfall! My friend of many years, who even now eats my bread, will be willing to betray me, even as he now dips his hand with me in the dish.” |
179:4.3 (1940.5) 예수가 이렇게 말씀하자, 모두 다시 묻기 시작했다: “내니이까?” 그리고 주의 왼편에 앉아 있는 유다가 다시 “내니이까?” 묻자, 나물 담긴 접시에 빵을 찍어 유다에게 주며 예수는 말했다: “네가 말했도다.” 그러나 남들은 예수가 유다에게 이르는 것을 듣지 못했다. 예수의 바른 편 쪽에서 의지하던 요한이 주에게 기대며 물었다: “누구이나이까? 맡긴 책임에 충실치 않은 것이 드러난 자가 누구인지 우리가 알아야 하나이다.” 예수는 대답했다: “이미 내가 너희에게 일렀으니, 적신 빵을 내가 그에게 주었노라.” 그러나 주인이 옆에, 왼쪽에 앉은 자에게 적신 빵 주는 것이 너무 자연스러운 일이어서, 주가 아주 분명히 말했어도 아무도 이를 눈치채지 못했다. 그러나 유다는 그의 행동과 관련된 주의 말씀이 무슨 의미인가 따끔하게 의식했고, 형제들이 그가 배반자임을 이제 마찬가지로 알고 있지 않는가 두려워졌다. |
|
179:4.3 (1940.5) And when Jesus had thus spoken, they all began again to ask, “Is it I?” And as Judas, sitting on the left of his Master, again asked, “Is it I?” Jesus, dipping the bread in the dish of herbs, handed it to Judas, saying, “You have said.” But the others did not hear Jesus speak to Judas. John, who reclined on Jesus’ right hand, leaned over and asked the Master: “Who is it? We should know who it is that has proved untrue to his trust.” Jesus answered: “Already have I told you, even he to whom I gave the sop.” But it was so natural for the host to give a sop to the one who sat next to him on the left that none of them took notice of this, even though the Master had so plainly spoken. But Judas was painfully conscious of the meaning of the Master’s words associated with his act, and he became fearful lest his brethren were likewise now aware that he was the betrayer. |
179:4.4 (1941.1) 베드로는 그 말을 듣고 크게 흥분했고, 식탁 위로 몸을 기울이며, 요한에게 물었다. “그가 누구인가 주께 묻든지 또는 주가 네게 일렀으면, 누가 배반자인가 내게 이르라.” |
|
179:4.4 (1941.1) Peter was highly excited by what had been said, and leaning forward over the table, he addressed John, “Ask him who it is, or if he has told you, tell me who is the betrayer.” |
179:4.5 (1941.2) 예수는 그들의 수군거리는 소리를 그치게 하면서 말했다: “이런 나쁜 일이 일어났으니 내가 슬프고, 이 시간까지도 진실의 힘이 악의 속임을 이길까 바랐으나, 진실을 진지하게 사랑하는 믿음이 없이 그런 승리를 얻지 못하느니라. 이번 우리의 마지막 만찬에 이런 일을 너희에게 이르지 않았을 터이나, 나는 이 슬픈 일에 대하여 너희에게 경고하고 그래서 우리에게 이제 닥친 일에 대하여 너희를 준비시키기를 바라노라. 내가 너희에게 이것을 이른 것은 내가 떠난 뒤에, 이 모든 나쁜 음모(陰謀)에 대하여 내가 알고 있었고, 나를 배반하는 일에 대하여 너희에게 미리 경고했음을 너희가 상기하기를 바라는 까닭이라. 그리고 내가 이 모두를 하는 것은 오직 바로 앞에 놓인 유혹과 시련에 대비하여 너희가 힘을 얻기 위함이라.” |
|
179:4.5 (1941.2) Jesus brought their whisperings to an end by saying: “I sorrow that this evil should have come to pass and hoped even up to this hour that the power of truth might triumph over the deceptions of evil, but such victories are not won without the faith of the sincere love of truth. I would not have told you these things at this, our last supper, but I desire to warn you of these sorrows and so prepare you for what is now upon us. I have told you of this because I desire that you should recall, after I have gone, that I knew about all these evil plottings, and that I forewarned you of my betrayal. And I do all this only that you may be strengthened for the temptations and trials which are just ahead.” |
179:4.6 (1941.3) 이렇게 말씀하고 나서, 예수는 유다를 향하여 몸을 기울여 말했다: “네가 하려고 마음먹은 것을 빨리 행하라.” 이 말씀을 듣자, 유다는 식탁에서 일어나서 황급히 방을 떠났고, 그가 성취하려고 계획했던 일을 해치우려고 어둠 속으로 나갔다. 예수가 그에게 말씀한 뒤에 유다가 서둘러 떠나는 것을 다른 사도들이 보았을 때, 그가 아직도 돈 자루를 지니고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그들은 유다가 저녁을 위하여 무언가 더 사거나, 주를 위하여 어떤 다른 심부름을 하러 갔다고 생각했다. |
|
179:4.6 (1941.3) When Jesus had thus spoken, leaning over toward Judas, he said: “What you have decided to do, do quickly.” And when Judas heard these words, he arose from the table and hastily left the room, going out into the night to do what he had set his mind to accomplish. When the other apostles saw Judas hasten off after Jesus had spoken to him, they thought he had gone to procure something additional for the supper or to do some other errand for the Master since they supposed he still carried the bag. |
179:4.7 (1941.4) 이제 예수는 유다가 배반자가 되는 것을 막으려고 아무 일도 할 수 없음을 알았다. 열두 사도와 함께 시작했는데 ― 이제 열 하나가 남았다. 예수는 이 사도들 가운데 여섯을 골랐다. 그가 처음에 선택한 사도들이 지명한 사람들 가운데 유다가 있었는데, 그래도 주는 그를 받아들였고, 다른 사람들의 평화와 구원을 위하여 일한 것 같이, 바로 이 시간까지, 그를 거룩하게 만들고 구원하려고 할 수 있는 대로 모든 일을 했다. |
|
179:4.7 (1941.4) Jesus now knew that nothing could be done to keep Judas from turning traitor. He started with twelve—now he had eleven. He chose six of these apostles, and though Judas was among those nominated by his first-chosen apostles, still the Master accepted him and had, up to this very hour, done everything possible to sanctify and save him, even as he had wrought for the peace and salvation of the others. |
179:4.8 (1941.5) 관련된 순조로운 여러 사건과 부드러운 손길과 함께, 이 저녁 식사는 그들을 저버리는 유다에게 예수가 마지막으로 호소한 것이었지만 아무 소용이 없었다. 가장 세련된 방법으로 가장 친절한 정신으로 경고를 전했어도, 일단 사랑이 정말로 죽었을 때, 무릇 미움만 더하고 사람의 이기적 계획을 끝까지 수행하려는 악한 결심에 불을 붙일 뿐이다. |
|
179:4.8 (1941.5) This supper, with its tender episodes and softening touches, was Jesus’ last appeal to the deserting Judas, but it was of no avail. Warning, even when administered in the most tactful manner and conveyed in the most kindly spirit, as a rule, only intensifies hatred and fires the evil determination to carry out to the full one’s own selfish projects, when love is once really dead. |
5. 기념 만찬을 선례로 만들다 ^top |
|
5. Establishing the Remembrance Supper ^top |
179:5.1 (1941.6) 그들이 예수에게 셋째 포도주 잔, “축복의 잔”을 가져오자, 그는 소파에서 일어나서 두 손에 잔을 쥐고, 이 말씀으로 축복하였다: “너희는 모두 이 잔을 들고 마시라. 이것이 나를 기념하는 잔이 될지니라. 은총과 진실의 새 섭리 시대를 축복하는 잔이라. 이것은 너희에게, 신성한 진실의 영이 수여되고 봉사하는 상징이 될지니라. 아버지의 영원한 나라에서 새 모습을 입고서 너희와 함께 마실 때까지, 나는 너희와 함께 이 잔을 다시 마시지 아니하리라.” |
|
179:5.1 (1941.6) As they brought Jesus the third cup of wine, the “cup of blessing,” he arose from the couch and, taking the cup in his hands, blessed it, saying: “Take this cup, all of you, and drink of it. This shall be the cup of my remembrance. This is the cup of the blessing of a new dispensation of grace and truth. This shall be to you the emblem of the bestowal and ministry of the divine Spirit of Truth. And I will not again drink this cup with you until I drink in new form with you in the Father’s eternal kingdom.” |
179:5.2 (1942.1) 지극히 정중하게, 그리고 완전히 고요한 가운데 이 축복의 잔을 마시는 동안, 사도들은 모두 무엇인가 보통 아닌 일이 벌어지고 있음을 느꼈다. 옛 유월절은 조상들이 민족의 노예 상태에서 벗어나서 개인의 자유를 얻은 것을 기념했다. 새 섭리 시대의 상징으로서, 이제 주는 새로운 기념 만찬을 선례로 만들고 있었는데, 이 섭리 시대에는 예식과 이기심의 사슬에 매였던 개인이 이를 벗어나, 살아 계신 하나님의 아들, 해방된 믿음의 아들들이 형제로서 친교하는 영적 기쁨을 누린다. |
|
179:5.2 (1942.1) The apostles all sensed that something out of the ordinary was transpiring as they drank of this cup of blessing in profound reverence and perfect silence. The old Passover commemorated the emergence of their fathers from a state of racial slavery into individual freedom; now the Master was instituting a new remembrance supper as a symbol of the new dispensation wherein the enslaved individual emerges from the bondage of ceremonialism and selfishness into the spiritual joy of the brotherhood and fellowship of the liberated faith sons of the living God. |
179:5.3 (1942.2) 그들이 주를 기억하는 이 새 잔을 마시고 나서, 주는 빵을 들어, 감사를 드린 뒤에 여러 조각으로 만들어 그들에게 돌리라고 지시하며 말했다: “나를 기억하는 이 빵을 가져다 먹으라. 내가 생명의 빵이라고 내가 너희에게 일렀노라. 그리고 이 생명의 빵은 한 선물 안에 아버지와 아들이 하나된 생명이라. 아들 안에서 드러난 것 같이, 아버지의 말씀은 정말로 생명의 빵이라.” 기념하는 빵을 먹고 나서 그들은 모두 자리에 앉았는데, 이 빵은 필사 육체의 모습을 입고 육신화된, 살아 있는 진실의 말씀을 상징하였다. |
|
179:5.3 (1942.2) When they had finished drinking this new cup of remembrance, the Master took up the bread and, after giving thanks, broke it in pieces and, directing them to pass it around, said: “Take this bread of remembrance and eat it. I have told you that I am the bread of life. And this bread of life is the united life of the Father and the Son in one gift. The word of the Father, as revealed in the Son, is indeed the bread of life.” When they had partaken of the bread of remembrance, the symbol of the living word of truth incarnated in the likeness of mortal flesh, they all sat down. |
179:5.4 (1942.3) 이 기념 만찬을 선례로 만들 때, 언제나 버릇이었던 것 같이, 주는 비유와 상징을 이용했다. 후계자들이 그의 말씀에 정밀한 해석과 분명한 의미를 붙이기 어렵게 만드는 그런 방법으로, 어떤 큰 영적 진실을 가르치기를 바랐기 때문에 그는 상징을 이용했다. 이 방법으로 그는 뒤잇는 세대들이 그의 가르침을 형식화하고, 전통과 독단의 죽은 사슬로 영적 의미를 묶어 놓는 것을 막으려고 했다. 예수는 그의 전 생애의 사명과 관련된 유일한 예식, 즉 성찬(聖餐)을 선례로 만들면서, 친히 정확한 정의를 내리기보다 오히려 자신의 의미를 제시하려고 고심하였다. 정밀한 공식(公式)을 만들어 놓고서 개인이 신과 교통하는 개념을 없애기를 원하지 않았고, 형식으로 그 개념을 단단히 묶어 놓아 신자의 영적 상상력을 제한하기를 바라지도 않았다. 오히려 그는 새롭고 생생한 영적 자유의 날개, 즐거운 날개 위에 사람의 다시 태어난 혼을 해방시키려고 애썼다. |
|
179:5.4 (1942.3) In instituting this remembrance supper, the Master, as was always his habit, resorted to parables and symbols. He employed symbols because he wanted to teach certain great spiritual truths in such a manner as to make it difficult for his successors to attach precise interpretations and definite meanings to his words. In this way he sought to prevent successive generations from crystallizing his teaching and binding down his spiritual meanings by the dead chains of tradition and dogma. In the establishment of the only ceremony or sacrament associated with his whole life mission, Jesus took great pains to suggest his meanings rather than to commit himself to precise definitions. He did not wish to destroy the individual’s concept of divine communion by establishing a precise form; neither did he desire to limit the believer’s spiritual imagination by formally cramping it. He rather sought to set man’s reborn soul free upon the joyous wings of a new and living spiritual liberty. |
179:5.5 (1942.4) 주를 기억하는 이 새 성찬을 이처럼 제정하려고 주가 애썼는데도, 육체를 입었던 그 마지막 밤의 상징, 간단한 영적 상징이 엄밀한 해석으로 졸아들고 거의 수학처럼 정확히 정해진 공식에 지배되었기 때문에, 지나온 여러 세기 동안 그를 뒤따른 사람들은 그의 뚜렷한 소망이 실질적으로 좌절되도록 처리하였다. 예수의 모든 가르침 가운데, 아무것도 이보다 더 전통으로 표준화되지 않았다. |
|
179:5.5 (1942.4) Notwithstanding the Master’s effort thus to establish this new sacrament of the remembrance, those who followed after him in the intervening centuries saw to it that his express desire was effectively thwarted in that his simple spiritual symbolism of that last night in the flesh has been reduced to precise interpretations and subjected to the almost mathematical precision of a set formula. Of all Jesus’ teachings none have become more tradition-standardized. |
179:5.6 (1942.5) 이 기념 만찬은, 아들을 믿고 하나님을 아는 사람들이 먹을 때, 신이 자리에 계시다는 의미에 관한 곡해, 사람의 어떤 유치한 곡해도, 만찬의 상징과 관련 지을 필요가 없으니, 이는 어떤 그러한 경우에도 주가 정말로 계시기 때문이다. 기념 만찬은 신자가 미가엘과 상징적으로 만나는 일이다. 너희가 이렇게 영을 의식할 때, 아들은 실제로 계시며, 그의 영은 아버지의 깃드는 분신(分身)과 사귄다. |
|
179:5.6 (1942.5) This supper of remembrance, when it is partaken of by those who are Son-believing and God-knowing, does not need to have associated with its symbolism any of man’s puerile misinterpretations regarding the meaning of the divine presence, for upon all such occasions the Master is really present. The remembrance supper is the believer’s symbolic rendezvous with Michael. When you become thus spirit-conscious, the Son is actually present, and his spirit fraternizes with the indwelling fragment of his Father. |
179:5.7 (1942.6) 그들이 몇 순간 명상에 잠긴 뒤에, 예수는 말씀을 이었다: “너희가 이를 행할 때, 땅에서 너희 사이에 내가 살아 왔던 삶을 회상하고, 내가 너희와 함께 계속 땅에서 살고, 너희를 통해서 봉사하리라는 것을 기뻐하라. 개인으로서 누가 가장 클 것인가 너희끼리 다투지 말라. 너희는 다 형제 같이 되라. 하늘나라가 큰 무리의 신자들을 포함하도록 커질 때, 마찬가지로 위대하게 되려고 다투거나 그러한 집단들 사이에서 우대받기를 삼가야 하느니라.” |
|
179:5.7 (1942.6) After they had engaged in meditation for a few moments, Jesus continued speaking: “When you do these things, recall the life I have lived on earth among you and rejoice that I am to continue to live on earth with you and to serve through you. As individuals, contend not among yourselves as to who shall be greatest. Be you all as brethren. And when the kingdom grows to embrace large groups of believers, likewise should you refrain from contending for greatness or seeking preferment between such groups.” |
179:5.8 (1943.1) 그리고 이 위대한 행사는 한 친구의 2층 방에서 일어났다. 그 만찬이나 건물에 대하여 아무런 신성한 모습이나 예식으로 성스러워진 것이 없었다. 주를 기억하는 만찬은 교회의 인가(認可)가 없이 제정되었다. |
|
179:5.8 (1943.1) And this mighty occasion took place in the upper chamber of a friend. There was nothing of sacred form or of ceremonial consecration about either the supper or the building. The remembrance supper was established without ecclesiastical sanction. |
179:5.9 (1943.2) 이렇게 기억의 만찬을 제정하고 나서, 예수는 사도들에게 말했다: “그리고 너희가 이 만찬을 들 때마다, 나를 생각하며 먹으라. 너희가 나를 기억할 때, 먼저 육체를 입고 산 내 일생을 돌이켜보고, 내가 한때 너희와 함께 있었음을 상기하라. 다음에 믿음으로, 아버지의 영원한 나라에서 언젠가 너희 모두가 나와 함께 저녁 먹을 것을 헤아리라. 이것은 내가 너희에게 두고 가는 새 유월절, 아니 내 수여 생명, 영원한 진실의 말씀을 기억하는 것이라. 그리고 내가 너희에게 주는 사랑, 모든 육체에 내 진실의 영을 퍼부을 것을 기억하는 것이라.” |
|
179:5.9 (1943.2) When Jesus had thus established the supper of the remembrance, he said to the eleven: “And as often as you do this, do it in remembrance of me. And when you do remember me, first look back upon my life in the flesh, recall that I was once with you, and then, by faith, discern that you shall all sometime sup with me in the Father’s eternal kingdom. This is the new Passover which I leave with you, even the memory of my bestowal life, the word of eternal truth; and of my love for you, the outpouring of my Spirit of Truth upon all flesh.” |
179:5.10 (1943.3) 그들은 모두 함께 시편 118편을 노래함으로, 새로운 기념 만찬을 창시하는 것과 연결하여, 오래된 이 유월절 축하를 피 흘리지 않고 마쳤다. |
|
179:5.10 (1943.3) And they ended this celebration of the old but bloodless Passover in connection with the inauguration of the new supper of the remembrance, by singing, all together, the one hundred and eighteenth Psal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