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91 편 |
|
Paper 91 |
기도의 진화 |
|
The Evolution of Prayer |
91:0.1 (994.1) 기도는 종교의 한 매체로서, 예전에 종교성이 없는 혼잣말과 대화하는 표현에서 진화했다. 원시인이 자의식을 얻게 되자, 남을 의식함에 불가피하게 따르는 결과, 즉 사회에 반응하고 하나님을 깨닫는 두 가지 가능성이 생겼다. |
|
91:0.1 (994.1) PRAYER, as an agency of religion, evolved from previous nonreligious monologue and dialogue expressions. With the attainment of self-consciousness by primitive man there occurred the inevitable corollary of other-consciousness, the dual potential of social response and God recognition. |
91:0.2 (994.2) 아주 일찍부터 있던 기도(祈禱) 형태는 신에게 말을 건네는 것이 아니었다. 이러한 표현은, 너희가 어떤 중요한 사업을 시작할 때 친구에게 “내게 행운을 빌어 주렴”하고 말하는 것과 비슷했다. 원시인은 마술에 종이 되었고, 행운과 불운이 인생의 모든 일에 끼어들었다. 행운을 비는 이 탄원은 처음에 혼잣말이었다 ― 마술 부리는 자가 생각하는 것을 그저 소리 내어 지껄이는 것과 같았다. 다음에 운을 믿는 이 사람들은 친구와 가족에게 밀어 달라 부탁하고, 이내 씨족이나 부족 전체를 포함하는 어떤 형태의 예식이 거행되곤 하였다. |
|
91:0.2 (994.2) The earliest prayer forms were not addressed to Deity. These expressions were much like what you would say to a friend as you entered upon some important undertaking, “Wish me luck.” Primitive man was enslaved to magic; luck, good and bad, entered into all the affairs of life. At first, these luck petitions were monologues—just a kind of thinking out loud by the magic server. Next, these believers in luck would enlist the support of their friends and families, and presently some form of ceremony would be performed which included the whole clan or tribe. |
91:0.3 (994.3) 귀신과 영의 개념이 진화했을 때, 이 간청은 인간을 초월하는 연설이 되었고, 신들을 의식하게 되자 그러한 표현은 진정한 기도의 수준에 이르렀다. 이것을 보여주는 예로서, 어떤 오스트랄리아 부족들 사이에서 행해지는, 원시 종교의 기도는 영과 초인간 성격자들에 대한 그들의 관념보다 일찍 생겼다. |
|
91:0.3 (994.3) When the concepts of ghosts and spirits evolved, these petitions became superhuman in address, and with the consciousness of gods, such expressions attained to the levels of genuine prayer. As an illustration of this, among certain Australian tribes primitive religious prayers antedated their belief in spirits and superhuman personalities. |
91:0.4 (994.4) 종교적 각성이 있기 전에 초기의 민족들이 했던 것처럼, 인도의 토다 부족은 어느 특별한 이에게 향하지 않고 기도하는 이 관습을 지금 지킨다. 오직 토다인 사이에서, 이것은 그들의 퇴화하는 종교가 이 원시 수준으로 돌아가는 것을 나타낸다. 토다인의 우유 장수 사제들이 행하는 오늘날의 의식은 종교 예식이 아닌데, 이는 이 비개인적 기도가 어떤 사회적 가치나 도덕 가치나 영적 가치를 보존하거나 높이는 데 아무것도 기여하지 않기 때문이다. |
|
91:0.4 (994.4) The Toda tribe of India now observes this practice of praying to no one in particular, just as did the early peoples before the times of religious consciousness. Only, among the Todas, this represents a regression of their degenerating religion to this primitive level. The present-day rituals of the dairymen priests of the Todas do not represent a religious ceremony since these impersonal prayers do not contribute anything to the conservation or enhancement of any social, moral, or spiritual values. |
91:0.5 (994.5) 종교가 생기기 이전의 기도는 멜라네시아인의 마나(*) 관습, 아프리카 피그미 족의 우다(*) 신앙, 북 아메리카 인디안의 마니토우(*)미신의 일부였다. 아프리카의 바간다 부족은 겨우 요즈음에 마나 수준의 기도를 벗어났다. 이 초기 진화의 혼란 속에서 사람들은 ― 지역 및 민족의 ― 신들에게, 주물ㆍ부적ㆍ귀신ㆍ통치자에게, 그리고 보통 사람에게 기도를 올렸다. |
|
91:0.5 (994.5) Prereligious praying was part of the mana practices of the Melanesians, the oudah beliefs of the African Pygmies, and the manitou superstitions of the North American Indians. The Baganda tribes of Africa have only recently emerged from the mana level of prayer. In this early evolutionary confusion men pray to gods—local and national—to fetishes, amulets, ghosts, rulers, and to ordinary people. |
1. 최초의 기도 ^top |
|
1. Primitive Prayer ^top |
91:1.1 (994.6) 초기에 진화된 종교의 기능은 천천히 모습을 갖추는 가치 기준, 필수인 사회적ㆍ도덕적ㆍ영적 가치 기준을 간직하고 확대하는 것이다. 종교의 이러한 임무를 인류가 아직 의식하면서 지켜보지 않았지만, 이것은 주로 기도의 기능으로 이루어진다. 기도하는 관습은 어떤 집단이든 상급의 가치를 이처럼 보존해 두려는 (현실화하려는) 노력, 의도하지 않았지만 그런데도 개인적이고 집단적인 노력을 대표한다. 그러나 기도가 보호되지 않는다면, 모든 거룩한 날이 재빨리 단지 노는 날의 처지로 되돌아갈 것이다. |
|
91:1.1 (994.6) The function of early evolutionary religion is to conserve and augment the essential social, moral, and spiritual values which are slowly taking form. This mission of religion is not consciously observed by mankind, but it is chiefly effected by the function of prayer. The practice of prayer represents the unintended, but nonetheless personal and collective, effort of any group to secure (to actualize) this conservation of higher values. But for the safeguarding of prayer, all holy days would speedily revert to the status of mere holidays. |
91:1.2 (995.1) 종교와 그 매체는, 매체 중에 으뜸은 기도인데, 오직 일반적으로 사회에 인식된 가치 기준, 집단의 인정을 받는 가치 기준과 함께 연합되어 있다. 따라서, 원시인이 비열한 감정을 만족시키거나 염치없이 이기적 포부를 채우려고 애쓸 때, 그는 종교의 위안을 얻지 못하고 기도의 도움을 받지 못한다. 개인이 어떤 반사회적인 것이라도 성취하려고 한다면, 그는 비종교적 마술의 도움을 추구하고 마술사에게 의존할 수밖에 없고, 따라서 기도의 도움을 빼앗긴다. 따라서 기도는 아주 일찍부터 사회의 진화, 도덕의 진보, 영적 달성을 힘차게 장려하는 수단이 되었다. |
|
91:1.2 (995.1) Religion and its agencies, the chief of which is prayer, are allied only with those values which have general social recognition, group approval. Therefore, when primitive man attempted to gratify his baser emotions or to achieve unmitigated selfish ambitions, he was deprived of the consolation of religion and the assistance of prayer. If the individual sought to accomplish anything antisocial, he was obliged to seek the aid of nonreligious magic, resort to sorcerers, and thus be deprived of the assistance of prayer. Prayer, therefore, very early became a mighty promoter of social evolution, moral progress, and spiritual attainment. |
91:1.3 (995.2) 그러나 원시인의 머리는 논리도 일관성도 없었다. 초기의 인간은 물질적인 것이 기도의 분야가 아님을 깨닫지 못했다. 생각이 단순한 이 사람들은 먹을 것, 피난처ㆍ비ㆍ사냥감, 그리고 다른 물질 재화가 사회의 복지를 높인다고 판단했고, 따라서 이러한 물질의 축복을 얻으려고 빌기 시작했다. 이것은 기도를 곡해하는 것이었으나 사회적ㆍ윤리적으로 행동함으로 이 물질적 목표를 이루려는 노력을 북돋아 주었다. 그러한 기도의 타락은 한 민족의 영적 가치를 낮추지만, 그런데도 그들의 경제ㆍ사회ㆍ윤리적 관습을 직접 향상하였다. |
|
91:1.3 (995.2) But the primitive mind was neither logical nor consistent. Early men did not perceive that material things were not the province of prayer. These simple-minded souls reasoned that food, shelter, rain, game, and other material goods enhanced the social welfare, and therefore they began to pray for these physical blessings. While this constituted a perversion of prayer, it encouraged the effort to realize these material objectives by social and ethical actions. Such a prostitution of prayer, while debasing the spiritual values of a people, nevertheless directly elevated their economic, social, and ethical mores. |
91:1.4 (995.3) 가장 원시 종류 지성의 경우에, 기도는 오직 혼잣말일 뿐이다. 기도는 일찍부터 대화가 되고, 급속히 집단 예배의 수준으로 확대된다. 기도하는 것은 원시 종교에서 마술 이전의 주문이, 사회적 가치를 높이고 도덕의 이상을 확대할 수 있는 유익한 권력자나 존재들의 실체를 인간의 머리가 깨닫는 수준까지 진화했다는 것, 그리고 더 나아가서 이 세력들이 인간을 초월하며, 자의식하는 인간 및 동료 필사자의 자아와 다르다는 것을 가리킨다. 그러니까 종교의 효력이 개인적이라는 것을 눈에 선하게 볼 때까지, 참된 기도는 나타나지 않는다. |
|
91:1.4 (995.3) Prayer is only monologuous in the most primitive type of mind. It early becomes a dialogue and rapidly expands to the level of group worship. Prayer signifies that the premagical incantations of primitive religion have evolved to that level where the human mind recognizes the reality of beneficent powers or beings who are able to enhance social values and to augment moral ideals, and further, that these influences are superhuman and distinct from the ego of the self-conscious human and his fellow mortals. True prayer does not, therefore, appear until the agency of religious ministry is visualized as personal. |
91:1.5 (995.4) 기도는 물활론(物活論)과 거의 관련이 없다. 그러나 그러한 믿음은 싹트는 종교적 감정과 나란히 존재할 수도 있다. 여러 번, 종교와 물활론은 도무지 동떨어진 기원을 가졌다. |
|
91:1.5 (995.4) Prayer is little associated with animism, but such beliefs may exist alongside emerging religious sentiments. Many times, religion and animism have had entirely separate origins. |
91:1.6 (995.5) 무서움이라는 원시적 사슬에서 벗어나지 못한 사람들의 경우에, 모든 기도가 죄를 지었다는 더러운 느낌, 실제 죄이든 상상하는 죄이든, 죄를 지었다는 부당한 확신으로 이끌 수도 있다는 참 위험이 있다. 그러나 현대에는 많은 사람이 기도에 충분히 시간을 써서, 그들이 보잘것없거나 죄가 많다고 이렇게 해롭게 곰곰이 생각하도록 이끌 것 같지는 않다. 기도를 잘못 이용하고 왜곡하는 데 따르는 위험은 무지ㆍ미신, 형식의 고정화, 활력의 상실에 있고, 유물론과 광신(狂信)에 있다. |
|
91:1.6 (995.5) With those mortals who have not been delivered from the primitive bondage of fear, there is a real danger that all prayer may lead to a morbid sense of sin, unjustified convictions of guilt, real or fancied. But in modern times it is not likely that many will spend sufficient time at prayer to lead to this harmful brooding over their unworthiness or sinfulness. The dangers attendant upon the distortion and perversion of prayer consist in ignorance, superstition, crystallization, devitalization, materialism, and fanaticism. |
2. 진화하는 기도 ^top |
|
2. Evolving Prayer ^top |
91:2.1 (995.6) 초기의 기도는 단지 소망을 말로 표현한 것, 진지한 바람을 표현한 것이었다. 다음에 기도는 영의 협조를 얻는 기술이 되었다. 그 다음에 기도는 모든 값진 가치 기준을 보존하는 면에서 종교를 돕는 상급 기능에 도달했다. |
|
91:2.1 (995.6) The first prayers were merely verbalized wishes, the expression of sincere desires. Prayer next became a technique of achieving spirit co-operation. And then it attained to the higher function of assisting religion in the conservation of all worth-while values. |
91:2.2 (995.7) 기도와 마술, 이 두 가지는 사람이 유란시아 환경에 적응하여 반응하는 결과로서 일어났다. 그러나 이 일반화된 관계를 별도로 하고, 이 두 가지는 공통점이 거의 없다. 기도는 언제나 비는 자아의 적극적 행위를 가리켰다. 기도는 언제나 정신적이고, 때때로 영적인 것이었다. 마술은 보통, 시행자, 마술 실습자의 자아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현실을 조종하려는 시도를 가리켰다. 기원을 따로 가졌는데도, 마술과 기도는 후일의 발전 단계에서 서로 관련되었다. 마술은 공식(公式)으로 시작하여 의식(儀式)과 주문을 거쳐서, 참된 기도의 문턱에 이르기까지 목표를 높임으로 때때로 올라갔다. 기도는 때때로 너무 물질적이었고, 그래서 유란시아의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필요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는 기법, 가짜 마술의 기법으로 굴러 떨어졌다. |
|
91:2.2 (995.7) Both prayer and magic arose as a result of man’s adjustive reactions to Urantian environment. But aside from this generalized relationship, they have little in common. Prayer has always indicated positive action by the praying ego; it has been always psychic and sometimes spiritual. Magic has usually signified an attempt to manipulate reality without affecting the ego of the manipulator, the practitioner of magic. Despite their independent origins, magic and prayer often have been interrelated in their later stages of development. Magic has sometimes ascended by goal elevation from formulas through rituals and incantations to the threshold of true prayer. Prayer has sometimes become so materialistic that it has degenerated into a pseudomagical technique of avoiding the expenditure of that effort which is requisite for the solution of Urantian problems. |
91:2.3 (996.1) 기도가 신들을 강요할 수 없다는 것을 사람이 깨달았을 때, 기도는 오히려 부탁, 간청이 되었다. 그러나 가장 참된 기도는 실제로, 사람과 창조주 사이에 교통하는 것이다. |
|
91:2.3 (996.1) When man learned that prayer could not coerce the gods, then it became more of a petition, favor seeking. But the truest prayer is in reality a communion between man and his Maker. |
91:2.4 (996.2) 어떤 종교에서도 희생물 바치는 관념이 등장하는 것은, 하나님의 뜻을 행하는 데 자신의 거룩하게 된 뜻을 드리는 대신에, 사람들이 물질 재산 드리기를 추구하므로, 참된 기도의 더 높은 효력을 어김없이 떨어뜨린다. |
|
91:2.4 (996.2) The appearance of the sacrifice idea in any religion unfailingly detracts from the higher efficacy of true prayer in that men seek to substitute the offerings of material possessions for the offering of their own consecrated wills to the doing of the will of God. |
91:2.5 (996.3) 종교가 성격을 가진 하나님을 벗어버릴 때, 그 기도는 신학과 철학 수준으로 옮겨진다. 한 종교에서 가장 높은 하나님 개념이, 범신적 이상주의에서 보는 것 같은 비성격 신 개념이 될 때, 어떤 형태의 신비스러운 교통의 근거를 마련해 주기는 해도, 참된 기도의 효능에 치명적인 것이 드러난다. 참 기도는 반드시 사람이, 성격을 가진 우수한 존재와 교통함을 나타낸다. |
|
91:2.5 (996.3) When religion is divested of a personal God, its prayers translate to the levels of theology and philosophy. When the highest God concept of a religion is that of an impersonal Deity, such as in pantheistic idealism, although affording the basis for certain forms of mystic communion, it proves fatal to the potency of true prayer, which always stands for man’s communion with a personal and superior being. |
91:2.6 (996.4) 종족이 진화하는 초기에, 그리고 현대에도, 보통 필사자의 일상 체험에서 기도는 사람이 자신의 잠재 의식과 대화하는 현상과 아주 가깝다. 그러나 지적으로 기민하고 영적으로 진보하는 개인이 인간 지성의 상의식(上意識) 수준, 깃드는 생각 조절자의 영토와 얼마큼 접촉하는, 그러한 기도 분야가 또한 있다. 그 위에, 우주의 영적 세력이 받고 인식하는 데 관계되는 참된 기도의 분명한 영적 단계가 있으며, 이것은 모든 인간적ㆍ지적인 관련과 전혀 다르다. |
|
91:2.6 (996.4) During the earlier times of racial evolution and even at the present time, in the day-by-day experience of the average mortal, prayer is very much a phenomenon of man’s intercourse with his own subconscious. But there is also a domain of prayer wherein the intellectually alert and spiritually progressing individual attains more or less contact with the superconscious levels of the human mind, the domain of the indwelling Thought Adjuster. In addition, there is a definite spiritual phase of true prayer which concerns its reception and recognition by the spiritual forces of the universe, and which is entirely distinct from all human and intellectual association. |
91:2.7 (996.5) 기도는 진화하는 인간 지성의 종교적 감각을 기르는 데 크게 기여한다. 기도는 인격의 고립을 막도록 작용하는 힘찬 영향력이다. |
|
91:2.7 (996.5) Prayer contributes greatly to the development of the religious sentiment of an evolving human mind. It is a mighty influence working to prevent isolation of personality. |
91:2.8 (996.6) 기도는 종족의 진화에서 자연 종교와 관련된 하나의 기술을 대표하며, 이것은 또한 윤리적으로 뛰어난 더 높은 종교, 곧 계시 종교의 체험적 가치의 일부를 형성한다. |
|
91:2.8 (996.6) Prayer represents one technique associated with the natural religions of racial evolution which also forms a part of the experiential values of the higher religions of ethical excellence, the religions of revelation. |
3. 기도와 타아 ^top |
|
3. Prayer and the Alter Ego ^top |
91:3.1 (996.7) 언어 쓰는 것을 처음 배울 때, 아이들은 그들에게 귀를 기울일 사람이 하나도 없어도, 생각을 말로 해보는, 말로 자기 생각을 표현하는 경향이 있다. 창조적 상상력이 싹이 트자, 이들은 상상의 동무들과 이야기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이 방법으로 싹트는 자아가 가상(假想)하는 타아(他我)와 교통하기를 추구한다. 이 기법으로 그 아이는 일찍부터 혼잣말하는 것을 가짜 대화로 바꾸기를 배우고, 이 대화 속에서 이 타아는 말로 하는 그의 생각, 바람을 표현한 것에 대답한다. 어른의 생각에서 상당 부분이 대화 형태로 머리 속에서 이루어진다. |
|
91:3.1 (996.7) Children, when first learning to make use of language, are prone to think out loud, to express their thoughts in words, even if no one is present to hear them. With the dawn of creative imagination they evince a tendency to converse with imaginary companions. In this way a budding ego seeks to hold communion with a fictitious alter ego. By this technique the child early learns to convert his monologue conversations into pseudo dialogues in which this alter ego makes replies to his verbal thinking and wish expression. Very much of an adult’s thinking is mentally carried on in conversational form. |
91:3.2 (996.8) 초기에 원시 형태의 기도는 오늘날 토다 부족의 반(半) 마술적 암송, 특별히 어느 누구에게 드리는 것이 아닌 기도와 아주 비슷했다. 그러나 그러한 기도법은 타아의 관념이 태어남으로, 대화 형태의 교통으로 진화하는 경향이 있다. 시간이 지나면, 타아 개념은 신다운 위엄을 가진 우수한 지위로 높아지고, 그러면 기도가 종교의 매체로서 등장한 것이다. 많은 단계를 거쳐서, 그리고 오랜 세월 동안, 이 원시 형태의 기도는 진화하여 총명하고 참으로 윤리 있는 기도의 수준에 이르도록 정해져 있다. |
|
91:3.2 (996.8) The early and primitive form of prayer was much like the semimagical recitations of the present-day Toda tribe, prayers that were not addressed to anyone in particular. But such techniques of praying tend to evolve into the dialogue type of communication by the emergence of the idea of an alter ego. In time the alter-ego concept is exalted to a superior status of divine dignity, and prayer as an agency of religion has appeared. Through many phases and during long ages this primitive type of praying is destined to evolve before attaining the level of intelligent and truly ethical prayer. |
91:3.3 (997.1) 연속되는 여러 세대의 기도하는 필사자들이 파악하다시피, 타아(他我)는 귀신ㆍ주물ㆍ영들을 거쳐서 다신교의 신들, 궁극에는 유일한 하나님, 곧 기도하는 자아의 가장 높은 이상과 가장 고귀한 소망을 구현하는 신다운 존재에 이르기까지 진화한다. 이렇게, 기도하는 자의 가장 높은 가치와 이상을 보존하는 일에, 기도는 종교의 가장 유력한 매체로서 작용한다. 타아를 생각하는 그 순간부터 신답고 하늘에 계신 아버지 개념이 나타나기까지, 기도는 언제나 사람을 사교적으로 만들고 교화하고 영답게 변화시키는 연습이다. |
|
91:3.3 (997.1) As it is conceived by successive generations of praying mortals, the alter ego evolves up through ghosts, fetishes, and spirits to polytheistic gods, and eventually to the One God, a divine being embodying the highest ideals and the loftiest aspirations of the praying ego. And thus does prayer function as the most potent agency of religion in the conservation of the highest values and ideals of those who pray. From the moment of the conceiving of an alter ego to the appearance of the concept of a divine and heavenly Father, prayer is always a socializing, moralizing, and spiritualizing practice. |
91:3.4 (997.2) 믿음으로 드리는 단순한 기도는 인간의 체험에서 힘찬 진화를 입증하고, 이렇게 함으로 원시 종교에서 가상(假想)의 상징인 타아와 함께 가졌던 옛날의 대화는 무한자의 영과 교통하는 수준, 그리고 모든 지적 창조의 영원한 하나님이자 파라다이스 아버지의 실체를 진정하게 의식하는 수준까지 높아졌다. |
|
91:3.4 (997.2) The simple prayer of faith evidences a mighty evolution in human experience whereby the ancient conversations with the fictitious symbol of the alter ego of primitive religion have become exalted to the level of communion with the spirit of the Infinite and to that of a bona fide consciousness of the reality of the eternal God and Paradise Father of all intelligent creation. |
91:3.5 (997.3) 기도하는 체험 속에서 초월 자아인 모든 것을 제쳐 놓고, 윤리적 기도는 더 나은 삶과 더 높은 달성을 위하여 사람의 자존심을 높이고 자아를 강화하는 훌륭한 방법이라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물질적 도움을 얻기 위해서는 필사자가 체험하는 하의식(下意識)의 저수지를 보라, 영감과 안내를 받기 위해서는 물질인 자가 영적인 자, 신비의 훈계자와 닿는 상의식(上意識)의(*) 경계를 보라, 기도는 도움을 얻기 위해서 인간의 자아로 하여금 이렇게 양쪽을 보라고 유도한다. |
|
91:3.5 (997.3) Aside from all that is superself in the experience of praying, it should be remembered that ethical prayer is a splendid way to elevate one’s ego and reinforce the self for better living and higher attainment. Prayer induces the human ego to look both ways for help: for material aid to the subconscious reservoir of mortal experience, for inspiration and guidance to the superconscious borders of the contact of the material with the spiritual, with the Mystery Monitor. |
91:3.6 (997.4) 기도는 늘 두 가지 인간 체험, 영적 기술과 서로 관련된 심리적 과정이었고, 또 늘 그럴 것이다. 기도의 이 두 기능은 결코 완전히 떼어놓을 수 없다. |
|
91:3.6 (997.4) Prayer ever has been and ever will be a twofold human experience: a psychologic procedure interassociated with a spiritual technique. And these two functions of prayer can never be fully separated. |
91:3.7 (997.5) 깨우침을 얻은 기도는 바깥에 계시고 성격을 가진 하나님만 아니라, 또한 안에 계시고 비성격인 신, 깃드는 조절자를 헤아려 보아야 한다. 사람이 기도할 때 파라다이스에 계신 우주의 아버지 개념을 붙잡으려고 애쓰는 것은 무척 어울린다. 그러나 가장 실용적 목적을 위해서 가장 효과 있는 기법은, 원시의 지성이 늘 버릇처럼 한 것과 똑같이, 가까이 있는 타아의 개념으로 돌아가고, 다음에 이 타아의 관념이 단순한 허구(虛構)로부터 사실로 조절자의 계심 속에서 하나님이 필사 인간에 깃든다는 진실에 이르기까지 진화했음을 인식하는 것이리라. 그래서 사람은 자기 속에 깃들고, 살아 계시는 하나님, 우주의 아버지의 바로 그 계심이자 알맹이인 타아, 실재하고 진정하고 신다운 타아와 함께, 말하자면 얼굴을 맞대고 이야기할 수 있다. |
|
91:3.7 (997.5) Enlightened prayer must recognize not only an external and personal God but also an internal and impersonal Divinity, the indwelling Adjuster. It is altogether fitting that man, when he prays, should strive to grasp the concept of the Universal Father on Paradise; but the more effective technique for most practical purposes will be to revert to the concept of a near-by alter ego, just as the primitive mind was wont to do, and then to recognize that the idea of this alter ego has evolved from a mere fiction to the truth of God’s indwelling mortal man in the factual presence of the Adjuster so that man can talk face to face, as it were, with a real and genuine and divine alter ego that indwells him and is the very presence and essence of the living God, the Universal Father. |
4. 윤리에 맞는 기도 ^top |
|
4. Ethical Praying ^top |
91:4.1 (997.6) 간청하는 사람이 제 동료들보다 이기적 이점을 찾을 때는 어떤 기도도 윤리적일 수 없다. 이기적이고 물질을 찾는 기도는 사심(私心)없는 신다운 사랑에 바탕을 둔, 윤리적 종교와 양립할 수 없다. 윤리에 어긋나는 모든 그러한 기도는 거짓된 마술의 원시 수준으로 돌아가며, 진보하는 문명과 깨우친 종교에 어울리지 않는다. 이기적 기도는 자애로운 응보에 기초를 둔, 모든 윤리 정신을 짓밟는다. |
|
91:4.1 (997.6) No prayer can be ethical when the petitioner seeks for selfish advantage over his fellows. Selfish and materialistic praying is incompatible with the ethical religions which are predicated on unselfish and divine love. All such unethical praying reverts to the primitive levels of pseudo magic and is unworthy of advancing civilizations and enlightened religions. Selfish praying transgresses the spirit of all ethics founded on loving justice. |
91:4.2 (997.7) 기도는 결코 행동을 대신하는 정도가 되기까지 타락해서는 안 된다. 어떤 윤리적 기도도 행동을 자극하며, 자아를 초월하여 이상적 목표에 이르려는 진취적 노력으로 안내한다. |
|
91:4.2 (997.7) Prayer must never be so prostituted as to become a substitute for action. All ethical prayer is a stimulus to action and a guide to the progressive striving for idealistic goals of superself-attainment. |
91:4.3 (998.1) 너희가 어떤 기도를 드리더라도 공정하여라. 하나님이 편애를 보이고, 다른 자녀들과 너희의 친구와 이웃, 아니 적보다도 더 너를 사랑하기를 기대하지 말라. 그러나 자연 종교, 즉 진화된 종교에서 드리는 기도는, 후일에 계시된 종교와 달리 처음에는 윤리가 없다. 모든 기도는, 개별로 하든 공동으로 하든, 이기적이거나 이타적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기도는 자아나 또는 남을 중심으로 드릴 수 있다. 기도가 비는 자를 위해서나 동료를 위해서 아무것도 구하지 않을 때, 혼(魂)의 그러한 태도는 참된 예배의 수준으로 향한다. 자기 본위의 기도는 고백과 부탁을 포함하고, 흔히 물질적 은혜를 부탁하는 것이다. 용서를 다루고 더욱 자제하기 위한 지혜를 찾을 때, 기도는 얼마큼 더 윤리가 있다. |
|
91:4.3 (998.1) In all your praying be fair; do not expect God to show partiality, to love you more than his other children, your friends, neighbors, even enemies. But the prayer of the natural or evolved religions is not at first ethical, as it is in the later revealed religions. All praying, whether individual or communal, may be either egoistic or altruistic. That is, the prayer may be centered upon the self or upon others. When the prayer seeks nothing for the one who prays nor anything for his fellows, then such attitudes of the soul tend to the levels of true worship. Egoistic prayers involve confessions and petitions and often consist in requests for material favors. Prayer is somewhat more ethical when it deals with forgiveness and seeks wisdom for enhanced self-control. |
91:4.4 (998.2) 이기심 없는 종류의 기도는 힘을 주고 마음을 어루만져 주지만, 사람이 법과 질서가 있는 물리적 우주에서 산다는 것을 진보하는 과학의 발견이 보여줌에 따라서, 물질적 기도는 실망을 주고 사람이 환상에서 깨어나게 만들도록 정해져 있다. 한 개인이나 민족이 어린 시기에는 원시적ㆍ이기적ㆍ물질적 기도를 드리는 특징이 있다. 어느 정도까지 모든 그러한 부탁은, 그러한 기도에 대한 응답을 얻는 데 기여하는 노력과 수고로 어김없이 이끈다는 점에서 효력이 있다. 믿음으로 하는 진정한 기도는, 그러한 부탁이 영적 인정을 받을 가치가 없더라도, 생활 기법을 더 터득하는 데 반드시 이바지한다. 그러나 영적으로 앞선 사람은 원시적이거나 미숙한 생각을 하는 자가 그렇게 기도하는 것을 말리려고 애쓸 때 크게 조심해야 한다. |
|
91:4.4 (998.2) While the nonselfish type of prayer is strengthening and comforting, materialistic praying is destined to bring disappointment and disillusionment as advancing scientific discoveries demonstrate that man lives in a physical universe of law and order. The childhood of an individual or a race is characterized by primitive, selfish, and materialistic praying. And, to a certain extent, all such petitions are efficacious in that they unvaryingly lead to those efforts and exertions which are contributory to achieving the answers to such prayers. The real prayer of faith always contributes to the augmentation of the technique of living, even if such petitions are not worthy of spiritual recognition. But the spiritually advanced person should exercise great caution in attempting to discourage the primitive or immature mind regarding such prayers. |
91:4.5 (998.3) 비록 기도가 하나님을 바꾸지 않는다 하더라도, 기도는 믿음으로, 확신을 가지고 기대하며 기도하는 사람 속에서 크고 오래 가는 변화를 흔히 일으킨다는 것을 기억하여라. 기도는 진화하는 민족들의 남녀 안에서, 상당한 마음의 평안ㆍ명랑ㆍ차분함ㆍ용기, 자아의 통달과 공정한 정신의 근원이었다. |
|
91:4.5 (998.3) Remember, even if prayer does not change God, it very often effects great and lasting changes in the one who prays in faith and confident expectation. Prayer has been the ancestor of much peace of mind, cheerfulness, calmness, courage, self-mastery, and fair-mindedness in the men and women of the evolving races. |
5. 기도의 사회적 영향 ^top |
|
5. Social Repercussions of Prayer ^top |
91:5.1 (998.4) 조상 숭배에서 기도는 조상의 이상을 추구하는 길로 이끈다. 그러나 신을 예배하는 한 모습으로서 기도는 모든 다른 그러한 관습을 뛰어넘는데, 이는 기도가 신의 이상을 추구하도록 이끌기 때문이다. 기도에서 타아의 개념이 지극히 높아지고 신답게 되면서, 사람의 이상도 따라서 단지 인간의 수준에서 하늘 같고 신다운 수준을 향하여 올라가며, 모든 그러한 기도의 결과는 인품을 높이고 인격을 깊이 통일하는 것이다. |
|
91:5.1 (998.4) In ancestor worship, prayer leads to the cultivation of ancestral ideals. But prayer, as a feature of Deity worship, transcends all other such practices since it leads to the cultivation of divine ideals. As the concept of the alter ego of prayer becomes supreme and divine, so are man’s ideals accordingly elevated from mere human toward supernal and divine levels, and the result of all such praying is the enhancement of human character and the profound unification of human personality. |
91:5.2 (998.5) 그러나 기도는 반드시 개인 기도일 필요는 없다. 집단이나 집회에서 하는 기도는 그 영향이 상당히 사회에 퍼지므로 아주 효과가 있다. 한 무리가 도덕의 향상과 영적 진보를 위하여 공동체의 기도에 참여할 때, 그러한 예배는 그 집단을 구성하는 개인에게 반응을 일으킨다. 참여하기 때문에 그들은 모두 더 나아진다. 한 도시 전체나 한 나라 전부조차 그렇게 기도하는 예배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고백과 뉘우침과 기도는 개인과 도시, 나라와 온 민족을 힘찬 개혁의 노력과 과감한 성취를 향하여 용감하게 행동하도록 이끌어 왔다. |
|
91:5.2 (998.5) But prayer need not always be individual. Group or congregational praying is very effective in that it is highly socializing in its repercussions. When a group engages in community prayer for moral enhancement and spiritual uplift, such devotions are reactive upon the individuals composing the group; they are all made better because of participation. Even a whole city or an entire nation can be helped by such prayer devotions. Confession, repentance, and prayer have led individuals, cities, nations, and whole races to mighty efforts of reform and courageous deeds of valorous achievement. |
91:5.3 (998.6) 너희가 어떤 친구를 비난하는 버릇을 참으로 고치고 싶다면, 그러한 태도의 변화를 가져오는 데 가장 빠르고 확실한 방법은 일생에 날마다 그 사람을 위하여 기도하는 버릇을 길들이는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기도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은 대체로 두 가지 조건에 의존한다: |
|
91:5.3 (998.6) If you truly desire to overcome the habit of criticizing some friend, the quickest and surest way of achieving such a change of attitude is to establish the habit of praying for that person every day of your life. But the social repercussions of such prayers are dependent largely on two conditions: |
91:5.4 (998.7) 1. 누구를 위해서 기도할 때 그 사람이 이를 알아야 한다. |
|
91:5.4 (998.7) 1. The person who is prayed for should know that he is being prayed for. |
91:5.5 (999.1) 2. 기도하는 사람은 누구를 위하여 기도하든, 그 사람과 가까운 사회적 접촉을 가져야 한다. |
|
91:5.5 (999.1) 2. The person who prays should come into intimate social contact with the person for whom he is praying. |
91:5.6 (999.2) 기도하는 기법으로 조만간에 모든 종교는 제도화된다. 시간이 되면 기도는 수많은 2차적 매체와 결합되는데, 사제, 신성한 책, 예배 의식, 예식과 같이, 더러는 유익하고 더러는 확실히 해롭다. |
|
91:5.6 (999.2) Prayer is the technique whereby, sooner or later, every religion becomes institutionalized. And in time prayer becomes associated with numerous secondary agencies, some helpful, others decidedly deleterious, such as priests, holy books, worship rituals, and ceremonials. |
91:5.7 (999.3) 그러나 영적 빛을 더 크게 받은 사람은, 자기의 허약한 영적 통찰력을 동원하기 위하여 상징을 몹시 바라는, 부족한 지능을 받은 자를 참고 너그럽게 보아야 한다. 강한 자가 약한 자를 업신여기는 눈으로 보아서는 안 된다. 상징이 없어도 하나님을 의식하는 자는, 형태와 의식이 없이, 신을 숭배하고 진실ㆍ아름다움ㆍ선을 존중하기가 어려운 자에게 상징의 은혜로운 봉사를 막아서는 안 된다. 기도하는 마음으로 예배하는 가운데 대부분의 필사자는 그들이 예배하는 목표인 대상의 어떤 상징을 그려본다. |
|
91:5.7 (999.3) But the minds of greater spiritual illumination should be patient with, and tolerant of, those less endowed intellects that crave symbolism for the mobilization of their feeble spiritual insight. The strong must not look with disdain upon the weak. Those who are God-conscious without symbolism must not deny the grace-ministry of the symbol to those who find it difficult to worship Deity and to revere truth, beauty, and goodness without form and ritual. In prayerful worship, most mortals envision some symbol of the object-goal of their devotions. |
6. 기도의 범위 ^top |
|
6. The Province of Prayer ^top |
91:6.1 (999.4) 한 영역에서 개인적인 영적 세력 및 물질 감독자들의 뜻과 행위와 연결되지 않으면, 기도는 사람의 물리적 환경에 아무런 직접 영향을 미칠 수 없다. 기도로 간청하는 범위에 아주 분명한 한계가 있지만, 그러한 한계는 기도하는 자들의 믿음에 똑같이 적용되지 않는다. |
|
91:6.1 (999.4) Prayer, unless in liaison with the will and actions of the personal spiritual forces and material supervisors of a realm, can have no direct effect upon one’s physical environment. While there is a very definite limit to the province of the petitions of prayer, such limits do not equally apply to the faith of those who pray. |
91:6.2 (999.5) 기도는 진정한 병, 유기체의 병을 고치는 기술이 아니지만, 튼튼한 체력을 즐기는 데, 그리고 수많은 정신ㆍ감정ㆍ신경의 질병을 고치는 데 엄청나게 이바지해 왔다. 실제로 박테리아 때문에 생기는 병의 경우에도, 기도는 여러 번 다른 치료 과정의 효력에 크게 보탬이 되었다. 기도는 쉽게 성내고 투덜거리는 많은 병자를 인내(忍耐)의 표본으로 변화시키고, 그로 하여금 고통 받는 모든 다른 사람에게 영감을 주는 자가 되게 하였다. |
|
91:6.2 (999.5) Prayer is not a technique for curing real and organic diseases, but it has contributed enormously to the enjoyment of abundant health and to the cure of numerous mental, emotional, and nervous ailments. And even in actual bacterial disease, prayer has many times added to the efficacy of other remedial procedures. Prayer has turned many an irritable and complaining invalid into a paragon of patience and made him an inspiration to all other human sufferers. |
91:6.3 (999.6) 기도의 효력에 관한 과학적 의심, 그리고 신다운 근원으로부터 도움과 안내를 받으려 하는 늘 있는 욕구, 이 두 가지를 절충하기가 아무리 어렵더라도, 믿음으로 드리는 성실한 기도는 개인의 행복, 개인의 자제, 사회적 조화, 도덕적 진보, 영적 달성을 증진하는 데 막강한 힘이라는 것을 결코 잊지 말라. |
|
91:6.3 (999.6) No matter how difficult it may be to reconcile the scientific doubtings regarding the efficacy of prayer with the ever-present urge to seek help and guidance from divine sources, never forget that the sincere prayer of faith is a mighty force for the promotion of personal happiness, individual self-control, social harmony, moral progress, and spiritual attainment. |
91:6.4 (999.7) 기도가 순전히 인간다운 관습, 사람의 타아와 가지는 대화이라도, 기도는 인간 지성의 무의식 영역에 쌓아 두고 보존된, 인간 성품에 비축된 힘을 실현하는 데 가장 효과 있게 접근하는 기법이다. 기도의 종교적 함축성과 영적 중요성은 별도로 하고, 기도는 건전한 심리학적 버릇이다. 충분히 곤경(困境)에 빠지면, 대부분의 사람은 어떤 방법이든 어떤 도움의 근원에게 기도를 드리고 싶어 한다는 것이 인간의 체험에서 사실이다. |
|
91:6.4 (999.7) Prayer, even as a purely human practice, a dialogue with one’s alter ego, constitutes a technique of the most efficient approach to the realization of those reserve powers of human nature which are stored and conserved in the unconscious realms of the human mind. Prayer is a sound psychologic practice, aside from its religious implications and its spiritual significance. It is a fact of human experience that most persons, if sufficiently hard pressed, will pray in some way to some source of help. |
91:6.5 (999.8) 너의 어려움을 해결해 달라고 하나님께 부탁할 정도로 너무 게으름을 피우지 말지어다. 그러나 너 스스로가 각오를 가지고 닥친 문제에 용감하게 달려들면서, 너를 안내하고 버티게 할 지혜와 영적 힘을 달라고 하나님께 서슴지 말고 부탁하여라. |
|
91:6.5 (999.8) Do not be so slothful as to ask God to solve your difficulties, but never hesitate to ask him for wisdom and spiritual strength to guide and sustain you while you yourself resolutely and courageously attack the problems at hand. |
91:6.6 (999.9) 기도는 종교적 문명의 진보와 보존에 필수 요소였고, 기도하는 자가 오로지 과학적 사실, 철학적 지혜, 지적 성실성, 영적 믿음에 비추어 기도한다면, 사회를 더욱 향상시키고 영답게 변화시키는 데 기도는 아직도 힘차게 공헌할 것이 있다. 예수가 제자들을 가르친 것 같이 ― 정직하게, 사심 없이, 공평하게, 의심하지 말고 ― 기도하라. |
|
91:6.6 (999.9) Prayer has been an indispensable factor in the progress and preservation of religious civilization, and it still has mighty contributions to make to the further enhancement and spiritualization of society if those who pray will only do so in the light of scientific facts, philosophic wisdom, intellectual sincerity, and spiritual faith. Pray as Jesus taught his disciples—honestly, unselfishly, with fairness, and without doubting. |
91:6.7 (1000.1) 그러나 기도하는 자가 몸소 영적 체험을 겪으면서 드리는 기도의 효력은, 어떤 면에서도 그러한 예배자의 지적 이해력, 철학적 총명, 사회적 수준, 문화적 지위, 또는 필사자의 기타 성취에 달려 있지 않다. 믿음으로 드리는 기도에 심리적ㆍ영적으로 부수되는 것들은 즉시, 개인에게 생기고 체험하는 것이다. 필사자가 무슨 다른 업적이 있던 상관없이, 누구나 창조주와 교통할 수 있고, 사람이 창조자의 실체, 깃드는 생각 조절자와 접촉하는 바로 그 영역의 문턱에 아주 실질적으로 즉시 다가갈 수 있는 다른 방법은 하나도 없다. |
|
91:6.7 (1000.1) But the efficacy of prayer in the personal spiritual experience of the one who prays is in no way dependent on such a worshiper’s intellectual understanding, philosophic acumen, social level, cultural status, or other mortal acquirements. The psychic and spiritual concomitants of the prayer of faith are immediate, personal, and experiential. There is no other technique whereby every man, regardless of all other mortal accomplishments, can so effectively and immediately approach the threshold of that realm wherein he can communicate with his Maker, where the creature contacts with the reality of the Creator, with the indwelling Thought Adjuster. |
7. 신비주의와 황홀경과 영감 ^top |
|
7. Mysticism, Ecstasy, and Inspiration ^top |
91:7.1 (1000.2) 신비주의는 하나님이 앞에 계시다는 의식을 기르는 기법으로서 아주 칭찬할 만하지만, 그러한 풍습이 사회에서 고립되도록 이끌고 종교적 광신(狂信)에 이를 때 신비주의는 거의 비난을 받을 만하다. 지나치게 흥분한 신비주의자가 신이 주는 영감이라고 평가하는 것은, 전적으로 너무나 흔히 자신의 머리 속 깊은 데서 우러나온 것이다. 명상에 잠기면 필사자의 지성이 그 깃드는 조절자와 접촉하는 것이 흔히 유리하게 되지만, 동료 인간에게 베푸는 사심 없는 직책에서 마음을 다하여 사랑으로 봉사를 베푸는 것이 그 접촉을 수월하게 만드는 일이 더욱 흔하다. |
|
91:7.1 (1000.2) Mysticism, as the technique of the cultivation of the consciousness of the presence of God, is altogether praiseworthy, but when such practices lead to social isolation and culminate in religious fanaticism, they are all but reprehensible. Altogether too frequently that which the overwrought mystic evaluates as divine inspiration is the uprisings of his own deep mind. The contact of the mortal mind with its indwelling Adjuster, while often favored by devoted meditation, is more frequently facilitated by wholehearted and loving service in unselfish ministry to one’s fellow creatures. |
91:7.2 (1000.3) 지난 시대에 나타났던 위대한 종교 스승과 선지자들은 극단적 신비주의자가 아니었다. 그들은 하나님을 아는 남녀였고, 동료 필사자에게 사심 없이 봉사함으로 하나님을 최선으로 섬겼다. 예수는 자주 사도들만 외딴 곳으로 데리고 가서 잠시 동안 명상과 기도에 잠기게 했지만, 대체로 사도들이 군중과 함께 봉사하는 접촉을 가지게 하였다. 사람의 혼은 영적 영양만 아니라 영적 운동이 필요하다. |
|
91:7.2 (1000.3) The great religious teachers and the prophets of past ages were not extreme mystics. They were God-knowing men and women who best served their God by unselfish ministry to their fellow mortals. Jesus often took his apostles away by themselves for short periods to engage in meditation and prayer, but for the most part he kept them in service-contact with the multitudes. The soul of man requires spiritual exercise as well as spiritual nourishment. |
91:7.3 (1000.4) 종교적 환희는 정신이 멀쩡한 상태에서 생길 때는 괜찮아도, 그러한 체험은 깊은 영적 인품이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순전히 감정의 영향으로 생긴 부산물일 때가 더 흔하다. 종교적인 사람은 눈에 선한 심리적 그림, 강렬하게 감동한 체험을 모조리 신의 계시나 영적 교통이라 여겨서는 안 된다. 진정한 영적 황홀경은 보통, 바깥으로 크게 차분하며, 거의 완전한 감정 통제와 연결된다. 그러나 예언을 받는 참된 환상은 심리학을 초월하는 그림이다. 그러한 방문은 거짓 환각이 아니요, 최면 같은 황홀경도 아니다. |
|
91:7.3 (1000.4) Religious ecstasy is permissible when resulting from sane antecedents, but such experiences are more often the outgrowth of purely emotional influences than a manifestation of deep spiritual character. Religious persons must not regard every vivid psychologic presentiment and every intense emotional experience as a divine revelation or a spiritual communication. Genuine spiritual ecstasy is usually associated with great outward calmness and almost perfect emotional control. But true prophetic vision is a superpsychologic presentiment. Such visitations are not pseudo hallucinations, neither are they trancelike ecstasies. |
91:7.4 (1000.5) 인간의 지성이 하의식(下意識)에서 떠오르는 것이나 상의식(上意識)의 자극에 민감할 때, 그 지성은 이른바 영감에 반응하여 행위할지 모른다. 둘 중에 어느 경우라도, 의식 알맹이가 그렇게 확대되는 것은 얼마큼 그 사람에게 낯선 것처럼 보인다. 자제하지 않고 신비주의에 빠지는 열심과 과격한 종교적 황홀경은 영감을 받았다는 증명서, 신이 준다고 생각되는 증명서는 아니다. |
|
91:7.4 (1000.5) The human mind may perform in response to so-called inspiration when it is sensitive either to the uprisings of the subconscious or to the stimulus of the superconscious. In either case it appears to the individual that such augmentations of the content of consciousness are more or less foreign. Unrestrained mystical enthusiasm and rampant religious ecstasy are not the credentials of inspiration, supposedly divine credentials. |
91:7.5 (1000.6) 신비주의ㆍ황홀경ㆍ영감과 같은 이 모든 이상한 종교적 체험이 진정한가를 재는 실용적 시험은 이 현상이 한 개인을 어떻게 만드는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
|
91:7.5 (1000.6) The practical test of all these strange religious experiences of mysticism, ecstasy, and inspiration is to observe whether these phenomena cause an individual: |
91:7.6 (1000.7) 1. 건강이 나아지고 몸이 더 건강하게 되는가. |
|
91:7.6 (1000.7) 1. To enjoy better and more complete physical health. |
91:7.7 (1000.8) 2. 개인의 정신 생활에서 더 효과 있게, 실용적으로 활동하게 하는가. |
|
91:7.7 (1000.8) 2. To function more efficiently and practically in his mental life. |
91:7.8 (1000.9) 3. 개인의 종교적 체험을 더욱 충만하게, 즐겁게 사회와 연결 짓는가. |
|
91:7.8 (1000.9) 3. More fully and joyfully to socialize his religious experience. |
91:7.9 (1000.10) 4. 틀에 박힌 필사 존재의 평범한 의무를 충실히 이행하면서, 나날의 생활을 더욱 낫게 영답게 변화시키는가. |
|
91:7.9 (1000.10) 4. More completely to spiritualize his day-by-day living while faithfully discharging the commonplace duties of routine mortal existence. |
91:7.10 (1001.1) 5. 진실ㆍ아름다움ㆍ선을 개인이 더욱 사랑하고 음미하게 하는가. |
|
91:7.10 (1001.1) 5. To enhance his love for, and appreciation of, truth, beauty, and goodness. |
91:7.11 (1001.2) 6. 현재 인정된 사회적ㆍ도덕적ㆍ윤리적ㆍ영적 가치 기준을 보존하게 하는가. |
|
91:7.11 (1001.2) 6. To conserve currently recognized social, moral, ethical, and spiritual values. |
91:7.12 (1001.3) 7. 개인의 영적 통찰력 ― 하나님 의식(意識)을 키우는가. |
|
91:7.12 (1001.3) 7. To increase his spiritual insight—God-consciousness. |
91:7.13 (1001.4) 그러나 기도는 특별한 이러한 종교적 체험과 아무런 진정한 관계가 없다. 기도가 지나치게 미학으로 흐를 때, 기도가 거의 순전히 천국의 신에 대한 아름답고 복된 명상으로 이루어질 때, 기도는 그 친교적 영향력을 많이 잃어버리고 기도하는 사람을 신비주의와 고립으로 향하게 한다. 지나친 비밀 기도와 연결된 어떤 위험이 있으며, 집단의 기도, 공동 예배가 그런 기도를 고치고 예방한다. |
|
91:7.13 (1001.4) But prayer has no real association with these exceptional religious experiences. When prayer becomes overmuch aesthetic, when it consists almost exclusively in beautiful and blissful contemplation of paradisiacal divinity, it loses much of its socializing influence and tends toward mysticism and the isolation of its devotees. There is a certain danger associated with overmuch private praying which is corrected and prevented by group praying, community devotions. |
8. 기도는 몸소 겪는 체험 ^top |
|
8. Praying as a Personal Experience ^top |
91:8.1 (1001.5) 기도에는 참으로 저절로 일어나는 모습이 있는데, 이는 원시인이 하나님에 대하여 어떤 뚜렷한 개념을 가지기 훨씬 전에, 자기가 비는 것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시초의 인간은 두 가지 다른 상황에서 비는 버릇이 있었다: 끔찍한 곤경에 빠졌을 때, 도움을 얻으려고 손을 뻗는 충동을 느꼈고, 기쁨에 날뛸 때, 충동으로 기쁨을 표현하는 데 빠졌다. |
|
91:8.1 (1001.5) There is a truly spontaneous aspect to prayer, for primitive man found himself praying long before he had any clear concept of a God. Early man was wont to pray in two diverse situations: When in dire need, he experienced the impulse to reach out for help; and when jubilant, he indulged the impulsive expression of joy. |
91:8.2 (1001.6) 기도는 마술이 진화된 것이 아니다. 이 둘은 따로 생겨났다. 마술은 신을 형편에 맞게 적응시키려는 시도였고, 기도는 인격자를 신의 뜻에 맞게 조정하려는 노력이다. 참된 기도는 도덕과 종교성이 있지만, 마술은 이 중에 어느 것도 없다. |
|
91:8.2 (1001.6) Prayer is not an evolution of magic; they each arose independently. Magic was an attempt to adjust Deity to conditions; prayer is the effort to adjust the personality to the will of Deity. True prayer is both moral and religious; magic is neither. |
91:8.3 (1001.7) 기도는 길들인 관습이 될 수도 있고, 많은 사람은 남이 기도하기 때문에 기도한다. 또 더러는 그들이 때맞추어 간청을 드리지 않으면 무슨 끔찍한 일이 일어날까 두려워서 기도한다. |
|
91:8.3 (1001.7) Prayer may become an established custom; many pray because others do. Still others pray because they fear something direful may happen if they do not offer their regular supplications. |
91:8.4 (1001.8) 어떤 사람에게 기도는 고마움을 차분하게 표현하는 것이요, 다른 사람에게는 찬미와 사회적 예배를 집단이 표현한 것이다. 어떤 때 기도는 다른 사람의 종교를 흉내낸 것이요, 한편 참되게 기도할 때 기도는 사람의 영적 성품이 어디에나 계시는 창조자의 영과 성실하게, 신뢰하면서 가지는 교통이다. |
|
91:8.4 (1001.8) To some individuals prayer is the calm expression of gratitude; to others, a group expression of praise, social devotions; sometimes it is the imitation of another’s religion, while in true praying it is the sincere and trusting communication of the spiritual nature of the creature with the anywhere presence of the spirit of the Creator. |
91:8.5 (1001.9) 기도는 하나님을 의식함을 저절로 입 밖에 내는 것일 수도 있고, 신학적 고백문을 뜻 없이 낭독하는 것일 수도 있다. 기도는 하나님을 아는 혼이 드리는 환희의 찬미이든지, 아니면 두려움에 질린 필사자가 종처럼 복종하는 것일 수 있다. 때때로 기도는 영적 목마름을 애처로이 표현한 것이고, 때때로 경건한 구절을 뻔뻔스럽게 외치는 것이다. 기도는 기쁨에 넘친 찬미이든지 또는 용서를 찾는 겸손한 간청일지 모른다. |
|
91:8.5 (1001.9) Prayer may be a spontaneous expression of God-consciousness or a meaningless recitation of theologic formulas. It may be the ecstatic praise of a God-knowing soul or the slavish obeisance of a fear-ridden mortal. It is sometimes the pathetic expression of spiritual craving and sometimes the blatant shouting of pious phrases. Prayer may be joyous praise or a humble plea for forgiveness. |
91:8.6 (1001.10) 기도는 불가능한 것을 바라는 어린아이 같은 부탁이든지, 아니면 도덕적 성장과 영적 권능을 얻으려는 성숙한 탄원일 수도 있다. 간구는 날마다 먹는 빵을 얻기 위한 것이거나, 하나님을 찾고 그의 뜻을 행하려는, 마음을 다하는 소망을 담을 수도 있다. 기도는 온통 이기적 요청일 수도 있고, 사심 없는 형제 정신을 실현하기 위한 참되고 훌륭한 손짓일 수도 있다. |
|
91:8.6 (1001.10) Prayer may be the childlike plea for the impossible or the mature entreaty for moral growth and spiritual power. A petition may be for daily bread or may embody a wholehearted yearning to find God and to do his will. It may be a wholly selfish request or a true and magnificent gesture toward the realization of unselfish brotherhood. |
91:8.7 (1001.11) 기도는 복수하려는 성난 외침일 수도 있고, 자기의 적을 위한 자비로운 중재일 수도 있다. 기도는 하나님의 생각을 바꾸려는 희망을 표현한 것일 수도 있고, 사람의 자아를 변화시키는 강력한 기법일 수도 있다. 기도는 엄격하다고 생각되는 재판관 앞에서 길 잃은 죄인이 움츠러들어 드리는 탄원이든지, 또는 살아 계신 자비로운 하늘 아버지의 해방된 아들이 기쁨에 넘쳐 표현하는 말일 수도 있다. |
|
91:8.7 (1001.11) Prayer may be an angry cry for vengeance or a merciful intercession for one’s enemies. It may be the expression of a hope of changing God or the powerful technique of changing one’s self. It may be the cringing plea of a lost sinner before a supposedly stern Judge or the joyful expression of a liberated son of the living and merciful heavenly Father. |
91:8.8 (1001.12) 현대인은 순전한 개인적 방법으로 하나님과 여러 가지를 의논한다는 생각에 어리둥절해한다. 많은 사람이 때마다 기도하기를 그만두었다. 그들은 특별한 압력을 받아야 ― 비상시에 ― 겨우 기도한다. 사람은 하나님께 말씀드리기를 두려워해서는 안 되지만 오직 영적 어린이가 하나님을 설득하려고 나서거나 그의 생각을 주제넘게 바꾸려 할 것이다. |
|
91:8.8 (1001.12) Modern man is perplexed by the thought of talking things over with God in a purely personal way. Many have abandoned regular praying; they only pray when under unusual pressure—in emergencies. Man should be unafraid to talk to God, but only a spiritual child would undertake to persuade, or presume to change, God. |
91:8.9 (1002.1) 그러나 참된 기도는 실체에 이른다. 공기가 올라가고 있을 때에도, 어떤 새든지 날개를 펴지 않고는 날아오를 수 없다. 기도가 사람을 높여 주는 것은 기도가 우주의 올라가는 영적 기류(氣流)를 이용하여 진보하는 기법이기 때문이다. |
|
91:8.9 (1002.1) But real praying does attain reality. Even when the air currents are ascending, no bird can soar except by outstretched wings. Prayer elevates man because it is a technique of progressing by the utilization of the ascending spiritual currents of the universe. |
91:8.10 (1002.2) 진정한 기도는 영적 성장에 보탬이 되고, 태도를 고치며, 신과 교통함에서 생기는 만족을 낳는다. 그 기도는 하나님 의식이 저절로 터져 나오는 것이다. |
|
91:8.10 (1002.2) Genuine prayer adds to spiritual growth, modifies attitudes, and yields that satisfaction which comes from communion with divinity. It is a spontaneous outburst of God-consciousness. |
91:8.11 (1002.3) 하나님은 사람에게 진실을 더 계시해주고, 아름다움을 더 헤아리게 만들고, 확대된 선(善) 개념을 줌으로 사람의 기도에 응답한다. 기도는 주관적 손짓이지만, 인간 체험의 영적 수준에서 막강한 객관적 실체들과 접촉한다. 기도는 인간을 초월하는 가치를 얻으려고 인간이 뜻깊게 손을 뻗는 것이다. 기도는 가장 효력 있는 영적 성장 자극제이다. |
|
91:8.11 (1002.3) God answers man’s prayer by giving him an increased revelation of truth, an enhanced appreciation of beauty, and an augmented concept of goodness. Prayer is a subjective gesture, but it contacts with mighty objective realities on the spiritual levels of human experience; it is a meaningful reach by the human for superhuman values. It is the most potent spiritual-growth stimulus. |
91:8.12 (1002.4) 말은 기도와 상관이 없다. 말은 다만 영적 간청의 강물이 어쩌다 흘러가는 지적 경로일 뿐이다. 기도에 쓰이는 낱말의 가치는 사사롭게 드리는 예배에서 순전히 자신에게 암시하며, 집단 예배에서는 사회에게 암시한다. 하나님은 사람의 태도에 응답하고, 말에 응답하지 않는다. |
|
91:8.12 (1002.4) Words are irrelevant to prayer; they are merely the intellectual channel in which the river of spiritual supplication may chance to flow. The word value of a prayer is purely autosuggestive in private devotions and sociosuggestive in group devotions. God answers the soul’s attitude, not the words. |
91:8.13 (1002.5) 기도는 전투에서 달아나는 기법이 아니라, 오히려 전투 한가운데서 성장에 이르는 자극이다. 물건이 아니라 오직 가치 있는 것을 위해서, 욕구를 채우기 위해서가 아니라 성장을 위하여 기도할진저. |
|
91:8.13 (1002.5) Prayer is not a technique of escape from conflict but rather a stimulus to growth in the very face of conflict. Pray only for values, not things; for growth, not for gratification. |
9. 효과 있는 기도의 요건 ^top |
|
9. Conditions of Effective Prayer ^top |
91:9.1 (1002.6) 너희가 효과 있는 기도를 드리고 싶다면, 널리 적용되는 간구의 법칙을 마음 속에 새겨야 한다: |
|
91:9.1 (1002.6) If you would engage in effective praying, you should bear in mind the laws of prevailing petitions: |
91:9.2 (1002.7) 1. 너희는 우주 현실의 문제에 성실하고 씩씩하게 맞섬으로 힘있는 기도자로서 자격을 갖추어야 한다. 너희는 우주적 끈기를 가져야 한다. |
|
91:9.2 (1002.7) 1. You must qualify as a potent prayer by sincerely and courageously facing the problems of universe reality. You must possess cosmic stamina. |
91:9.3 (1002.8) 2. 너희는 인간으로서 적응하는 인간적 능력을 정직하게 다 사용했어야 한다. 너희는 부지런했어야 한다. |
|
91:9.3 (1002.8) 2. You must have honestly exhausted the human capacity for human adjustment. You must have been industrious. |
91:9.4 (1002.9) 3. 너희는 사람을 변화시키는 영적 성장의 품속에, 머리 속의 모든 소망과 혼의 모든 희망을 던져야 한다. 너희는 의미 있는 것들이 향상되고 가치 기준이 높아짐을 체험했어야 한다. |
|
91:9.4 (1002.9) 3. You must surrender every wish of mind and every craving of soul to the transforming embrace of spiritual growth. You must have experienced an enhancement of meanings and an elevation of values. |
91:9.5 (1002.10) 4. 너희는 마음을 다하여 신의 뜻을 선택해야 한다. 너희는 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절대적 핵심을 없애야 한다. |
|
91:9.5 (1002.10) 4. You must make a wholehearted choice of the divine will. You must obliterate the dead center of indecision. |
91:9.6 (1002.11) 5. 아버지의 뜻을 헤아리고 행하기를 바랄 뿐 아니라, 너희는 아버지의 뜻을 실제로 행하는 데 조건 없이 거룩히 바치고 힘차게 헌신해 왔다. |
|
91:9.6 (1002.11) 5. You not only recognize the Father’s will and choose to do it, but you have effected an unqualified consecration, and a dynamic dedication, to the actual doing of the Father’s will. |
91:9.7 (1002.12) 6. 너희의 기도는 파라다이스로 올라가는 ― 신의 완전을 달성하는 ― 길에 부딪치는 특정한 인간 문제를 푸는 신성한 지혜를 얻도록 순전히 지향될 것이다. |
|
91:9.7 (1002.12) 6. Your prayer will be directed exclusively for divine wisdom to solve the specific human problems encountered in the Paradise ascension—the attainment of divine perfection. |
91:9.8 (1002.13) 7. 그리고 너희는 믿음 ― 팔팔한 믿음 ― 을 가져야 한다. |
|
91:9.8 (1002.13) 7. And you must have faith—living faith. |
91:9.9 (1002.14) [유란시아 중도자 우두머리가 발표했다.] |
|
91:9.9 (1002.14) [Presented by the Chief of the Urantia Midwayers.] |